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8.20 01:42

계집과 여자, 끝

조회 수 173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계집과 여자

습관은 무섭다. 한자 ‘女’를 ‘계집 녀’라고 배워서 아직도 이 글자를 보면 ‘계집’이란 말이 튀어나온다. 초등학생용 한자책을 보니 이제는 ‘여자 녀’로 바뀌었다(‘어미 모’, ‘아비 부’도 ‘어머니 모’, ‘아버지 부’로 바뀌었고, ‘지아비 부’도 ‘남편 부’라 한다). ‘계집’을 ‘여자’로 바꾼다고 성차별이 해결되는 건 아니지만, 시대 변화를 반영하고 차별 극복 의지 정도는 보여준다. 배제가 아닌 평등의 뜻풀이가 필요한 이유이다.

말 나온 김에 <표준국어대사전> 뜻풀이에 ‘계집’이란 말이 들어간 단어를 찾아보았다. 사전 만들 당시 성차별에 대한 감각이 부족했음을 알 수 있다. ‘노비: 사내종과 계집종’, ‘더벅머리: 웃음과 몸을 팔던 계집’, ‘뜬색시: 바람난 계집’, ‘민며느리: 며느리로 삼으려고 관례를 하기 전에 데려다 기르는 계집아이’, ‘본서방: 샛서방이 있는 계집의 본디 남편’, ‘여우: 하는 짓이 깜찍하고 영악한 계집아이’, ‘요부: 요사스러운 계집’. 세상은 바뀌는 데 사전은 제자리걸음이다. 모두 ‘여자’로 바꾸면 훨씬 현대적(!)이다.

‘사내’도 마찬가지라고 하겠지만, 엄연히 둘은 위계가 다르다. ‘사내’는 “‘남자’나 ‘남편’을 이르는 말”이지만, ‘계집’은 “‘여자’나 ‘아내’를 낮잡아 이르는 말”이다. ‘낮잡아 본다’는 것은 시선의 높낮이가 있다는 뜻일 텐데, 그 차이를 줄이는 게 말의 진보다(‘사내’도 ‘남자’로 바꾸는 게 낫다).




우리는 시간 속에서 살지만 시간을 감각할 수는 없다. 감각할 수 없으면서도 알고 싶으니 눈에 보이는 걸 빌려다가 쓴다. 시간을 움직이는 사물로 비유하는 게 제일 흔한 방법이다. 하루가 ‘가고’, 내일이 ‘다가오고’, 봄날은 ‘지나가고’, 시간은 ‘흐르고’, 휴가를 ‘보낸다’는 식이다.

공간을 뜻하던 말을 시간에 끌어와 쓰기도 한다. 그중 하나가 ‘끝’이다. 애초에 ‘끝’은 ‘칼끝’, ‘손끝’처럼 물건의 맨 마지막 부분을 나타낸다. 영화를 끝까지 보거나 책을 끝까지 읽는다고 할 때도 영화나 책의 맨 나중 위치를 말한다. 조용필이 항상 맨 마지막에 나오는 것은 ‘끝’을 어떤 일의 클라이맥스로 여기는 우리의 성향을 반영한다. ‘오랜 수련 끝에 달인의 경지에 오르다’나 ‘고생 끝에 낙이 온다’처럼 ‘끝’이 앞일과 뒷일을 잇는 ‘문지방’ 구실을 하기도 한다.

사람들은 최초(원조)만큼이나 ‘최종’에 대해서 궁금해한다. 시간에 처음과 끝이 있을 리 없지만, 사건에는 처음과 끝이 있다. 입학식과 졸업식을 거창하게 치르듯이 과정보다는 처음과 끝을 중심으로 기억한다. 개인이 사건과 역사라는 말 위에 올라타면 마른 나뭇가지처럼 삶은 ‘시작’과 ‘끝’의 연속으로 또각또각 끊어진다. 생로병사의 외줄을 타는 인간은 특히 ‘끝’에 주목한다. 죽음의 방식을 삶의 성패로 여긴다. 종료의 의미로 ‘끝이 나다’라고 하는데, 싹이 나고 털이 나듯이 끝도 ‘난다(!)’. ‘끝’을 ‘없던 것의 생성’으로 보는 것이다. 보통은 생의 끝이 불현듯 다가오는데, 누구는 의지적으로 끝을 냈다. 삶, 정말 모를 일이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07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6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612
202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340
201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340
200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338
199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338
198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336
197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332
196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331
195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331
194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329
193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329
192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325
191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323
190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320
189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320
188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319
187 순직 風文 2022.02.01 1318
186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318
185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317
184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316
183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315
182 김 여사 風文 2023.05.31 1315
181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3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