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7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헛걸음’ ‘헛소리’ 따위에 붙는 접두사 ‘헛-’은 한자 ‘빌 허(虛)’에서 왔다. 사전에선 ‘이유 없다’거나 ‘보람 없다’는 뜻이 덧붙는다고 새기고 있는데, ‘가짜, 잘못, 거짓’의 뉘앙스가 더 강하다. ‘나이를 헛먹다, 헛것을 보다, 헛똑똑이’ 같은 말이 그렇다. 매사를 투입 대비 산출로 생각하는 것이 이 시대의 행동강령이다. 적게 투입하고도 목표를 달성하면 박수를 받는다. ‘헛-’이 붙은 말들은 비능률, 비생산적인 상황을 지목한다. ‘헛-’이 빠지면 실속 있고 원하던 게 이뤄진 것이겠지. 힘을 썼으면 그에 맞는 성과를 얻어야 하리. ‘헛심(힘)’ 쓸 바엔 차라리 가만히 있으라. 눈에 보이는 성과(아웃풋)가 없는 일은 헛수고. 장사도 그렇고 배움도 그렇다. 돈 안 되는 일은 그만둬.

하지만 헛짓이 쓸모없지만은 않다. 헛기침은 민망함을 표시하거나 눈치주기의 용도로 요긴하다. 스산한 세상에서 헛웃음이라도 웃어야지. 상대의 턱에 주먹을 날리는 것보다 헛주먹질이 멀리 보면 낫다. 입덧이 심한 임신부의 헛구역질은 고통스러운데 그 고통의 시간이 흘러 아이가 태어난다. 3할대 야구선수도 얼마나 많은 헛스윙을 했겠는가.

우리 대부분은 원하는 걸 얻지 못하며 산다. 헛물만 켜는 경우가 허다하다. 삶은 헛바퀴 돌듯 하고, 걸음을 헛디뎌 넘어진다. 그래도 지금 당장의 헛고생이 어떻게 굴절되어 나에게 쌓일지 모른다. 풍진세상에 살지만, 그래도 더 평화롭고 평등한 세상은 꼭 온다는 헛꿈이라도 꿔야 견디지. 그러니 헛되어 보이는 일도 잠자코 할 수밖에. 열매를 맺지 못하는 헛꽃도 예쁘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4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9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909
136 달맞이꽃 바람의종 2008.01.20 6388
135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369
134 말차례 바람의종 2008.01.20 488381
133 안시성과 아골관 바람의종 2008.01.19 6761
132 며느리밥풀 바람의종 2008.01.19 6000
131 말과 글 바람의종 2008.01.19 4156
130 윽박 바람의종 2008.01.18 10279
129 성별 문법 바람의종 2008.01.18 6912
128 압록강과 마자수 바람의종 2008.01.18 6890
127 나무노래 바람의종 2008.01.17 7680
126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08.01.17 7614
125 물혹 바람의종 2008.01.16 5772
124 미래시제 바람의종 2008.01.16 7626
123 여우골과 어린이말 바람의종 2008.01.16 6681
122 쇠뜨기 바람의종 2008.01.15 7192
121 그치다와 마치다 바람의종 2008.01.15 7361
120 쓸어올리다 바람의종 2008.01.15 8761
119 과거시제 바람의종 2008.01.14 8077
118 예천과 물맛 바람의종 2008.01.14 8679
117 열쇠 바람의종 2008.01.14 7919
116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810
115 맞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01.13 74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