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3.06 06:34

“김”

조회 수 164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

우리 딸은 아빠를 잘 이용한다. 밥을 푸러 일어나 두세 걸음을 옮길라치면 등 뒤에서 ‘아빠, 일어난 김에 물 한잔만!’. 안 갖다줄 수가 없다. 매번 당하다 보니 ‘저 아이는 아빠를 잘 써먹는군’ 하며 투덜거리게 된다. 중요한 건 때를 잘 맞추는 것. 늦지도 빠르지도 않아야 한다. 잠자코 기다리고 있다가 누군가 몸을 움직이기 시작하면 먹이를 낚아채는 야수처럼 세 치 혀를 휘둘러 자기 할 일을 슬쩍 얹는다.

밥을 하면 밥솥에서 ‘김’이 모락모락 피어오른다. 물을 끓이면 주전자에서 김이 뿜어져 나온다. 추운 날 내 입에서도 더운 김이 솔솔 나온다. 모양이 일정치 않고 아지랑이처럼 아른거리다가 이내 허공에서 사라진다. 시시때때로 변하는 세상 이치를 집안에서 알아챌 수 있는 것으로 이만한 게 없다.

‘김’은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 ‘장 보는 김에 머리도 깎았다’처럼 ‘~하는 김에’라는 표현을 이루어 두 사건을 이어주기도 한다. 단순히 앞뒤 사건을 시간순으로 연결하는 게 아니다. 앞일을 발판 삼아 뒷일을 한다는 뜻이다. ‘장을 보고 머리를 깎았다’와는 말맛이 다르다. 앞의 계기가 없다면 뒷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그저 가능성이나 아쉬움으로 남겨두었겠지. 기왕 벌어진 일에 기대어 한 걸음 더 나아가려는 용기를 낸다. ‘말 나온 김에 털고 가자.’ ‘생각난 김에 전화해 봐.’ 변화를 위해선 뭐든 하고 있어야 하려나.

‘~하는 김에’가 숨겨둔 일을 자극한다는 게 흥미롭다. 잠깐 피어올랐다 이내 사라지는 수증기를 보고 뭔가를 더 얹는 상황을 상상하다니. 순발력 넘치는 표현이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1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6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663
136 달맞이꽃 바람의종 2008.01.20 6352
135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334
134 말차례 바람의종 2008.01.20 488315
133 안시성과 아골관 바람의종 2008.01.19 6739
132 며느리밥풀 바람의종 2008.01.19 5987
131 말과 글 바람의종 2008.01.19 4132
130 윽박 바람의종 2008.01.18 10244
129 성별 문법 바람의종 2008.01.18 6880
128 압록강과 마자수 바람의종 2008.01.18 6866
127 나무노래 바람의종 2008.01.17 7643
126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08.01.17 7601
125 물혹 바람의종 2008.01.16 5746
124 미래시제 바람의종 2008.01.16 7596
123 여우골과 어린이말 바람의종 2008.01.16 6663
122 쇠뜨기 바람의종 2008.01.15 7173
121 그치다와 마치다 바람의종 2008.01.15 7351
120 쓸어올리다 바람의종 2008.01.15 8739
119 과거시제 바람의종 2008.01.14 8074
118 예천과 물맛 바람의종 2008.01.14 8668
117 열쇠 바람의종 2008.01.14 7892
116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770
115 맞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01.13 74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