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2.13 07:58

남친과 남사친

조회 수 140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남친과 남사친

말은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감정을 담는 데 그치지 않는다. 처음엔 얌전히 화를 내던 사람이 자기 말에 취해 소리를 고래고래 지르는 걸 본 적이 있을 거다. “보고 싶다”고 말하는 순간 그 사람이 더 보고 싶어지는 경우도 많다. 말은 감정을 격동시킨다. 들쑤신다.

안 믿기겠지만, ‘사랑’이라는 말 속에는 ‘우정’의 요소가 들어 있다. 사랑의 감정 속에는 사랑하는 사람이 하는 일이 잘되기를 바라고 그에게 더 좋은 일이 일어나기를 기대하는 마음이 담겨 있다. 애인은 친구이자 동지이다.

사랑 속에 우정이 들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 ‘남자친구, 여자친구’란 말이다. 맹랑하게도 이 말은 그냥 친구 사이가 아니라, 사랑하는 사람을 뜻한다. 사랑 속에 우정의 가능성이 없다면, ‘친구’라 쓰고 ‘애인’이라 읽을 수는 없다. 사랑 속에 있는 우정의 요소를 실마리 삼아 사랑을 대신 뜻하게 된다(환유).

한국 사회는 우정과 사랑을 대립시키고, 친구와 애인을 엄격히 구분해왔다. 이성애적 시각에서 남녀 간에는 우정이 성립될 수 없다고 믿어왔다(‘그게 본능이야. ‘결국’ 사랑하게 돼!’).

‘남사친’, ‘여사친’이란 말은 관계의 입체성을 상상하지 못하는 사회에 바치는 젊은이들의 항복 선언이다. 사랑의 본원적 의미 속에 있는 우정을 분리 독립시켰다. ‘남친’이 사랑을 먼저 차지했으니, 사랑 없는 우정의 자리는 ‘남사친’이 채웠다. ‘남친’과 ‘남사친’이라는 두개의 말을 갖춤으로써 사랑과 우정은 합법적으로 갈라섰다. 하나 어쩌랴. 여전히 ‘남친’ 속엔 우정이, ‘남사친’ 속엔 사랑이 숨어 있는 것을.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4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05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890
3150 통합키로, 참석키로 바람의종 2010.05.08 12652
3149 통틀어 바람의종 2007.03.30 7473
3148 통째/통채 바람의종 2008.09.03 11801
3147 통장을 부르다 바람의종 2008.04.17 11651
3146 통음 바람의종 2012.12.21 21377
3145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513
3144 톨마 file 바람의종 2009.09.21 7617
3143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7137
3142 토씨의 사용 바람의종 2009.05.31 6171
3141 토씨 하나 잘못 쓰면 바람의종 2010.05.06 8457
3140 토를 달다 바람의종 2008.02.01 13893
3139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125
3138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706
3137 터울 바람의종 2008.11.11 7143
3136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8146
3135 터무니없다 바람의종 2010.04.13 10582
3134 터무니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31 11518
3133 택도 없다. 바람의종 2010.08.15 14718
3132 태풍의 눈 바람의종 2008.01.31 10677
3131 태어나다 바람의종 2012.02.28 9613
3130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773
3129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4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