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5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질문들

말은 입에 사는 도깨비다. 입을 열면 나타났다 닫으면 이내 사라지고,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난다. 상황에 따라 튀어나오는 말도 다르다. 하지만 문자는 말에 실체성과 형태를 덧입힌다. 옷을 입은 도깨비랄까. 문자와 표기의 체계는 말을 하나의 기계나 물건처럼 통일성을 갖는 실체로 만든다.

실체가 된 말은 규율이 되어 틀리면 불편해한다. 가끔 이런 이야기를 듣는다. “‘감사합니다, 축하합니다’면 충분한데, 왜 ‘감사드립니다, 축하드립니다’라고 하나? 이치에 안 맞는데도 국립국어원에서는 ‘관행’이란 이유로 허용했다”며 씁쓸해한다. 방송에서 들은 ‘말씀 주시면’이라는 말도 거슬린다고 한다. “‘꼼장어’가 표준어가 아니라고?” “‘쭈꾸미’랑 ‘오돌뼈’도 틀렸다고?” “뭐? ‘겁나게’가 사투리라고?” 항의한다.

단골 복사집에서 ‘제본 다 되었읍니다’라고 보내온 문자를 받으면 반갑다. 나는 사람마다 말에 대한 기억과 시간의 차이에서 오는 이런 어긋남과 겹침이 좋다. ‘돐’이란 말도 그립지 아니한가. 북한말 ‘닭알’은 달걀을 다시 보게 한다.

문득 의문이 든다. 무엇이 바른가. 바르게 쓴다는 건 뭘까. 과거와 현재가 단절보다는 겹치고 뒤섞이는 말글살이는 불가능할까. 왜 우리는 하루아침에 ‘돐’을 버리고 ‘돌’을 써야만 하는 구조에 살고 있을까. 나와 다르게 쓰거나 바뀌는 말에 왜 이토록 화를 낼까. ‘올바르게 말하기’에 지나친 강박증을 갖고 있지는 않은가. 나는 녹슨 양철문에 써놓은 ‘어름 있슴’을 보면 즐겁던데. 올바른 건 하나만 있는 게 아니다. 우리가 잡종이듯 말도 잡종이다.



정재환님께 답함

지난주엔 방송인이자 한글운동가인 정재환님께서 실명으로 “김지네씨, 잘 바써요”라는 재미난 댓글을 달았다. 헌신적인 한글운동가가 굳이 맞춤법을 어기며 쓴 것도 말걸기의 방식이다. 환영한다. 아마 ‘되었읍니다’, ‘돐’, ‘어름 있슴’에 대한 나의 과도한 포용주의와 과거지향적 정서, 또는 그간의 ‘언어자유주의적, 언어시장주의적’ 태도를 보고 내놓은 반응인 듯.

지난 칼럼은 말(표기법)의 잡종성을 가로막는 제도에 질문을 하자는 것이었다. 어제까지 썼던 철자가 하루아침에 바뀌고, 비표준어이니 쓰지 말라고 하다가 갑자기 오늘부터는 써도 된다는 과정 자체를 문제 삼자는 것이다.

이 문제의 뿌리는 한글맞춤법에 있다. 맞춤법은 언어적 근대의 산물이다. 민족어라는 단일한 언어질서를 만들기 위해 동일성을 강조하다 보니 다른 모든 정체성과 차이를 배제했다. 언어적 근대는 지역, 세대, 성별, 계급, 직업의 차이에 따른 말의 잡종성을 외면해야 가능하다. 표준어는 비표준어를 배제한다. 표준어 제정 권한을 국가나 엘리트들에게 집중시킨다. 지금도 똑같다.

언어적 근대를 넘어서자. 우리 시대는 말의 잡종성을 어떻게 전면화할지가 과제다. 일단 성문화된 맞춤법을 없애고 공통어의 결정권을 시민과 사회적 역량에 맡기자는 것이다. 맞춤법을 고치면 되지 않냐는 주장은 비본질적이다. 국가가 ‘이걸 표준어로 해줄까 말까’를 정하는 방식은 시대착오적이다.

한글운동 하시는 분들께 부탁한다. 말의 단일화보다 말의 다양화를 위해 더 애써 달라. 말은 구름 같아서 우여곡절을 겪을 뿐, 살고 죽는 문제는 아니다. 릴랙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7264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8640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2Jun
    by 風文
    2023/06/02 by 風文
    Views 1576 

    ‘부끄부끄’ ‘쓰담쓰담’

  5. No Image 18May
    by 風文
    2022/05/18 by 風文
    Views 1577 

    콩글리시

  6. No Image 14Sep
    by 風文
    2022/09/14 by 風文
    Views 1578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7. No Image 12Jan
    by 風文
    2022/01/12 by 風文
    Views 1580 

    오염된 소통

  8. No Image 29Jul
    by 風文
    2022/07/29 by 風文
    Views 1580 

    노랗다와 달다, 없다

  9. No Image 22May
    by 風文
    2020/05/22 by 風文
    Views 1582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10. No Image 02Nov
    by 風文
    2021/11/02 by 風文
    Views 1583 

    방언의 힘

  11. No Image 02Sep
    by 風文
    2023/09/02 by 風文
    Views 1584 

    웰다잉 -> 품위사

  12. No Image 06Jan
    by 風文
    2024/01/06 by 風文
    Views 1586 

    북한의 ‘한글날’

  13. No Image 18Oct
    by 風文
    2023/10/18 by 風文
    Views 1587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14. No Image 06Dec
    by 風文
    2022/12/06 by 風文
    Views 1588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15. No Image 25Oct
    by 風文
    2022/10/25 by 風文
    Views 1589 

    ‘시끄러워!’, 직연

  16. No Image 03Sep
    by 風文
    2022/09/03 by 風文
    Views 1593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17. No Image 10May
    by 風文
    2022/05/10 by 風文
    Views 1600 

    성인의 세계

  18. No Image 25Nov
    by 風文
    2023/11/25 by 風文
    Views 1600 

    '마징가 Z'와 'DMZ'

  19. No Image 25Apr
    by 風文
    2023/04/25 by 風文
    Views 1604 

    개양귀비

  20. No Image 12Oct
    by 風文
    2022/10/12 by 風文
    Views 1611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21. No Image 14Apr
    by 風文
    2023/04/14 by 風文
    Views 1612 

    어쩌다 보니

  22. No Image 28May
    by 風文
    2023/05/28 by 風文
    Views 1618 

    아이 위시 아파트

  23. No Image 02Jun
    by 風文
    2020/06/02 by 風文
    Views 1619 

    기림비 2 / 오른쪽

  24. No Image 24Jun
    by 風文
    2022/06/24 by 風文
    Views 1620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25. No Image 15Jan
    by 風文
    2022/01/15 by 風文
    Views 1621 

    지도자의 화법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