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92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글자의 기록에서 시작된다.
기록이 없는 시대는 유사시대에 들지 못한다.
우리나라에도 정음 이전에 이미 자의 기록을 남겼다.
그러나 이 기록들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살아 움직이는 모습과
그 마음가짐을 잘 전해주지 못하고 있다.
향가와 같은 우리말의 기록은 그 분량이 너무나 적은데다가,
그것마저도 그 당시의 언어로 복원하기는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또 많은 한문 서적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으나, 이 기록들은
마치 중국 사람의 눈에 비친 우리나라 사람들의 모습과 감정을 그려놓은 것같이 느껴진다.
한 민족의 언어와 그 민족의 사고방식은 밀접하다.
한문의 기록은 중국적인 사고방식에 끌리지 않을 수 없도록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 겨레의 진정한 역사는 훈민정음의 창제와 더불어 시작될 것이다.
비로소 조선 사람의 살아 움직이는 모습이 바로 우리 눈앞에 나타날 것이며,
비로소 조선의 마음이 서로 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우리 역사에서
이 정음을 만든 것은 가장 중대한 사건이 될 것이다.

< 세종대왕 >


  1. No Image notice by 風文 2023/02/04 by 風文
    Views 13926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2. 친구야 너는 아니

  3.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9/06/09 by 바람의종
    Views 6507 

    「충청도 말에 대하여」(소설가 한창훈)

  4.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9/06/09 by 바람의종
    Views 5625 

    지난 3년이 마치 꿈을 꾼 듯

  5. No Image 01Jun
    by 바람의종
    2009/06/01 by 바람의종
    Views 7294 

    「인생재난 방지대책 훈련요강 수칙」(시인 정끝별)

  6. No Image 01Jun
    by 바람의종
    2009/06/01 by 바람의종
    Views 5369 

    소망의 위대함을 믿으라

  7. No Image 30May
    by 바람의종
    2009/05/30 by 바람의종
    Views 5745 

    역경

  8. No Image 29May
    by 바람의종
    2009/05/29 by 바람의종
    Views 5479 

    먼 길을 가네

  9. No Image 28May
    by 바람의종
    2009/05/28 by 바람의종
    Views 11017 

    「개는 어떻게 웃을까」(시인 김기택)

  10. No Image 28May
    by 바람의종
    2009/05/28 by 바람의종
    Views 6185 

    「그 모자(母子)가 사는 법」(소설가 한창훈)

  11. No Image 28May
    by 바람의종
    2009/05/28 by 바람의종
    Views 7495 

    "내가 늘 함께하리라"

  12. No Image 28May
    by 바람의종
    2009/05/28 by 바람의종
    Views 5068 

    그렇게도 가까이!

  13. No Image 26May
    by 바람의종
    2009/05/26 by 바람의종
    Views 6426 

    임금의 어깨가 더욱 흔들렸다

  14. No Image 25May
    by 바람의종
    2009/05/25 by 바람의종
    Views 6957 

    「할머니가 다녀가셨다!」(시인 정끝별) 2009년 5월 25일_스무번째

  15. No Image 25May
    by 바람의종
    2009/05/25 by 바람의종
    Views 6580 

    얼룩말

  16. No Image 24May
    by 바람의종
    2009/05/24 by 바람의종
    Views 6178 

    말 한마디와 천냥 빚

  17. No Image 24May
    by 바람의종
    2009/05/24 by 바람의종
    Views 8170 

    「출근」(시인 김기택) 2009년 5월 22일_열아홉번째

  18. No Image 24May
    by 바람의종
    2009/05/24 by 바람의종
    Views 7811 

    「칠번출구」(시인 정끝별) 2009년 5월 21일_열여덟번째

  19. No Image 24May
    by 바람의종
    2009/05/24 by 바람의종
    Views 6118 

    역사적 순간

  20. No Image 21May
    by 바람의종
    2009/05/21 by 바람의종
    Views 6815 

    상사병(上司病)

  21. No Image 20May
    by 바람의종
    2009/05/20 by 바람의종
    Views 8233 

    「그 부자(父子)가 사는 법」(소설가 한창훈)

  22. No Image 20May
    by 바람의종
    2009/05/20 by 바람의종
    Views 4809 

    남모르게 흘린 땀과 눈물

  23. No Image 20May
    by 바람의종
    2009/05/20 by 바람의종
    Views 8126 

    「이런 웃음을 웃고 싶다」(시인 김기택)

  24. No Image 20May
    by 바람의종
    2009/05/20 by 바람의종
    Views 7949 

    「진한 눈물의 감동 속에도 웃음이 있다 」(시인 신달자)

  25. No Image 20May
    by 바람의종
    2009/05/20 by 바람의종
    Views 5747 

    '두번째 일'

  26. No Image 18May
    by 바람의종
    2009/05/18 by 바람의종
    Views 6476 

    왜 여행을 떠나는가

  27. No Image 17May
    by 바람의종
    2009/05/17 by 바람의종
    Views 8820 

    「첫날밤인데 우리 손잡고 잡시다」(시인 유안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