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8.20 01:42

계집과 여자, 끝

조회 수 187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계집과 여자

습관은 무섭다. 한자 ‘女’를 ‘계집 녀’라고 배워서 아직도 이 글자를 보면 ‘계집’이란 말이 튀어나온다. 초등학생용 한자책을 보니 이제는 ‘여자 녀’로 바뀌었다(‘어미 모’, ‘아비 부’도 ‘어머니 모’, ‘아버지 부’로 바뀌었고, ‘지아비 부’도 ‘남편 부’라 한다). ‘계집’을 ‘여자’로 바꾼다고 성차별이 해결되는 건 아니지만, 시대 변화를 반영하고 차별 극복 의지 정도는 보여준다. 배제가 아닌 평등의 뜻풀이가 필요한 이유이다.

말 나온 김에 <표준국어대사전> 뜻풀이에 ‘계집’이란 말이 들어간 단어를 찾아보았다. 사전 만들 당시 성차별에 대한 감각이 부족했음을 알 수 있다. ‘노비: 사내종과 계집종’, ‘더벅머리: 웃음과 몸을 팔던 계집’, ‘뜬색시: 바람난 계집’, ‘민며느리: 며느리로 삼으려고 관례를 하기 전에 데려다 기르는 계집아이’, ‘본서방: 샛서방이 있는 계집의 본디 남편’, ‘여우: 하는 짓이 깜찍하고 영악한 계집아이’, ‘요부: 요사스러운 계집’. 세상은 바뀌는 데 사전은 제자리걸음이다. 모두 ‘여자’로 바꾸면 훨씬 현대적(!)이다.

‘사내’도 마찬가지라고 하겠지만, 엄연히 둘은 위계가 다르다. ‘사내’는 “‘남자’나 ‘남편’을 이르는 말”이지만, ‘계집’은 “‘여자’나 ‘아내’를 낮잡아 이르는 말”이다. ‘낮잡아 본다’는 것은 시선의 높낮이가 있다는 뜻일 텐데, 그 차이를 줄이는 게 말의 진보다(‘사내’도 ‘남자’로 바꾸는 게 낫다).




우리는 시간 속에서 살지만 시간을 감각할 수는 없다. 감각할 수 없으면서도 알고 싶으니 눈에 보이는 걸 빌려다가 쓴다. 시간을 움직이는 사물로 비유하는 게 제일 흔한 방법이다. 하루가 ‘가고’, 내일이 ‘다가오고’, 봄날은 ‘지나가고’, 시간은 ‘흐르고’, 휴가를 ‘보낸다’는 식이다.

공간을 뜻하던 말을 시간에 끌어와 쓰기도 한다. 그중 하나가 ‘끝’이다. 애초에 ‘끝’은 ‘칼끝’, ‘손끝’처럼 물건의 맨 마지막 부분을 나타낸다. 영화를 끝까지 보거나 책을 끝까지 읽는다고 할 때도 영화나 책의 맨 나중 위치를 말한다. 조용필이 항상 맨 마지막에 나오는 것은 ‘끝’을 어떤 일의 클라이맥스로 여기는 우리의 성향을 반영한다. ‘오랜 수련 끝에 달인의 경지에 오르다’나 ‘고생 끝에 낙이 온다’처럼 ‘끝’이 앞일과 뒷일을 잇는 ‘문지방’ 구실을 하기도 한다.

사람들은 최초(원조)만큼이나 ‘최종’에 대해서 궁금해한다. 시간에 처음과 끝이 있을 리 없지만, 사건에는 처음과 끝이 있다. 입학식과 졸업식을 거창하게 치르듯이 과정보다는 처음과 끝을 중심으로 기억한다. 개인이 사건과 역사라는 말 위에 올라타면 마른 나뭇가지처럼 삶은 ‘시작’과 ‘끝’의 연속으로 또각또각 끊어진다. 생로병사의 외줄을 타는 인간은 특히 ‘끝’에 주목한다. 죽음의 방식을 삶의 성패로 여긴다. 종료의 의미로 ‘끝이 나다’라고 하는데, 싹이 나고 털이 나듯이 끝도 ‘난다(!)’. ‘끝’을 ‘없던 것의 생성’으로 보는 것이다. 보통은 생의 끝이 불현듯 다가오는데, 누구는 의지적으로 끝을 냈다. 삶, 정말 모를 일이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5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12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011
3018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88
3017 24시 / 지지지난 風文 2020.05.16 1340
3016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417
3015 -분, 카울 風文 2020.05.14 1755
3014 풋 / ‘열’(10) ①, ‘열’(10) ② 風文 2020.05.10 1982
3013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732
3012 표준발음, 구명동의 風文 2020.05.08 1962
3011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649
3010 ‘엘씨디로’ / 각출-갹출 風文 2020.05.06 2189
3009 아무 - 누구 風文 2020.05.05 948
3008 뒷담화 風文 2020.05.03 1184
3007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534
3006 배뱅잇굿 風文 2020.05.01 1137
3005 지슬 風文 2020.04.29 1501
3004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88
3003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585
3002 레스쿨제라블, 나발질 風文 2014.12.29 24300
3001 휘거 風文 2014.12.05 25321
3000 CCTV 윤안젤로 2013.05.13 28424
2999 새 학기 단상 윤안젤로 2013.04.19 26045
2998 나, 본인, 저 윤안젤로 2013.04.03 24343
2997 목로주점을 추억하며 윤안젤로 2013.03.28 199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