본문 바로가기
2023.03.06 06:34

“김”

조회 수 147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

우리 딸은 아빠를 잘 이용한다. 밥을 푸러 일어나 두세 걸음을 옮길라치면 등 뒤에서 ‘아빠, 일어난 김에 물 한잔만!’. 안 갖다줄 수가 없다. 매번 당하다 보니 ‘저 아이는 아빠를 잘 써먹는군’ 하며 투덜거리게 된다. 중요한 건 때를 잘 맞추는 것. 늦지도 빠르지도 않아야 한다. 잠자코 기다리고 있다가 누군가 몸을 움직이기 시작하면 먹이를 낚아채는 야수처럼 세 치 혀를 휘둘러 자기 할 일을 슬쩍 얹는다.

밥을 하면 밥솥에서 ‘김’이 모락모락 피어오른다. 물을 끓이면 주전자에서 김이 뿜어져 나온다. 추운 날 내 입에서도 더운 김이 솔솔 나온다. 모양이 일정치 않고 아지랑이처럼 아른거리다가 이내 허공에서 사라진다. 시시때때로 변하는 세상 이치를 집안에서 알아챌 수 있는 것으로 이만한 게 없다.

‘김’은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 ‘장 보는 김에 머리도 깎았다’처럼 ‘~하는 김에’라는 표현을 이루어 두 사건을 이어주기도 한다. 단순히 앞뒤 사건을 시간순으로 연결하는 게 아니다. 앞일을 발판 삼아 뒷일을 한다는 뜻이다. ‘장을 보고 머리를 깎았다’와는 말맛이 다르다. 앞의 계기가 없다면 뒷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그저 가능성이나 아쉬움으로 남겨두었겠지. 기왕 벌어진 일에 기대어 한 걸음 더 나아가려는 용기를 낸다. ‘말 나온 김에 털고 가자.’ ‘생각난 김에 전화해 봐.’ 변화를 위해선 뭐든 하고 있어야 하려나.

‘~하는 김에’가 숨겨둔 일을 자극한다는 게 흥미롭다. 잠깐 피어올랐다 이내 사라지는 수증기를 보고 뭔가를 더 얹는 상황을 상상하다니. 순발력 넘치는 표현이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28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85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880
3106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377
3105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377
3104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377
3103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377
3102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377
3101 열쇳말, 다섯 살까지 風文 2022.11.22 1378
3100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379
3099 단골 風文 2023.05.22 1382
3098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1384
3097 너무 風文 2023.04.24 1388
3096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388
3095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389
3094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390
3093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風文 2022.09.09 1391
3092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400
3091 환멸은 나의 힘 / 영어는 멋있다? 風文 2022.10.28 1402
3090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407
3089 공화 정신 風文 2022.01.11 1409
3088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409
3087 존맛 風文 2023.06.28 1410
3086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418
3085 납작하다, 국가 사전을 다시? 주인장 2022.10.20 14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