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5.20 13:17

귀순과 의거

조회 수 115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귀순과 의거

남과 북이 증오에 익숙해진 지 퍽 오래다. 그래도 근간에는 같은 말도 어느 정도 가려가며 쓰려는 것 같아 다행이다. 한때는 ‘괴뢰’라는 말을 썼지만 어느 결엔가 그 말은 사라졌다. 괴뢰는 꼭두각시란 뜻인데 요즘 북한 정책은 아무리 봐도 너무 뻣뻣해서 그렇지 누군가의 꼭두각시인 것 같지는 않다. 분단 이후 도대체 몇 명이나 북에서 남으로, 혹은 남에서 북으로 삶터를 바꿨을까? 철책선을 둘러보면 도대체 이렇게 엄중한 차단선을 어찌 감히 넘어갈 엄두를 냈는지 믿어지지가 않는다. 그럼에도 그것을 넘었다면 필경 이해하기 어려운 깊은 곡절과 사연이 있었으리라. 우리는 그렇게 70여 년을 보냈다.

우리는 북에서 남쪽으로 넘어오는 것을 ‘귀순’이라고 한다. ‘반역의 진영’에서 마음을 바꿔 ‘순종’을 하려 한다는 뜻이다. 반대로 남에서 북으로 넘어가는 것을 북에서는 ‘의거’라고 한다. ‘정의로운 행동’이라고 해석하는 것이다. 이 얼마나 주관적인 이름 짓기인가? 적대적이던 쪽으로 국경을 넘는 것은 비상한 각오 없이는 불가능하다. 또 그럴 만한 ‘절박함’도 있어야 한다. 그런 것을 이렇게 ‘순종’이나 ‘정의’라는 단순 유치한 개념으로 묶어버리는 일은 온당한 언어 사용이 아니다. 그냥 정치적으로 이용하겠다는 말에 지나지 않는다.

임의로 국경선을 넘는 것은 정확하게 표현하면 ‘망명’이다. 그리고 그 원인은 복잡한 ‘정치성’과 개인의 ‘내면적 아픔’이 뒤엉켜 있다. 우리가 민주 사회를 지향한다면 북에서 오는 사람들이 배가 고파 왔건, 음악이 좋아서 왔건, 철학적 근거를 가지고 왔건 ‘망명자’라는 객관적 신분과 그에 걸맞은 법적인 보호를 해 주는 것이 옳다. 올바른 명칭과 올바른 법적 대우, 그리고 인간적인 존중, 이것이 민주 사회가 향해야 할 바른 태도이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8699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0177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7Feb
    by 바람의종
    2008/02/17 by 바람의종
    Views 8118 

    굿

  5. No Image 28May
    by 바람의종
    2010/05/28 by 바람의종
    Views 9149 

    궁거운 생각!

  6. No Image 17Dec
    by 바람의종
    2007/12/17 by 바람의종
    Views 7126 

    궁시렁궁시렁

  7. No Image 30May
    by 바람의종
    2009/05/30 by 바람의종
    Views 6260 

    궁작이

  8. No Image 16Mar
    by 바람의종
    2010/03/16 by 바람의종
    Views 12223 

    궂기다

  9. No Image 30Apr
    by 바람의종
    2008/04/30 by 바람의종
    Views 8887 

    궂긴소식

  10. No Image 19Jul
    by 바람의종
    2008/07/19 by 바람의종
    Views 7451 

    궂긴인사

  11. No Image 28May
    by 바람의종
    2010/05/28 by 바람의종
    Views 11380 

    궂은날, 궂은 날

  12. No Image 10Feb
    by 風文
    2022/02/10 by 風文
    Views 1309 

    권력의 용어

  13. No Image 11Nov
    by 風文
    2023/11/11 by 風文
    Views 1493 

    귀 잡수시다?

  14. No Image 06Jun
    by 바람의종
    2007/06/06 by 바람의종
    Views 8670 

    귀감

  15. No Image 14Aug
    by 바람의종
    2012/08/14 by 바람의종
    Views 33034 

    귀를 기울이다 / 술잔을 기우리다

  16. No Image 11Jun
    by 바람의종
    2009/06/11 by 바람의종
    Views 10619 

    귀성

  17. No Image 20May
    by 관리자
    2022/05/20 by 관리자
    Views 1151 

    귀순과 의거

  18. No Image 17Feb
    by 바람의종
    2009/02/17 by 바람의종
    Views 11019 

    귀절 / 구절

  19. No Image 15Feb
    by 바람의종
    2008/02/15 by 바람의종
    Views 9968 

    귀지하다

  20. No Image 28Dec
    by 바람의종
    2007/12/28 by 바람의종
    Views 18054 

    귀추가 주목된다

  21. No Image 26Sep
    by 바람의종
    2012/09/26 by 바람의종
    Views 8638 

    귀향객, 귀성객

  22. No Image 03Apr
    by 바람의종
    2009/04/03 by 바람의종
    Views 10734 

    귓밥을 귀후비개로 파다

  23. No Image 18Mar
    by 바람의종
    2010/03/18 by 바람의종
    Views 9206 

    그것을 아시요?

  24. No Image 27Aug
    by 바람의종
    2010/08/27 by 바람의종
    Views 8996 

    그것참

  25. No Image 10Jul
    by 바람의종
    2009/07/10 by 바람의종
    Views 7370 

    그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