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60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글자의 기록에서 시작된다.
기록이 없는 시대는 유사시대에 들지 못한다.
우리나라에도 정음 이전에 이미 자의 기록을 남겼다.
그러나 이 기록들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살아 움직이는 모습과
그 마음가짐을 잘 전해주지 못하고 있다.
향가와 같은 우리말의 기록은 그 분량이 너무나 적은데다가,
그것마저도 그 당시의 언어로 복원하기는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또 많은 한문 서적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으나, 이 기록들은
마치 중국 사람의 눈에 비친 우리나라 사람들의 모습과 감정을 그려놓은 것같이 느껴진다.
한 민족의 언어와 그 민족의 사고방식은 밀접하다.
한문의 기록은 중국적인 사고방식에 끌리지 않을 수 없도록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 겨레의 진정한 역사는 훈민정음의 창제와 더불어 시작될 것이다.
비로소 조선 사람의 살아 움직이는 모습이 바로 우리 눈앞에 나타날 것이며,
비로소 조선의 마음이 서로 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우리 역사에서
이 정음을 만든 것은 가장 중대한 사건이 될 것이다.

< 세종대왕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3609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940
610 동반자 바람의종 2009.08.04 4332
609 「개업식장이 헷갈려」(시인 이대의) 바람의종 2009.08.03 7849
608 부딪힘의 진정한 의미 바람의종 2009.08.03 4833
607 순간순간, 날마다, 달마다 바람의종 2009.08.03 4237
606 천천히 다가가기 바람의종 2009.08.01 7493
605 「신부(神父)님의 뒷담화」(시인 유종인) 바람의종 2009.08.01 6311
604 만남 바람의종 2009.08.01 4060
603 희망이란 바람의종 2009.07.31 8934
602 「웃음꽃이 넝쿨째!」(시인 손정순) 바람의종 2009.07.31 8493
601 편지를 다시 읽으며 바람의종 2009.07.30 5100
600 「니들이 고생이 많다」(소설가 김이은) 바람의종 2009.07.29 7585
599 '나는 괜찮은 사람' 바람의종 2009.07.29 5911
598 「1997년도라는 해」(시인 김영남) 바람의종 2009.07.29 7990
597 맹물 바람의종 2009.07.28 4932
596 떠남 바람의종 2009.07.27 4809
595 질문의 즐거움 바람의종 2009.07.27 6745
594 안목 바람의종 2009.07.27 4707
593 행복의 샘 바람의종 2009.07.25 5933
592 복권 바람의종 2009.07.24 4533
591 빈 저금통 바람의종 2009.07.24 4763
590 자연을 통해... 바람의종 2009.07.23 4269
589 마음의 채널 바람의종 2009.07.22 3848
588 두 개의 문 바람의종 2009.07.21 4038
587 「죽은 연습」(시인 서규정) 바람의종 2009.07.21 7394
586 미인 바람의종 2009.07.21 38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