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5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말끝이 당신이다

제대로 된 청소는 구석에 숨은 먼지를 치웠느냐에 달려 있다. 문 뒤에 숨은 먼지를 쓸어 담지 않았다면 청소를 제대로 한 게 아니다. 열심히 설거지를 했어도 접시에 고춧가루가 하나 붙어 있으면 말짱 도루묵이듯이.

청소의 성패가 마지막 먼지에 달려 있다면, 말의 성패는 말끝에 달려 있다. 조사나 어미처럼 말끝에 붙어 다른 단어들을 도와주는 것들이 말하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알려준다. 특히 어미를 어떻게 쓰는지를 보면 그 사람의 마음 상태, 성격, 타인과의 관계, 지위가 드러난다.

당신이 어제오늘 보낸 문자나 채팅 앱을 다시 열어 살펴보라. 용건은 빼고 말끝을 어떻게 맺고 있는지 보라. 친한지 안 친한지, 기쁜지 슬픈지, 자신감 넘치는지 머뭇거리는지, 윗사람인지 아랫사람인지 다 드러난다.

친할수록 어미를 일그러뜨려 쓰거나 콧소리를 집어넣고 사투리를 얹어놓는다. ‘아웅, 졸령’ ‘언제 가남!’ ‘점심 모 먹을껴?’ ‘행님아, 시방 한잔하고 있습니더’ ‘워메, 벌써 시작혀부럿냐’. 친하지 않으면 ‘-습니다’를 붙인다. 학생들과 친구처럼 지내봤자, 결석을 통보하는 이들은 ‘이러이러한 사유로 결석하게 되었습니다’ 식으로 메일을 보낸다. 용기가 흘러넘치던 학생한테서 받은 ‘죄송한데 사유는 비밀이고 오늘 수업 결석하겠습니다’가 최대치였다. ‘패랭이꽃도 예쁘게 피고 하늘도 맑아 오늘 결석하려구요!’라는 메일을 받는 게 평생소원이다. 세월이 지나면 말끝이 닳아 없어지기도 한다. ‘어디?’-‘회사’-‘언제 귀가?’-‘두시간 뒤’. 말끝이 당신이다.


……………………………………………………………………………………………………………

고급 말싸움법

매사를 힘의 세기로 결판내는 약육강식의 습관은 말싸움을 할 때도 마찬가지다. 상대를 반드시 ‘이겨먹어야’ 한다는 마음의 밑바닥에는 ‘나는 옳고 상대는 그르다’는 독선이 깔려 있다. 상대방은 뭔가 꿍꿍이가 있고 이기적이다. 내가 이겨야 정의의 승리다.

이런 전투 상황을 벗어날 비법이 있다. 말싸움 중간중간에 ‘물론’이라는 단어를 쓰는 것이다. 말싸움은 자기주장을 상대방에게 관철시키는 게 목적인데, 이를 더욱 확실하게 성취하는 방법 중 하나는 ‘반론에 대한 고려’이다. 내 주장에도 허점이 있을 수 있고, 상대방의 주장에도 쓸 만한 구석이 없지 않다고 인정해주는 단계. 이 ‘반론에 대한 고려’는 ‘물론’이란 말로 구현된다. 자기 말만 하다가도 ‘물론’이 떠오르면 브레이크가 걸리고 뒤를 돌아보게 된다. 총을 내려놓고 싸움 없는 중립지대로 모이자는 뜻이 아니다. 스스로 적진에 뛰어들어 보라는 말이다. 상대방의 안마당을 거닐면서 그에게도 모종의 ‘이유’가 있음을 알아보자는 것이다. 덕을 쌓은 사람만이 할 수 있는 배려심인데, 내가 틀릴지도 모른다는 성찰과 자신감이 없으면 할 수 없다.

남는 문제는 누가 먼저 ‘물론’을 떠올리느냐이다. 아무 논리 없이 위계와 완력으로 사람을 찍어 누르는 무도한 사람을 앞에 두고 나만 손해 보라고? 그런 사람 앞에서조차 ‘물론’이란 말을 ‘기어코’ 떠올릴 수 있다면, 그리하여 모든 인간에겐 존재의 이유와 그럴 만한 사정이 있음을 알게 될 때, 우리 사회는 조금 더 차분해지고 깊어질 거다. 물론 그걸 이용해먹는 자들이 득실거리지만!


김진해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9147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0606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6Oct
    by 風文
    2022/10/26 by 風文
    Views 1268 

    “힘 빼”, 작은, 하찮은

  5. '바치다'와 '받치다'

  6. No Image 03Jan
    by 風文
    2024/01/03 by 風文
    Views 1268 

    있다가, 이따가

  7. No Image 28Dec
    by 風文
    2023/12/28 by 風文
    Views 1269 

    한소끔과 한 움큼

  8. No Image 21Nov
    by 風文
    2023/11/21 by 風文
    Views 1270 

    주현씨가 말했다

  9. No Image 31Jan
    by 관리자
    2022/01/31 by 관리자
    Views 1271 

    어떤 문답

  10. No Image 01Jul
    by 風文
    2022/07/01 by 風文
    Views 1272 

    쌤, 일부러 틀린 말

  11. No Image 20Jul
    by 風文
    2022/07/20 by 風文
    Views 1272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12. No Image 14Nov
    by 風文
    2023/11/14 by 風文
    Views 1272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13. No Image 13Oct
    by 風文
    2022/10/13 by 風文
    Views 1273 

    정치와 은유(2, 3)

  14. No Image 15Nov
    by 風文
    2021/11/15 by 風文
    Views 1274 

    유신의 추억

  15. No Image 26Dec
    by 風文
    2022/12/26 by 風文
    Views 1276 

    ○○노조

  16. No Image 15Oct
    by 風文
    2021/10/15 by 風文
    Views 1277 

    세로드립

  17. No Image 13Feb
    by 風文
    2022/02/13 by 風文
    Views 1278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18. No Image 06Aug
    by 風文
    2022/08/06 by 風文
    Views 1281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19. No Image 09Oct
    by 風文
    2023/10/09 by 風文
    Views 1281 

    말의 적 / 화무십일홍

  20. No Image 28Jan
    by 風文
    2022/01/28 by 風文
    Views 1282 

    통속어 활용법

  21. No Image 26May
    by 風文
    2023/05/26 by 風文
    Views 1282 

    ‘이’와 ‘히’

  22. No Image 01Jun
    by 風文
    2020/06/01 by 風文
    Views 1285 

    깻잎 / 기림비 1

  23. No Image 19Jun
    by 風文
    2023/06/19 by 風文
    Views 1287 

    수능 국어영역

  24. No Image 14Aug
    by 風文
    2022/08/14 by 風文
    Views 1289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25. No Image 15Oct
    by 風文
    2022/10/15 by 風文
    Views 1290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