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56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일타강사

학원이나 인터넷 강의(인강)에서 제일 잘나가는 ‘1등 스타강사’. ‘1번 타자’가 갖는 공격성을 부여한다. 학원 홈페이지, 버스나 전철 광고 맨 앞자리에 사진과 함께 이름을 올린다. 이 반열에 오르면 아이돌급의 수입과 인기를 누린다. 일타강사는 가르칠 내용을 찰지게 요리하는 건 기본이고, 판서, 외모, 입담(말발)도 빼어난 만능 엔터테이너이다. 승자독식의 법칙이 철저히 작동해서 경쟁이 치열하다.

진정한 배움은 선생을 흉내 내는 데에서 시작한다. 말을 배울 때에도 그랬고, 헤엄치기, 젓가락질을 배울 때에도 그랬다. ‘배움’이란 자신이 앞으로 무엇을 배울지 이해할 수 없는 시점에, 무엇을 가르쳐 줄지 알 수 없는 사람 밑에서, 무언지 알 수 없는 것을 배우는 이상한 구조를 갖는다(우치다 다쓰루). 그래서 배움은 기능을 미리 알고 사는 상품 구매와 다르다. 깨달음을 향한 기다림이자 투신이다. 스스로 물에 뜨는 순간이 올 때까지 잠자코 선생의 자세를 흉내 내야 한다.

가르치는 사람은 노예에 가깝다. 의존적이고 무기력하다. 같은 걸 가르쳐도 배우는 사람이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느냐에 따라 결과는 하늘과 땅 차이다. 가르침과 배움의 동시성과 상호 의존성을 강조하는 말(줄탁동시, 교학상장)이 있지만, 아무래도 교육은 학생이 주인이다. ‘배움’이 벌어지지 않는다면 ‘가르침’은 가치를 갖지 못한다.

그렇다면 일타강사를 찾는 열정만큼이나 ‘누가’ ‘무엇 때문에’ 배우는지도 물어야 한다. 하물며 지금의 교육이 배움을 배반하고 있다면, 선생이 아니라 학생한테 눈을 돌려야 한다.



‘일’의 의미

단어는 고립되어 쓰이지 않는다. 단어는 한 사회가 자연스럽고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지배적 신화에 기대어 산다. 이를테면 다음 두 목록에 함께 쓰인 ‘일’과 ‘돈’이 각각 어떤 의미로 쓰이는지 생각해보자.

1) ㄱ. 집, 먼지, 창고, 냄비, 일
ㄴ. 임금, 출퇴근, 노조, 노무관리, 일
2) ㄱ. 음식, 옷, 차, 집, 돈
ㄴ. 이율, 은행, 주식, 투자, 돈

(1ㄱ)의 ‘일’은 몸과 직접 관계가 있다. 쓸고 닦고 고쳐야 하는 몸의 구체적인 움직임과 노력이 필요하다. 반면에 (1ㄴ)의 ‘일’은 매매되는 노동이다. 돈으로 환산되고, 정해진 규약에 맞는 행동을 해야 한다. (2ㄱ)의 ‘돈’은 사는 데 필요한 것을 교환할 수 있는 것이지만, (2ㄴ)의 ‘돈’은 그 자체를 축적하거나 스스로 이윤을 창출하는 추상적인 존재다. 수치의 등락 자체가 전부다.

‘일’과 ‘돈’에 대한 지배적 신화는 (1ㄴ, 2ㄴ)의 맥락에서 일어난다. 몸놀림이나 사람과의 관계라는 맥락에서 탈피해 있다. ‘일’은 수량화할 수 있고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돈이 돈을 번다’. 그러니 가만히 놔두지 말고 굴리고 투자해야 한다.

‘다행히(!)’ 지구적 위기 상황은 우리에게 ‘일’의 의미를 다시 묻는다. 평소라면 임금, 초과이윤율, 사회적 평판을 기준으로 구분했을 거다. 지금은 어떤 노동이 사회의 유지와 존속에 필수적인지를 묻는다. 보건의료와 돌봄노동 종사자, 배달업 노동자, 청소·경비 노동자, 그리고 농민. 이러한 ‘필수노동’에 대한 논의와 함께 ‘도대체 내 손과 발로 직접 할 수 있는 일은 뭔가’도 묻게 된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7581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9111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9Jan
    by 바람의종
    2010/01/19 by 바람의종
    Views 9483 

    잇따르다와 잇달다

  5. No Image 14Nov
    by 바람의종
    2008/11/14 by 바람의종
    Views 8158 

    잇달다, 잇따르다

  6. No Image 15May
    by 바람의종
    2012/05/15 by 바람의종
    Views 8697 

    잇달다, 잇따르다

  7. No Image 29Jul
    by 바람의종
    2009/07/29 by 바람의종
    Views 6962 

    잇단, 잇달아

  8. No Image 28Jan
    by 바람의종
    2008/01/28 by 바람의종
    Views 13959 

    입추의 여지가 없다

  9. No Image 04May
    by 바람의종
    2012/05/04 by 바람의종
    Views 14241 

    입천장이 '데이다'

  10. No Image 26Apr
    by 바람의종
    2008/04/26 by 바람의종
    Views 7022 

    입장(立場)을 바꿔보자

  11. No Image 18Mar
    by 바람의종
    2010/03/18 by 바람의종
    Views 11984 

    입장

  12. No Image 28Jan
    by 바람의종
    2008/01/28 by 바람의종
    Views 17638 

    입에 발린 소리

  13. No Image 04Mar
    by 바람의종
    2010/03/04 by 바람의종
    Views 7806 

    입소문

  14. No Image 18Mar
    by 바람의종
    2008/03/18 by 바람의종
    Views 10407 

    입뇌리·물퉁게

  15. No Image 31May
    by 바람의종
    2008/05/31 by 바람의종
    Views 9714 

    임산부/임신부, 홑몸/홀몸

  16. No Image 09Nov
    by 바람의종
    2009/11/09 by 바람의종
    Views 9645 

    임마, 상판때기

  17. No Image 30Mar
    by 바람의종
    2009/03/30 by 바람의종
    Views 7866 

    임대와 임차

  18. No Image 24Mar
    by 바람의종
    2008/03/24 by 바람의종
    Views 10802 

    임·님

  19. No Image 30Aug
    by 風文
    2022/08/30 by 風文
    Views 1326 

    잃어버린 말 찾기, ‘영끌’과 ‘갈아넣다’

  20. No Image 08Apr
    by 바람의종
    2008/04/08 by 바람의종
    Views 9581 

    일터 말

  21. No Image 04Sep
    by 風文
    2022/09/04 by 風文
    Views 1560 

    일타강사, ‘일’의 의미

  22. No Image 26Sep
    by 바람의종
    2012/09/26 by 바람의종
    Views 31659 

    일찌기, 일찍이 / 더우기, 더욱이

  23. No Image 13Jul
    by 바람의종
    2012/07/13 by 바람의종
    Views 11090 

    일제피해여성

  24. No Image 21Nov
    by 바람의종
    2012/11/21 by 바람의종
    Views 15352 

    일절과 일체

  25. No Image 15Nov
    by 바람의종
    2009/11/15 by 바람의종
    Views 9352 

    일절 뒤에는 부정어,금지어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