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688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글자의 기록에서 시작된다.
기록이 없는 시대는 유사시대에 들지 못한다.
우리나라에도 정음 이전에 이미 자의 기록을 남겼다.
그러나 이 기록들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살아 움직이는 모습과
그 마음가짐을 잘 전해주지 못하고 있다.
향가와 같은 우리말의 기록은 그 분량이 너무나 적은데다가,
그것마저도 그 당시의 언어로 복원하기는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또 많은 한문 서적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으나, 이 기록들은
마치 중국 사람의 눈에 비친 우리나라 사람들의 모습과 감정을 그려놓은 것같이 느껴진다.
한 민족의 언어와 그 민족의 사고방식은 밀접하다.
한문의 기록은 중국적인 사고방식에 끌리지 않을 수 없도록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 겨레의 진정한 역사는 훈민정음의 창제와 더불어 시작될 것이다.
비로소 조선 사람의 살아 움직이는 모습이 바로 우리 눈앞에 나타날 것이며,
비로소 조선의 마음이 서로 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우리 역사에서
이 정음을 만든 것은 가장 중대한 사건이 될 것이다.

< 세종대왕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883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6389
335 「의뭉스러운 이야기 1」(시인 이재무) 바람의종 2009.08.05 7090
334 「웃음꽃이 넝쿨째!」(시인 손정순) 바람의종 2009.07.31 8627
333 「웃음 배달부가 되어」(시인 천양희) 바람의종 2009.06.12 6127
332 「웃음 3」(소설가 정영문) 바람의종 2009.06.25 5901
331 「웃음 2」(소설가 정영문) 바람의종 2009.06.19 5832
330 「웃음 1」(소설가 정영문) 바람의종 2009.06.16 6720
329 「웃는 여잔 다 이뻐」(시인 김소연) 1 바람의종 2009.06.29 9428
328 「웃는 동물이 오래 산다」(시인 신달자) 바람의종 2009.05.15 7872
327 「웃는 가난」(시인 천양희) 바람의종 2009.06.18 5990
326 「우리처럼 입원하면 되잖아요」(시인 유홍준) 바람의종 2009.07.17 6998
325 「연변 처녀」(소설가 김도연) 바람의종 2009.06.26 7553
324 「엉뚱스러운 문학교실」(시인 김종태) 바람의종 2009.07.06 7895
323 「쌍둥이로 사는 일」(시인 길상호) 바람의종 2009.07.14 8398
322 「신부(神父)님의 뒷담화」(시인 유종인) 바람의종 2009.08.01 6403
321 「스페인 유모어」(시인 민용태) 바람의종 2009.06.09 8108
320 「세상에 없는 범죄학 강의」(시인 최치언) 바람의종 2009.07.08 7727
319 「성인용품점 도둑사건」(시인 신정민) 바람의종 2009.07.17 9306
318 「사랑은 아무나 하나」(시인 이상섭) 바람의종 2009.08.11 8040
317 「비명 소리」(시인 길상호) 바람의종 2009.07.15 7686
316 「부모님께 큰절 하고」(소설가 정미경) 바람의종 2009.06.10 6764
315 「밥 먹고 바다 보면 되지」(시인 권현형) 바람의종 2009.06.25 8860
314 「바람에 날리는 남자의 마음」(소설가 성석제) 바람의종 2009.05.15 9552
313 「미소를 600개나」(시인 천양희) 바람의종 2009.06.23 6293
312 「만두 이야기_2」(시인 최치언) 바람의종 2009.07.10 6678
311 「만두 이야기_1」(시인 최치언) 바람의종 2009.07.09 70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