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00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막장 발언

분노는 격정을 불러오고 격정은 평소의 언어가 아닌 숨겨 놓았던 격한 말을 불러온다. 최근 며칠 동안의 정치 언어가 그렇게 흘러가고 있다. 경쟁 정파나 견제 세력에게 그러는 것이 아니라 같이 한솥밥을 먹던 사람들한테 우리가 언제 한 식구였냐는 듯이 앙칼지게 다투고 있다. 정치의 격이 허물어지고 말의 가치가 나락으로 떨어지는 모양새이다.

주먹으로 치고받으면 보통 ‘싸움’이라고 한다. 이것을 말로 공방을 벌이면 ‘다툼’이라 한다. 주먹과 말은 이렇게 공격성이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대개는 주먹싸움보다는 말다툼을 좀 너그럽게 생각한다. 그래서 주먹을 사용하면 ‘폭력’이라는 형법 개념을 사용하지만 말다툼은 기껏해야 ‘언쟁’이라 하면서 폭력의 앞 단계 정도로 본다. 아무리 정도가 심했다 해도 ‘명예훼손’ 정도로 다룬다.

우리의 법 제도는 폭력을 금지하고 있지만 정치와 문화 공간에서는 어느 정도 풀어놓고 통제를 한다. 예를 들어 주먹질과 발길질도 특정한 스포츠 종목에서는 ‘엄격한 규칙 아래’ 허용이 되듯이 언어적 공격도 정치 세계에서는 ‘어느 정도’ 허용된다. 그러다 보니 심할 경우에는 종종 ‘막말’이니 ‘말 폭탄’이니 하는 말까지 나오게 된다. 그러나 거기에도 ‘도’와 ‘격’이 필요하다.

정치적인 말다툼에도 일정한 법칙이 있다. 정치를 ‘지속가능한 경기’로 만들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 국민은 세금을 내고 정치인들의 자유로운 언행을 폭넓게 허용한다. 의회 정치의 정도는 어떻게 해서든지 모든 이해관계를 ‘언어를 가지고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국민에게 보여주는 것이다. 상황이 다급하다 해서 아무 말이나 쏟아붓다 보면 결국은 의도하지는 않았었겠지만 ‘대통령의 내란’이라는 해괴한 말까지 새어 나오게 된다. 정치인 스스로도 언어 관리자라는 생각을 잊지 말았으면 한다.


김하수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

연변의 인사말

많은 사람들이 ‘연변’이라는 지명을 들으면 마치 한국의 주변부처럼 생각하고 그들의 언어도 방언의 한 종류처럼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연변 사람들의 삶은 그리 대한민국에 의존적이지 않다. 또 말투는 비록 방언처럼 들리지만 체계화가 돼 있고, 그 용법은 독자성이 있다. 어휘는 북쪽의 방언을 닮은 것도 있지만 중국어에서 온 것도 꽤 된다.

흥미로운 것은 연변에는 지역 자체의 음악과 민담이 있다는 점이다. 노래방에 가 보면 남과 북의 노래와 연변 노래가 가지런히 준비되어 있다. 미국이나 캐나다의 동포들이 자신의 노래나 민담을 가지고 있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그만큼 연변은 자체의 문화적 자생 능력을 갖추고 있는 지역이다. 게다가 일부 지명은 중국어가 아닌 우리 언어로 된 것도 있다.

이곳에서는 술자리에서 잔을 들자는 뜻으로 ‘냅시다’라고 하고, 쭉 들이켜자는 말로는 ‘합시다’라는 말을 한다. 물론 중국어도 젊은층에서는 많이 쓴다. 또 나이 드신 분들한테 오래 장수하시라는 말로는 ‘오래 앉으십시오’라고 한다. 노년에 꼿꼿하게 앉아 있다는 것은 건강의 징표이다. 반대로 자주 눕게 되면 건강이 오래가기 어렵다. 어찌 보면 ‘만수무강하십시오’라는 말이 과장된 수사적 표현에 가깝다면 ‘오래 앉으십시오’는 연말연시에 웃어른들한테 쓸 수 있는 꽤 실용적인 인사라고 할 수 있겠다.

묵은해를 보내며 그동안 도탑게 지내지 못했던 사람들한테도 밀린 인사를 전하는 시기이다. 잦은 송년회에서의 인사와 덕담, 또 건배사 등에 쫓기다 보면 모임의 성격과 상대방의 처지에 따라 살갑게 말을 건네지 못하고 거의 똑같은 인사에 어슷비슷한 덕담에 대충 외워둔 건배사로 자꾸 말을 때우게 된다. 더 진정 어린 인사와 덕담을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주위를 둘러볼 필요가 있다.


김하수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4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93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969
1236 안절부절 하다 바람의종 2008.09.26 7026
1235 안절부절못하다 바람의종 2010.03.24 13279
1234 안정화시키다 바람의종 2012.04.23 13864
1233 안치다, 밭치다, 지게, 찌개 바람의종 2008.06.16 8383
1232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바람의종 2009.05.01 15633
1231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492
1230 안팎 바람의종 2010.11.26 11635
1229 안하다, 못하다 바람의종 2009.02.10 17685
1228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15
1227 않는, 않은 바람의종 2008.09.29 15477
1226 않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14 8087
1225 알력 바람의종 2007.07.31 7097
1224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12.09.11 16683
1223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14
1222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424
1221 알비 바람의종 2009.11.23 9438
1220 알아야 면장한다. 바람의종 2009.06.15 6781
1219 알았습니다. 알겠습니다. 바람의종 2012.06.19 14275
1218 알은척 / 아는 척 바람의종 2009.02.07 10819
1217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49
1216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바람의종 2009.03.08 19211
1215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99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