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2.01 06:58

순직

조회 수 131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순직

세월호에서 학생들을 구하다 숨진 ‘기간제 교사’가 ‘현행법 때문에’ 순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상식적으로 본다면 배와 승객을 버리고 도망친 선장과 달리 존경과 우대를 받아야 마땅하거늘 어찌 우리의 법률은 그런 희생자에게 사후까지 이런 매정한 대우를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우리는 더 나은 가치를 위하여 자신의 목숨을 버린 행위를 ‘순절’이라는 말로 기린다. 종종 ‘순사’라고도 한다. 나라를 위하여 싸우다 죽은 이들은 ‘순국’했다고 하며, 신앙을 위한 것이었으면 ‘순교’라고 한다. 그리고 자신의 직분을 다하다가 희생된 사람들은 ‘순직’이라 해서 법적으로 그의 명예를 드높이고 유족에 대해 깊은 배려를 아끼지 않는다.

나라를 위해 순국한 사람들을 둘러보면 무슨 공직이나 관직에 있었던 사람들보다는 가진 것 많지 않은 사람들이 흔연히 몸을 바친 경우가 매우 많다. 그러니 기간제니 임시직이니 계약직이니를 꼽으며 순국 여부를 따진다면 이 얼마나 해괴한 일이겠는가. 순교자도 성직자인지의 여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나 뜨겁게 신앙을 지켰는가가 유일한 잣대이다. 순직도 해당 직책과 임무에 얼마나 철저했느냐가 중요하지 직위나 직급을 따진다면 오히려 모욕이 될 것이다.

세월호 사건은 공직자들이 얼마나 무책임하게 어린 학생들을 죽음으로 내몰았는지를 보여주는 사건이다. 순직자를 기린다는 것은 공적인 책임자들이 자신의 임무를 끝까지 다하도록 독려함으로써 다시는 억울하고 원통한 희생이 나오지 않도록 하자는 것이다. 우리가 하루하루 큰 탈 없이 사는 것은 자신이 잘나서라기보다는 누군가 안 보이는 곳에서 희생과 헌신을 하는 덕분일 것이다. 희생과 헌신을 이렇게 소홀히 다루는 법률은 하루빨리 손질해야 한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2888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4415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1Sep
    by 風文
    2022/09/21 by 風文
    Views 1189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5. No Image 26Jul
    by 風文
    2022/07/26 by 風文
    Views 1190 

    날아다니는 돼지, 한글날 몽상

  6. No Image 01Jun
    by 風文
    2022/06/01 by 風文
    Views 1191 

    경평 축구, 말과 동작

  7. No Image 13Jul
    by 風文
    2022/07/13 by 風文
    Views 1195 

    사람, 동물, 언어 / 언어와 인권

  8. No Image 10Oct
    by 風文
    2022/10/10 by 風文
    Views 1199 

    인과와 편향, 같잖다

  9. No Image 11Oct
    by 風文
    2023/10/11 by 風文
    Views 1201 

    모호하다 / 금쪽이

  10. No Image 31May
    by 風文
    2022/05/31 by 風文
    Views 1202 

    올림픽 담론, 분단의 어휘

  11. No Image 01Sep
    by 風文
    2022/09/01 by 風文
    Views 1205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12. No Image 19Apr
    by 風文
    2023/04/19 by 風文
    Views 1205 

    내연녀와 동거인

  13. No Image 01Nov
    by 風文
    2023/11/01 by 風文
    Views 1205 

    ‘내 부인’이 돼 달라고?

  14. No Image 30Dec
    by 風文
    2023/12/30 by 風文
    Views 1205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15. No Image 12Jul
    by 風文
    2022/07/12 by 風文
    Views 1210 

    노동과 근로, 유행어와 신조어

  16. No Image 16May
    by 風文
    2020/05/16 by 風文
    Views 1212 

    24시 / 지지지난

  17. No Image 16Jul
    by 風文
    2022/07/16 by 風文
    Views 1212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18. No Image 20May
    by 風文
    2022/05/20 by 風文
    Views 1216 

    말과 상거래

  19. No Image 06Feb
    by 風文
    2022/02/06 by 風文
    Views 1217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이제 '본전생각' 좀 버립시다

  20. No Image 25Jan
    by 風文
    2022/01/25 by 風文
    Views 1219 

    연말용 상투어

  21. No Image 10Nov
    by 風文
    2021/11/10 by 風文
    Views 1220 

    주어 없는 말

  22. No Image 14Jun
    by 風文
    2022/06/14 by 風文
    Views 1220 

    동무 생각, 마실 외교

  23. No Image 03Sep
    by 風文
    2021/09/03 by 風文
    Views 1221 

    옹알이

  24. No Image 06May
    by 風文
    2022/05/06 by 風文
    Views 1222 

    외국어 차용

  25. No Image 05Aug
    by 風文
    2022/08/05 by 風文
    Views 1223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