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53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글자의 기록에서 시작된다.
기록이 없는 시대는 유사시대에 들지 못한다.
우리나라에도 정음 이전에 이미 자의 기록을 남겼다.
그러나 이 기록들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살아 움직이는 모습과
그 마음가짐을 잘 전해주지 못하고 있다.
향가와 같은 우리말의 기록은 그 분량이 너무나 적은데다가,
그것마저도 그 당시의 언어로 복원하기는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또 많은 한문 서적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으나, 이 기록들은
마치 중국 사람의 눈에 비친 우리나라 사람들의 모습과 감정을 그려놓은 것같이 느껴진다.
한 민족의 언어와 그 민족의 사고방식은 밀접하다.
한문의 기록은 중국적인 사고방식에 끌리지 않을 수 없도록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 겨레의 진정한 역사는 훈민정음의 창제와 더불어 시작될 것이다.
비로소 조선 사람의 살아 움직이는 모습이 바로 우리 눈앞에 나타날 것이며,
비로소 조선의 마음이 서로 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우리 역사에서
이 정음을 만든 것은 가장 중대한 사건이 될 것이다.

< 세종대왕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5357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4823
2885 한계점 윤안젤로 2013.04.03 9285
2884 한계 바람의종 2010.06.19 3470
2883 한 해의 마지막 달 - 도종환 (105) 바람의종 2008.12.10 5674
2882 한 통의 전화가 가져다 준 행복 - 킴벨리 웨일 風文 2022.08.20 967
2881 한 시간 명상이 10 시간의 잠과 같다 바람의종 2013.01.23 6544
2880 한 수 아래 風文 2023.06.27 728
2879 한 송이 사람 꽃 風文 2023.11.22 839
2878 한 사람이 빛을 발하면... 바람의종 2011.09.29 6300
2877 한 사람의 작은 역사책 風文 2014.10.06 12511
2876 한 사람, 하나의 사건부터 시작된다 風文 2019.06.04 1149
2875 한 번쯤은 바람의종 2009.04.25 8395
2874 한 번의 포옹 바람의종 2009.04.30 7449
2873 한 번의 포옹 風文 2014.12.20 8770
2872 한 번도 패배한 적이 없는 사람들 風文 2014.11.12 10896
2871 한 발 물러서서 바람의종 2012.01.18 6192
2870 한 모금의 기쁨 風文 2015.08.05 8829
2869 한 명 뒤의 천 명 바람의종 2009.11.19 5689
2868 한 명 뒤의 천 명 바람의종 2011.02.15 4322
2867 한 명 뒤의 천 명 바람의종 2011.07.28 4867
2866 한 때 우리는 모두가 별이었다. 바람의종 2012.12.24 6679
2865 한 달에 다섯 시간! 風文 2022.02.05 916
2864 한 다발의 시린 사랑얘기 2/2 바람의종 2010.04.25 5915
2863 한 다발의 시린 사랑얘기 1/2 바람의종 2010.04.24 5371
2862 한 글자만 고쳐도 바람의종 2012.12.17 10454
2861 한 걸음 진보하기 위해서 風文 2020.07.09 14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