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02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맞춤법·표준어 제정, 국가 독점?…오늘도 ‘손사래’

오늘도 뭉그적거리다 마을버스를 놓쳤다. 처마 밑 길냥이를 찾지 말았어야 했다. 언덕 위로 내달리는 버스를 쫓아가며 “여기요!” “버스!”를 외쳤지만, 무정한 버스는 못 들은 척했다.

2년 전 ‘국가 사전 폐기론’이란 자못 다부진 제목의 칼럼을 썼다. 올봄엔 <표준국어대사전> 전면 개정 소식을 듣고 ‘국가 사전을 다시?’라는 제목으로 무려 세 편의 칼럼을 썼더랬다. 줄곧 국가는 사전 편찬에서 손을 떼라는 얘기였다.

토론회를 제안했다. 국립국어원, 사전 편찬가, 글로 밥벌이하는 사람들, 시민들이 모여 말을 나누고 싶었다. 드디어 12월15일(목) 오후 2시 한겨레신문사 청암홀에서 ‘국가 사전과 언어민주주의’라는 제목으로 학술발표회가 열린다. 앞의 세 부류의 분들은 모셨다. 시민들만 오시면 된다. 관심 있는 분들은 자리가 없어지기 전에 서둘러 오시길(공교롭게도 다음날(12월16일) 한국사전학회에서 ‘규범 사전의 성격과 역할’이라는 주제로 학술대회가 열린다).

국가가 성문화된 철자법(맞춤법)을 제정하고, 표준어를 선정하고(=비표준어를 지정하고), 사전 편찬마저 독점적으로 차지한 상황은 세계적으로 매우 이례적이고 괴이하다. 국가가 말의 규범(어문규범)을 독점하고 어떤 말이 맞고 틀렸는지 채점해주는 체계 속에서 언어민주주의는 요원하다. 이 체계를 바꿔야 한다. <표준사전>을 아무리 ‘현대적으로, 쌈박하게’ 바꾼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사전 개정 작업은 이미 진행 중. 버스 떠난 뒤 손 흔들기다. 하지만 계속 흔들다 보면 혹시 모르지, 정류장을 좀 벗어나 멈춰 서는 버스기사를 만나게 될지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78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4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123
136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1211
135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355
134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779
133 필요한 사람?/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596
132 위하여/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7128
131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789
130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3024
129 홀몸 바람의종 2007.04.27 9809
128 호래자식(후레자식) 바람의종 2007.04.27 15094
127 관해/대하여/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6183
126 ‘경우’ 덜쓰기/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7208
125 불구하고?/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10625
124 허풍선이 바람의종 2007.04.25 8190
123 행길 바람의종 2007.04.25 11625
122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458
121 할망구 바람의종 2007.04.24 11471
120 한통속 바람의종 2007.04.23 6691
119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329
118 한 손 바람의종 2007.04.02 11118
117 한눈팔다 바람의종 2007.04.02 12490
116 하염없다 바람의종 2007.04.01 11268
115 하루살이 바람의종 2007.04.01 98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