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25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글자의 기록에서 시작된다.
기록이 없는 시대는 유사시대에 들지 못한다.
우리나라에도 정음 이전에 이미 자의 기록을 남겼다.
그러나 이 기록들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살아 움직이는 모습과
그 마음가짐을 잘 전해주지 못하고 있다.
향가와 같은 우리말의 기록은 그 분량이 너무나 적은데다가,
그것마저도 그 당시의 언어로 복원하기는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또 많은 한문 서적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으나, 이 기록들은
마치 중국 사람의 눈에 비친 우리나라 사람들의 모습과 감정을 그려놓은 것같이 느껴진다.
한 민족의 언어와 그 민족의 사고방식은 밀접하다.
한문의 기록은 중국적인 사고방식에 끌리지 않을 수 없도록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 겨레의 진정한 역사는 훈민정음의 창제와 더불어 시작될 것이다.
비로소 조선 사람의 살아 움직이는 모습이 바로 우리 눈앞에 나타날 것이며,
비로소 조선의 마음이 서로 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우리 역사에서
이 정음을 만든 것은 가장 중대한 사건이 될 것이다.

< 세종대왕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3253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649
510 「충청도 말에 대하여」(소설가 한창훈) 바람의종 2009.06.09 6491
509 지난 3년이 마치 꿈을 꾼 듯 바람의종 2009.06.09 5604
508 「인생재난 방지대책 훈련요강 수칙」(시인 정끝별) 바람의종 2009.06.01 7265
507 소망의 위대함을 믿으라 바람의종 2009.06.01 5357
506 역경 바람의종 2009.05.30 5740
505 먼 길을 가네 바람의종 2009.05.29 5454
504 「개는 어떻게 웃을까」(시인 김기택) 바람의종 2009.05.28 11011
503 「그 모자(母子)가 사는 법」(소설가 한창훈) 바람의종 2009.05.28 6156
502 "내가 늘 함께하리라" 바람의종 2009.05.28 7494
501 그렇게도 가까이! 바람의종 2009.05.28 5034
500 임금의 어깨가 더욱 흔들렸다 바람의종 2009.05.26 6418
499 「할머니가 다녀가셨다!」(시인 정끝별) 2009년 5월 25일_스무번째 바람의종 2009.05.25 6941
498 얼룩말 바람의종 2009.05.25 6577
497 말 한마디와 천냥 빚 바람의종 2009.05.24 6165
496 「출근」(시인 김기택) 2009년 5월 22일_열아홉번째 바람의종 2009.05.24 8133
495 「칠번출구」(시인 정끝별) 2009년 5월 21일_열여덟번째 바람의종 2009.05.24 7786
494 역사적 순간 바람의종 2009.05.24 6084
493 상사병(上司病) 바람의종 2009.05.21 6783
492 「그 부자(父子)가 사는 법」(소설가 한창훈) 바람의종 2009.05.20 8195
491 남모르게 흘린 땀과 눈물 바람의종 2009.05.20 4801
490 「이런 웃음을 웃고 싶다」(시인 김기택) 바람의종 2009.05.20 8093
489 「진한 눈물의 감동 속에도 웃음이 있다 」(시인 신달자) 바람의종 2009.05.20 7933
488 '두번째 일' 바람의종 2009.05.20 5725
487 왜 여행을 떠나는가 바람의종 2009.05.18 6472
486 「첫날밤인데 우리 손잡고 잡시다」(시인 유안진) 바람의종 2009.05.17 88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