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0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날아다니는 돼지

잠시 눈을 감고 ‘날아다니는 돼지’를 떠올려보라. 뭐가 떠오르는가? 영화 <붉은 돼지>의 광팬이 아니라면 비행기를 조종하는 돼지가 떠오르지는 않을 거다. 날개가 달려 있던가? 어디에 달려 있던가? 배 밑인가 등 뒤인가? 몇 쌍이던가? 육중한 몸으로 날려면 힘이 꽤 들 텐데도 두 쌍이 아니고 왜 한 쌍만 달려 있을까? 입은 어떻게 생겼던가? 나와 비슷하다면 당신은 새 부리가 아니고 돼지 주둥이를 떠올렸을 것이다. 발도 새 발이 아니라 돼지 발일 테고. 깃털이 있으면 좋으련만, 피부는 어찌나 매끈한지.

세상 어디에도 ‘날아다니는 돼지’는 없다. 그게 중요하다. 없는데도 의미를 아니까 신통한 일이다. 흔히 말의 의미를 사물과 연결시킨다. ‘손톱’이 뭐냐고 물으면 ‘이거’ 하면서 손톱을 가리킨다. 하지만 ‘날아다니는 돼지’에서 보듯이, 말의 의미는 사물로 이해되지 않는다. 우리는 말을 이해하기 위해 자신의 경험을 창조적으로 결합한다. 돼지의 생김새와 새의 날갯짓을 합해 새로운 조합을 만든다.

그런데 경험을 바탕으로 의미를 파악하기 때문에 떠올리는 의미는 사람마다 다르다. ‘아침 밥상’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뜨끈한 국에 밥일 수도 있고, 식빵에 딸기잼일 수도 있고, 우유에 시리얼일 수도 있다. 말의 의미가 다르다는 것은 사람마다 의미를 다르게 구성한다는 뜻이다. 경험의 차이가 의미의 차이를 만든다. 같은 말을 써도 다른 의미를 떠올린다. 우리는 다 다르다. 그러니 내 말뜻을 못 알아듣는 상대를 너무 윽박지르지 말라.


……………………………………………………………………………………………………………

한글날 몽상

한글날이 답답하다. 물론 한글이라는 문자의 과학성은 탁월하다. 간결함에서 오는 아름다움은 예술 분야에서도 입증되었다. 하지만 사람들이 한국어를 대하는 태도를 보면 해방 전후의 언어민족주의에서 달라진 게 없다. 언제 병들지 모르는 연약한 존재로 언어를 보는 태도. 외부의 공격을 막고 내부 혼란을 응징하기 위해 법을 굳건히 지켜야 한다는 순결주의.

모든 사람에겐 말을 비틀거나 줄이거나 늘리거나 새로 만들어 쓸 권리가 있다. 말을 변경하는 권리야말로 구태의연한 말에 생기를 불어넣는 힘이다. 그래서 이런 한글날을 몽상한다. 한국어를 단수가 아닌 무한수로 대함으로써 단일성의 고삐를 풀어주는 날. 규범과 명령의 족쇄에서 일탈과 해방의 카니발. 계급, 나이, 성정체성, 지역, 국가 따위의 이유로 차별받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난만히 피어나는 날. 아이의 말놀이처럼 말의 가능성을 실험하는 날.

굶주린 사람처럼 말에 대한 감각을 키우려는 사람이 많아지면 좋겠다. 음식맛을 백 가지 다르게 표현할 수 있으면 좋겠다. 돌아가신 어머니를 밤새 얘기할 수 있는 사람이 많아지면 좋겠다. 뼈를 깎는 개혁안을 내놓으라고 했더니 손톱을 깎았다’는 신박한 문장을 만들 수 있으면 좋겠다. 한 달에 한 권 정도 책을 읽고 지인들 앞에서 한두 문장을 써먹을 수 있으면 좋겠다. 여기저기 붙어 있는 ‘금지’와 ‘배제’의 안내판을 포용과 환대의 언어로 바꾸어 쓸 수 있으면 좋겠다. 마치 외국어를 대하듯, 귀를 쫑긋하며 듣게 되는 말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 자신의 문체와 말투를 열망하는 한글날이 되시길.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8084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09462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2Jul
    by 風文
    2022/07/12 by 風文
    Views 1134 

    노동과 근로, 유행어와 신조어

  5. No Image 19Jun
    by 風文
    2022/06/19 by 風文
    Views 1138 

    성인의 외국어 학습, 촌철살인

  6. No Image 08Oct
    by 風文
    2023/10/08 by 風文
    Views 1138 

    금새 / 금세

  7. No Image 11Feb
    by 風文
    2022/02/11 by 風文
    Views 1139 

    역사와 욕망

  8. No Image 01Dec
    by 風文
    2021/12/01 by 風文
    Views 1140 

    더(the) 한국말

  9. No Image 01Feb
    by 風文
    2022/02/01 by 風文
    Views 1140 

    순직

  10. No Image 18Jun
    by 風文
    2022/06/18 by 風文
    Views 1140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11. No Image 01Feb
    by 風文
    2023/02/01 by 風文
    Views 1142 

    말의 세대 차

  12. No Image 29Dec
    by 風文
    2023/12/29 by 風文
    Views 1143 

    뒤치다꺼리

  13. No Image 09May
    by 風文
    2022/05/09 by 風文
    Views 1144 

    인종 구분

  14. No Image 30Nov
    by 風文
    2022/11/30 by 風文
    Views 1148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15. No Image 26Apr
    by 風文
    2023/04/26 by 風文
    Views 1148 

    용찬 샘, 용찬 씨

  16. No Image 21Jul
    by 風文
    2022/07/21 by 風文
    Views 1149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17. No Image 30May
    by 風文
    2022/05/30 by 風文
    Views 1153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18. No Image 26Jan
    by 風文
    2022/01/26 by 風文
    Views 1154 

    정당의 이름

  19. No Image 07Sep
    by 風文
    2022/09/07 by 風文
    Views 1154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20. No Image 08Sep
    by 風文
    2022/09/08 by 風文
    Views 1155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21. No Image 28Jul
    by 風文
    2022/07/28 by 風文
    Views 1157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22. No Image 11May
    by 風文
    2022/05/11 by 風文
    Views 1158 

    세계어 배우기

  23. No Image 29Dec
    by 風文
    2023/12/29 by 風文
    Views 1158 

    ‘~스런’

  24. No Image 22Jun
    by 風文
    2022/06/22 by 風文
    Views 1160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25. No Image 01Mar
    by 風文
    2023/03/01 by 風文
    Views 1162 

    울면서 말하기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