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6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맞다’와 ‘맞는다’

몇 주 전 원고에 “불문율이 언어의 본질에 맞다”고 했더니 신문엔 “맞는다”로 고쳐 실렸다. 넷플릭스 영화를 봐도 등장인물은 ‘맞다’라 하는데 자막엔 늘 ‘맞는다’로 나온다. ‘‘맞다’는 무조건 ‘맞는다’로 고쳐 쓰라’는 지침이 있는 게 분명하다.

하도 한결같아서 찾아보니, ‘맞다’는 동사이고 동사의 현재형에는 ‘-는-’을 붙여야 하므로 ‘맞는다’가 맞다(!)는 것. 하지만 ‘맞다’는 동사와 형용사를 넘나드는 존재다. 이름하여 ‘형용사적 동사’ 또는 ‘형용성 동사’. 왜 이런 이름이 달렸을까? 우리가 그렇게 쓰기 때문이다.

동사는 ‘먹어라, 먹자’처럼 명령이나 청유형이 가능하다. 안 그러면 형용사다. ‘맞다’는 ‘(이 옷이) 맞아라, 맞자’라고 안 쓴다. 감탄할 때 동사는 ‘먹는구나’처럼 ‘-는구나’를, 형용사는 ‘춥구나’처럼 ‘-구나’를 붙인다. ‘맞다’는 ‘맞는구나’로도 ‘맞구나’로도 쓴다. 형용사는 ‘와, 맛있다! 멋지다!’처럼 기본꼴로 감탄사처럼 쓸 수 있다. ‘맞다’도 비슷하다. 비 그친 날 버스에서 내리자마자 ‘맞다, 우산!’, 머리 아플 땐, ‘맞다, 게○○!’.

‘맞다’가 동사인지, 형용사인지를 따지려는 게 아니다. 이런 현상을 설명하는 방식이나 반응하는 모습이 문제다. 누군가 ‘이게 맞다’고 하면, 자기 입에 붙어 자연스럽게 쓰는 말을 너무 쉽게 부정하고 고친다. 이 일사불란함이 지루하다.

말은 늘 변한다. 전문가는 풍속의 감시자가 아니라, 변화를 받아 적고 설명하는 존재일 뿐이다. 고칠 건 사전이나 설명이지, 당신의 말이 아니다. 명령에 거역하라.



이름 바꾸기

내 이름은 웃긴다. 발음이 절지동물과 닮아 별명이 ‘왕지네’였다. 모르는 이에게 이름을 불러주면 열에 아홉 ‘진혜’나 ‘진회’로 적는다. “‘바다 해’ 자입니다”라거나 “해바라기 할 때 해 자입니다”, “‘ㅕㅣ’가 아니라 ‘ㅏㅣ’예요”라 해야 한다. 어감도 묵직하거나 톡 쏘는 맛이 없어서, 줏대도 없고 집요함도 모자란다. 이게 다 이름 탓이다!

그러니 이름을 바꾸어야 할까? 우리 사회는 걸핏하면 이름을 바꾸던데. 사람들 반응이 시들하고 전망이 안 보이고 시대에 뒤처진 느낌일 때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이름 바꾸기다. 회사명, 주소명, 건물명, 학과명, 가게명, 정당명, 정부 부처명. 불합리를 바로잡고 합리성과 혁신 의지를 듬뿍 담아! 한국 현대사는 간판 교체사이다.

이름 바꾸기는 연속성의 거부이자 과거와 단절하려는 몸부림이다. 하지만 대부분 근본적이지 않고 선택적이라는 게 문제다. 실패하고 부끄럽고 숨기고 싶은 과거만 지목될 뿐.

모든 이름에는 이름의 질감이 있다. 이름을 그대로 두면 부끄럽고 불합리하며 분했던 순간도 도망가지 못한다. 나는 그 질감이 좋다. 그 부끄러움과 불합리가 좋다. 우여곡절을 겪는 의미를 같은 이름 안에 쌓아 놓는 것. 의미는 시시때때로 변하는데, 이름마저 자주 바뀌면 어지럼증이 심해진다. 나는 문화라는 게 ‘이유는 잘 모르지만, 옛날부터 그렇게 써 왔어’라고 말하는 거라 생각한다. 단절은 세탁과 표백의 상큼함과 뽀송함을 줄지는 몰라도, 역사의 냄새와 질감을 회피하게도 만든다. 이름 바꾸기를 성과로 내세우는 사회에서는 더욱 그렇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1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75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537
3282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494
3281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495
3280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96
3279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498
3278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499
3277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499
3276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502
3275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503
3274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505
3273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507
3272 지슬 風文 2020.04.29 1508
3271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508
3270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510
3269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517
3268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518
3267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518
3266 김 여사 風文 2023.05.31 1518
3265 내일러 風文 2024.01.03 1519
3264 까치발 風文 2023.11.20 1520
3263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521
3262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526
3261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5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