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61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괄호, 소리 없는
말은 소리에 높낮이를 주거나, 늘이거나, 짧게 끊거나, 뜸을 들이는 방식으로 말하는 이의 의도를 다양하게 담는다. 이에 비해 글은 평평하여 목소리를 담지 못한다. 이를 흉내 내려고 기호를 쓰는데, ‘?’를 붙이면 말끝을 올리고 ‘!’가 나오면 감탄하는 마음이 생기며 ‘…’ 앞에서는 말끝을 흐린다. 그중에 괄호가 있다.

소인배인 나는 나이가 들수록 말이 많아졌다. 말을 하면서도 머릿속에 따로 떠오른 생각마저 주절대니 난삽하다. 학생들한테 한 학기 공부한 보람을 묻는 질문지를 만들면서도 이런 식이다. ‘강의 내용 중에서 삶에 도움이 되는 것이 있었나요?(있기나 하겠습니까마는….)’ 나에게 괄호는 마음속에 떠오른 딴소리를 묻어두지 않고 드러내는 장치다. 관객한테 들리도록 하는 혼잣말이다. 방금 한 말이 온전하지 않아 비슷한 말이나, 덧붙이는 말이나, 대꾸하는 말을 한다.

괄호는 제 목소리를 갖지 못한 말이고, 철저히 ‘을’이다.(수학에서 괄호는 ‘갑’이다. ‘3* (2-1)’은 괄호부터 계산해서 ‘3’이다.) 괄호 다음에 오는 조사는 괄호 안의 말을 무시하고 원래의 말에 맞추어 붙인다. ‘모레(수요일)는’이라고 하지, ‘모레(수요일)은’이라고 안 쓴다. 그래서 짐짓 읽고도 읽지 않은 듯, 말하고도 말하지 않은 듯 해야 한다. 하지만 목소리 없는 이 군더더기는 지금 매끄럽게 내뱉는 말의 뒤편에 실은 다른 표현이 철철 넘친다고 소리친다. 괄호 속 존재는 소거되어야 할 잉여가 아니라 복권되어야 할 아우성이다. 그래서인지 괄호를 보면 혁명이 떠오른다.


……………………………………………………………………………………………………………

반격의 꿔바로우

아침 일찍 빈병을 챙겨 슈퍼에 갖다 팔려고 나서는데, 아내는 오후에 가라고 말린다. 아침부터 빈병을 갖고 가면 장사하는 사람들이 싫어한다고. 하루 매상이 마수걸이에 달려 있다는 생각은 이 무심한 사회에서도 여전히 남아 있다.

습관은 잘 안 바뀐다. 말에 대한 잔소리꾼들은 말소리의 변화를 ‘말세적 징후’로 보는 습관이 있다. 말은 타락을 반영하기도 하고 부추기기도 한단다. 그야말로 슈퍼맨이다. 그들이 거론하는 징후 중 하나는 사람들 말이 점점 ‘쎄지고’ 있다는 것이다. 주범은 된소리다. ‘잘렸어’ ‘세게’ ‘소주’라 해야 하는데 ‘짤렸어, 쎄게, 쏘주’라고 하니 사회는 더 거칠고 강퍅해진다는 거다.

된소리를 경멸하는 태도는 외래어 표기법에도 녹아 있다. 베트남어 등 몇몇 언어를 빼면 원칙적으로 외래어 파열음(k, t, p)은 ‘ㅋ, ㅌ, ㅍ’으로 쓰지 ‘ㄲ, ㄸ, ㅃ’으로 쓰면 안 된다. ‘마오쩌둥’처럼 ‘ㅆ, ㅉ’이 허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꼬냑, 싸이코, 모짜르트’가 아닌 ‘코냑, 사이코, 모차르트’처럼 써야 하는 경우가 훨씬 많다.

그래서 길에서 만난 중국음식 하나가 흥미롭다. ‘꿔바로우[鍋包肉]’. 지금의 외래어 표기법으로 중국어를 표기할 때 ‘ㄲ’은 절대로 쓸 수 없다. 원칙을 따르자면 이 음식은 ‘궈바러우’ 정도로 써야 할 텐데 이를 얼마나 따를까. 그렇다고 ‘탕수육’처럼 우리 한자음에 따라 ‘과포육’이라 하면 장사를 포기하는 일일 테고. 기자들이 흔히 쓰는 표현을 빌리자면 이 말의 미래를 ‘좀 더 지켜봐야겠다.’ 된소리의 반격이 이미 시작된 걸까?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8761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5351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0230
    read more
  4. 콩글리시

    Date2022.05.18 By風文 Views1617
    Read More
  5. 웰다잉 -> 품위사

    Date2023.09.02 By風文 Views1617
    Read More
  6. 북한의 ‘한글날’

    Date2024.01.06 By風文 Views1618
    Read More
  7. 성인의 세계

    Date2022.05.10 By風文 Views1620
    Read More
  8.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Date2022.09.24 By風文 Views1620
    Read More
  9. 위탁모, 땅거미

    Date2020.05.07 By風文 Views1625
    Read More
  10. 풀어쓰기, 오촌 아재

    Date2022.10.08 By風文 Views1626
    Read More
  11. 기림비 2 / 오른쪽

    Date2020.06.02 By風文 Views1627
    Read More
  12.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Date2022.09.03 By風文 Views1630
    Read More
  13. ‘시끄러워!’, 직연

    Date2022.10.25 By風文 Views1630
    Read More
  14. 지긋이/지그시

    Date2023.09.02 By風文 Views1630
    Read More
  15. 노랗다와 달다, 없다

    Date2022.07.29 By風文 Views1631
    Read More
  16.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Date2023.10.18 By風文 Views1633
    Read More
  17. 국가의 목소리

    Date2023.02.06 By風文 Views1644
    Read More
  18. 어쩌다 보니

    Date2023.04.14 By風文 Views1645
    Read More
  19.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Date2022.12.06 By風文 Views1647
    Read More
  20. 한소끔과 한 움큼

    Date2023.12.28 By風文 Views1648
    Read More
  21.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Date2022.09.09 By風文 Views1652
    Read More
  22. 개양귀비

    Date2023.04.25 By風文 Views1652
    Read More
  23. 아이 위시 아파트

    Date2023.05.28 By風文 Views1652
    Read More
  24.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Date2022.10.12 By風文 Views1657
    Read More
  25. 단골

    Date2023.05.22 By風文 Views165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