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9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불교, 경계를 넘다

세상은 ‘아사리판’. 한 번도 ‘주인공’으로 살아본 적 없는 ‘건달’은 하는 일 없이 주변에서 ‘걸식’을 하며 살았다. 어느 날 ‘성당’처럼 지은 ‘교회’가 눈에 들어왔다. 유리창에 얼굴을 붙이고 안을 기웃거렸다. ‘육안’으로도 사람 그림자가 보였다. ‘장로’를 중심으로 ‘신도’들이 ‘공부’를 하고 있었다. ‘탐욕’과 ‘아집’이 어떻게 ‘세계’를 ‘타락’의 ‘나락’에 빠뜨리는지를 다루고 있었다.

현관문을 두드렸다. ‘집사’가 문을 열었다. 그는 다짜고짜 ‘곡차’를 내놓으라고 윽박질렀다. 집사는 ‘난처’해하면서 교회 앞 ‘식당’에서 ‘점심’을 먹자고 했다. 배고픈 ‘내색’은 하지 않고 ‘무심히’ 뒤를 따랐다. 집사가 말했다.

“우리와 함께 ‘예배’를 드립시다. ‘지옥’의 길에서 빠져나와 ‘천당’에서 ‘천사’와 함께 살듯이 ‘현재’를 행복하게 살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미 지나간 ‘과거’나 아직 오지 않은 ‘미래’에 ‘집착’하지 않는 게 중요합니다. 오로지 ‘현재’ 일어난 것들을 ‘관찰’해야 합니다.” 건달 왈, “나는 기독교 ‘교리’에 ‘문외한’이지만 ‘선생’의 ‘설교’는 마치 불교 말씀 같구려.” 집사는 웃으며 “모든 건 변하니까요”.

건달은 ‘회심’하여 그 집사를 ‘선생’으로 삼아 ‘제자’가 되었다. 그 후로 ‘차별’ 없는 ‘공생’ 사회라는 ‘제목’으로 학위를 따고 ‘교수’가 되어 ‘성자’처럼 ‘학생’들을 가르치며 살았다.(*작은따옴표 안의 낱말은 모두 불교와 관련된 일상어이다. 불교용어도 산스크리트어의 음역이거나 의역이 많다. 말은 경계를 넘는다.)



동서남북

도대체 ‘오른쪽’은 어디인가? 쉬운 말을 뜻풀이하기가 더 까다롭다. 사전에는 ‘북쪽을 향했을 때 동쪽과 같은 쪽’이라는 뾰족수를 내놓고 있지만, 보통은 우리 자신의 몸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눈이 향하는 곳을 기준으로 가로세로로 나누어 오른쪽, 왼쪽, 앞, 뒤를 가리킨다. 자기를 중심으로 방향을 파악하기 때문에 몸의 방향에 따라 전후좌우가 수시로 바뀐다. 지도나 나침반 없이, 별다른 방향감각 없이도 공간을 지각하니 편리하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구구이미티르족에게는 ‘앞, 뒤, 오른쪽, 왼쪽’ 같은 말이 없다. 동서남북을 가리키는 말만 쓴다. 몸과 무관한 절대적 방향감각! 오른쪽 뺨에 묻은 밥풀을 보고 ‘뺨 서쪽에 밥풀 묻어 있어’라 하고, 발 옆으로 개미가 지나가면 당신 북쪽으로 개미가 지나간다고 한다. 내비게이션 지도를 정북 방향 모드로 설정하면 이 감각을 간접 체험할 수 있다. 지도를 북쪽으로 고정시켜 놓아 주행 방향과 다르게 옆이나 거꾸로 간다는 느낌을 받는다. 이들은 허허벌판에서도 목표지를 쉽게 찾아가는데, 이러려면 어떤 상황에서도 정확한 방위를 알아야 한다. 낮이든 밤이든 실내든 실외든 심지어 동굴 안에서도 마음속 나침반을 작동시켜야 한다. 놀랍게도 두 살 때부터 익히기 시작해 일곱 살이면 통달한다.

아버지 세대만 해도 해가 어디서 떠서 어디로 지는지 알고, 남향이니 북향이니 하며 방향에 대한 감각을 풍수지리적으로나마 익혀 왔다. 이제 우리는 땅에서 더욱 멀어졌다. 그걸 알 수 있는 질문. 당신은 지금 당장 해가 어디에서 뜨는지 손가락으로 가리킬 수 있는가?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8135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4811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9645
    read more
  4. 불교, 경계를 넘다, 동서남북

    Date2022.08.15 By風文 Views1193
    Read More
  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경영하지 않는 경영자들

    Date2022.02.13 By관리자 Views1202
    Read More
  6. 영어 절대평가

    Date2022.05.17 By風文 Views1208
    Read More
  7. 내색

    Date2023.11.24 By風文 Views1213
    Read More
  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훼방만 말아 달라

    Date2022.05.23 By風文 Views1227
    Read More
  9. 편견의 어휘

    Date2021.09.15 By風文 Views1236
    Read More
  1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선한 기업이 성공한다

    Date2021.10.31 By風文 Views1247
    Read More
  11. 말과 공감 능력

    Date2022.01.26 By風文 Views1247
    Read More
  12. 여보세요?

    Date2023.12.22 By風文 Views1252
    Read More
  13. 사과의 법칙, ‘5·18’이라는 말

    Date2022.08.16 By風文 Views1257
    Read More
  14. 안녕히, ‘~고 말했다’

    Date2022.10.11 By風文 Views1260
    Read More
  15. 댕댕이, 코로나는 여성?

    Date2022.10.07 By風文 Views1262
    Read More
  16. 댄싱 나인 시즌 스리

    Date2023.04.21 By風文 Views1263
    Read More
  17.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Date2022.08.18 By風文 Views1267
    Read More
  18. 뒷담화 보도, 교각살우

    Date2022.06.27 By風文 Views1270
    Read More
  19.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Date2022.08.04 By風文 Views1271
    Read More
  20. 언어와 인권

    Date2021.10.28 By風文 Views1272
    Read More
  2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자네 복싱 좋아하나?

    Date2022.02.10 By風文 Views1272
    Read More
  22. 외국어 선택, 다언어 사회

    Date2022.05.16 By風文 Views1278
    Read More
  23. 권력의 용어

    Date2022.02.10 By風文 Views1286
    Read More
  24. 24시 / 지지지난

    Date2020.05.16 By風文 Views1288
    Read More
  2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미래를 창조하는 미래

    Date2022.05.17 By風文 Views129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