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75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맞춤법·표준어 제정, 국가 독점?…오늘도 ‘손사래’

오늘도 뭉그적거리다 마을버스를 놓쳤다. 처마 밑 길냥이를 찾지 말았어야 했다. 언덕 위로 내달리는 버스를 쫓아가며 “여기요!” “버스!”를 외쳤지만, 무정한 버스는 못 들은 척했다.

2년 전 ‘국가 사전 폐기론’이란 자못 다부진 제목의 칼럼을 썼다. 올봄엔 <표준국어대사전> 전면 개정 소식을 듣고 ‘국가 사전을 다시?’라는 제목으로 무려 세 편의 칼럼을 썼더랬다. 줄곧 국가는 사전 편찬에서 손을 떼라는 얘기였다.

토론회를 제안했다. 국립국어원, 사전 편찬가, 글로 밥벌이하는 사람들, 시민들이 모여 말을 나누고 싶었다. 드디어 12월15일(목) 오후 2시 한겨레신문사 청암홀에서 ‘국가 사전과 언어민주주의’라는 제목으로 학술발표회가 열린다. 앞의 세 부류의 분들은 모셨다. 시민들만 오시면 된다. 관심 있는 분들은 자리가 없어지기 전에 서둘러 오시길(공교롭게도 다음날(12월16일) 한국사전학회에서 ‘규범 사전의 성격과 역할’이라는 주제로 학술대회가 열린다).

국가가 성문화된 철자법(맞춤법)을 제정하고, 표준어를 선정하고(=비표준어를 지정하고), 사전 편찬마저 독점적으로 차지한 상황은 세계적으로 매우 이례적이고 괴이하다. 국가가 말의 규범(어문규범)을 독점하고 어떤 말이 맞고 틀렸는지 채점해주는 체계 속에서 언어민주주의는 요원하다. 이 체계를 바꿔야 한다. <표준사전>을 아무리 ‘현대적으로, 쌈박하게’ 바꾼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사전 개정 작업은 이미 진행 중. 버스 떠난 뒤 손 흔들기다. 하지만 계속 흔들다 보면 혹시 모르지, 정류장을 좀 벗어나 멈춰 서는 버스기사를 만나게 될지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9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50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493
136 달맞이꽃 바람의종 2008.01.20 6409
135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401
134 말차례 바람의종 2008.01.20 488452
133 안시성과 아골관 바람의종 2008.01.19 6778
132 며느리밥풀 바람의종 2008.01.19 6013
131 말과 글 바람의종 2008.01.19 4176
130 윽박 바람의종 2008.01.18 10296
129 성별 문법 바람의종 2008.01.18 6923
128 압록강과 마자수 바람의종 2008.01.18 6902
127 나무노래 바람의종 2008.01.17 7689
126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08.01.17 7636
125 물혹 바람의종 2008.01.16 5793
124 미래시제 바람의종 2008.01.16 7627
123 여우골과 어린이말 바람의종 2008.01.16 6686
122 쇠뜨기 바람의종 2008.01.15 7198
121 그치다와 마치다 바람의종 2008.01.15 7383
120 쓸어올리다 바람의종 2008.01.15 8771
119 과거시제 바람의종 2008.01.14 8092
118 예천과 물맛 바람의종 2008.01.14 8684
117 열쇠 바람의종 2008.01.14 7928
116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827
115 맞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01.13 74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