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8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헛걸음’ ‘헛소리’ 따위에 붙는 접두사 ‘헛-’은 한자 ‘빌 허(虛)’에서 왔다. 사전에선 ‘이유 없다’거나 ‘보람 없다’는 뜻이 덧붙는다고 새기고 있는데, ‘가짜, 잘못, 거짓’의 뉘앙스가 더 강하다. ‘나이를 헛먹다, 헛것을 보다, 헛똑똑이’ 같은 말이 그렇다. 매사를 투입 대비 산출로 생각하는 것이 이 시대의 행동강령이다. 적게 투입하고도 목표를 달성하면 박수를 받는다. ‘헛-’이 붙은 말들은 비능률, 비생산적인 상황을 지목한다. ‘헛-’이 빠지면 실속 있고 원하던 게 이뤄진 것이겠지. 힘을 썼으면 그에 맞는 성과를 얻어야 하리. ‘헛심(힘)’ 쓸 바엔 차라리 가만히 있으라. 눈에 보이는 성과(아웃풋)가 없는 일은 헛수고. 장사도 그렇고 배움도 그렇다. 돈 안 되는 일은 그만둬.

하지만 헛짓이 쓸모없지만은 않다. 헛기침은 민망함을 표시하거나 눈치주기의 용도로 요긴하다. 스산한 세상에서 헛웃음이라도 웃어야지. 상대의 턱에 주먹을 날리는 것보다 헛주먹질이 멀리 보면 낫다. 입덧이 심한 임신부의 헛구역질은 고통스러운데 그 고통의 시간이 흘러 아이가 태어난다. 3할대 야구선수도 얼마나 많은 헛스윙을 했겠는가.

우리 대부분은 원하는 걸 얻지 못하며 산다. 헛물만 켜는 경우가 허다하다. 삶은 헛바퀴 돌듯 하고, 걸음을 헛디뎌 넘어진다. 그래도 지금 당장의 헛고생이 어떻게 굴절되어 나에게 쌓일지 모른다. 풍진세상에 살지만, 그래도 더 평화롭고 평등한 세상은 꼭 온다는 헛꿈이라도 꿔야 견디지. 그러니 헛되어 보이는 일도 잠자코 할 수밖에. 열매를 맺지 못하는 헛꽃도 예쁘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89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51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154
136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299
135 웅숭깊다 바람의종 2007.03.03 17302
134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바람의종 2010.12.19 17339
133 바이러스 바람의종 2012.12.04 17428
132 그림의 떡, 그림에 떡 바람의종 2012.09.13 17443
131 모시는 글 바람의종 2008.04.27 17453
130 보전과 보존 바람의종 2010.11.25 17464
129 신물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18 17542
128 부득이하게? ‘부득이’면 족하다 바람의종 2010.01.14 17546
127 길다란, 기다란, 짧다랗다, 얇다랗다, 넓다랗다 바람의종 2010.07.10 17634
126 입에 발린 소리 바람의종 2008.01.28 17659
125 ~데 반해 / ~데 비해 바람의종 2010.02.28 17704
124 참공약 바람의종 2012.11.21 17735
123 행랑, 행낭 바람의종 2010.05.06 17770
122 헤라시보리 바람의종 2012.09.21 17782
121 안하다, 못하다 바람의종 2009.02.10 17811
120 시다바리, 나와바리, 당일바리 바람의종 2012.03.05 17827
119 금도(襟度) 바람의종 2012.12.10 17878
118 비위맞추다 바람의종 2008.01.14 17885
117 절감, 저감 바람의종 2010.01.27 17887
116 바람의종 2013.01.25 17980
115 외곬, 외골수 바람의종 2012.12.03 180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