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내 마음이 강해야 내  소원도 이루어진다 - 잭 캔필드, 마크 빅터 한센


  4. 가족들과의 더 좋은 관계를 위하여

  '사랑의 열 가지 방법'을 요청하라
   다잉앤 로만스 - '완전한 존경을 향하여'의 저자

  다음은 내가 요청했었던 '당신이 나에게 해줬으면 하는 사랑의 열 가지 방법'이다.

  1. 한 달에 최소한 두 차례는 예상치 않은 행동으로 나를 놀라게 해 주세요.
  2. 일주일에 몇 차례 전화를 걸어 애정어린 메시지를 남게 주세요.
  3. 한 달에 두 번은 꽃을 사주세요.
  4. 우리 관계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글로 써서 주세요. 우리가 더 친밀감을 느끼게 될 거예요.
  5. 일주일에 두 번은 무조건 시간을 내서  내 말에 진지하게 귀를 기울여 주세요.
  6. 멋진 데이트 계획을 세우세요. 예를 들어, '오페라의 유령' 순회 공연 소식을 들었다면 몇 달 전에 미리 관람표를 구해 놨다가 나중에 그것을 함께 보러 가지고 말하는 거예요.
  7. 깜짝 여행 계획을 세우세요. 이번 주말에 어디론가 가자고 말하면서도 목적지나 그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시치미떼는 거예요.
  8. 당신이 나를 사랑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은 나에게 요청하는 거예요. 내가 이 목록을 만드는 것처럼 당신도 자세하게 나에게 요청해 주세요.
  9. 당신이 평상시에 남에게 고마워하는 점에 대해서 말이나, 편지로써 표현해 주세요.
  10. 내가 내 꿈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시간을 내서 당신의 꿈을 말해 준다면 우리는 힘을 합해 서로의 꿈을 성취할 수 있어요.  


  어리다고 우습게 보지 말아라

 다른 이들은 현상을 보고 그 이유를 묻는다. 하지만 나는 무엇이 가능한지를 보고 그것을 왜 하지 않느냐고 묻는다. - 존 F. 케네디

    제인 넬슨

 우리는 아이들을 더 존경심을 가지고 대할 필요가 있다. 그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의견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항상 무슨 일이 있었는지, 왜 그런 일이 벌어졌는지, 그 일에 대해서 어떤 기분을 느끼고, 마땅히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말하지 말아라. 대신, 다음과 같은 명료하게 질문하라.

  네가 무엇을 했니?
  어떻게 되었니?
  그것에 대한 기분이 어떠니?
  네가 이루려는 것이 무엇이니?
  네가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했다면, 그것으로부터 어떤 교훈을 얻었니?
  그 정보를 다음에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

  이런 질문은 자녀들에게 행동의 결과를 더불어 미래의 더 좋은 방법을 생각하도록 가르친다. 또한, 그들을 폐쇄적이고 소극적인 대신 개방적이고 적극적으로 유지시켜 준다. 교육은 '애주카레'라는 라틴어에서 파생되었고, 그 뜻은 '밖으로 끄집어낸다'이다. 우리 대부분은 아이들의 안에 너무 많은 것을 채워넣기만 하고 충분한 것을 밖으로 끄집어내지 못한다. 우리는 진정한 관심을 가지고 더 많이  질문할 필요가 있다.

  '그래, 이야기가 다  끝났니'라고 말하지 말고, '어머,  정말 재미있구나. 그래서 어떻게 됐니? 한 번 말해 볼래. 네 기분이 어땠니?' 혹은 '네가 거기에서 무엇을 배웠니? 라고 질문하라.

  아이들에게 야단을 치거나 도와주려고 하지 말고,  그들이 더 많이 탐험하도록 도와줘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4713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4184
360 가끔은 보지 않는 것도 필요하다 바람의종 2008.10.17 6432
359 가까이 하면서도 물들지 않는 사람 - 도종환 (132) 바람의종 2009.02.18 6709
358 가까이 있는 사람부터 風文 2014.12.24 7250
357 가까이 있는 것들 바람의종 2011.03.09 2906
356 가까운 사람 바람의종 2010.09.24 3112
355 雨中에 더욱 붉게 피는 꽃을 보며 바람의종 2008.07.01 7925
354 윤영환 2011.08.16 4207
353 「화들짝」(시인 김두안) 바람의종 2009.06.30 7201
352 「호세, 그라시아스!」(소설가 함정임) 바람의종 2009.06.22 6817
351 「헤이맨, 승리만은 제발!」(소설가 함정임) 바람의종 2009.06.17 7677
350 「할머니가 다녀가셨다!」(시인 정끝별) 2009년 5월 25일_스무번째 바람의종 2009.05.25 6963
349 「칠번출구」(시인 정끝별) 2009년 5월 21일_열여덟번째 바람의종 2009.05.24 7829
348 「친구를 찾습니다」(소설가 한창훈) 바람의종 2009.06.09 8434
347 「충청도 말에 대하여」(소설가 한창훈) 바람의종 2009.06.09 6533
346 「출근」(시인 김기택) 2009년 5월 22일_열아홉번째 바람의종 2009.05.24 8173
345 「추어탕의 맛」(시인 조용미) 바람의종 2009.07.13 9378
344 「첫날밤인데 우리 손잡고 잡시다」(시인 유안진) 바람의종 2009.05.17 8838
343 「진한 눈물의 감동 속에도 웃음이 있다 」(시인 신달자) 바람의종 2009.05.20 7950
342 「진수성찬」(시인 이상섭) 바람의종 2009.08.11 6678
341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도 알았더라면!」(시인 정끝별) 바람의종 2009.06.09 6172
340 「죽은 연습」(시인 서규정) 바람의종 2009.07.21 7431
339 「인생재난 방지대책 훈련요강 수칙」(시인 정끝별) 바람의종 2009.06.01 7305
338 「이런 웃음을 웃고 싶다」(시인 김기택) 바람의종 2009.05.20 8131
337 「의뭉스러운 이야기 3」(시인 이재무) 바람의종 2009.08.07 6903
336 「의뭉스러운 이야기 2」(시인 이재무) 바람의종 2009.08.06 72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