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1.16 08:08

‘통일’의 반대말

조회 수 15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통일’의 반대말

‘낮’의 반대는 ‘밤’, ‘살다’의 반대는 ‘죽다’. 반대말은 어떤 상태의 양쪽 끄트머리로 우리의 시선을 잡아당긴다. 그 사이에 있는 우여곡절은 놓치게 하지. ‘깨끗하다-더럽다’ ‘따뜻하다-차갑다’ ‘다정하다-무정하다’처럼 사회문화적인 평가가 담긴 말은 한쪽으로 마음이 쏠리게 하지.

'통일’의 반대말은 뭘까? ‘분단’이나 ‘분열’쯤 될 듯. 분단, 분열은 ‘쪼개지고 갈라졌다’는 부정적 감정을, 통일은 ‘하나되고 일치한다’는 긍정적 감정을 일으킨다. ‘우리의 소원’이기도 하니, 거역할 수 없는 지상명령이다. 통일만 된다면, 긴장과 대립은 사라지고 상처는 치유되며 온 세상에 일치와 단결의 함성이 드높아질 거라는 유토피아적 희망을 품게 된다.

그러다 보니, 분단, 분열 쪽은 쳐다보지도 않는다. 일상생활에서도 일사불란한 통일을 좋아한다. 식당에서 ‘짜장면으로 통일!’을 외칠 때 뿌듯한 일체감을 느낀다. 통일은 엄연히 존재하는 차이를 가려야 성립한다. 그런 점에서 획일화의 위험을 안고 있다.

반대편에 있는 ‘분단’, ‘분열’을 보자. 요즘 말로 바꾸면 ‘자유’나 ‘자치’라 하겠다. 각각의 자유가, 서로의 다름이 당당히 추구되고 성취되어야 한다. 그런 가운데 ‘그래도 함께할 구석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긍정적인 답이 떠올라야 ‘같은 말과 피’라는 민족적·유전자적 차원보다 진일보한 통일이 가능하리라. 우리에게 더 많은 권력 분산, 더 많은 지방색, 더 많은 자치가 필요하다. 통일과 자유, 자치를 절묘하게 결합시키는 게 시대적 과제다. 반대말의 사이를 헤엄치며, 반대말을 뒤섞음으로써.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10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64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702
3106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371
3105 단골 風文 2023.05.22 1371
3104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374
3103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374
3102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375
3101 열쇳말, 다섯 살까지 風文 2022.11.22 1375
3100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377
3099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377
3098 너무 風文 2023.04.24 1380
3097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380
3096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1384
3095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385
3094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386
3093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387
3092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風文 2022.09.09 1391
3091 환멸은 나의 힘 / 영어는 멋있다? 風文 2022.10.28 1398
3090 존맛 風文 2023.06.28 1398
3089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404
3088 공화 정신 風文 2022.01.11 1405
3087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408
3086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411
3085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風文 2022.12.01 14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