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2.01 06:54

삼디가 어때서

조회 수 17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삼디가 어때서

느닷없이 정치판에서 언어 문제로 입씨름이 붙었다. ‘3D 프린터’를 [삼디]라고 읽느냐 [스리디]라고 읽느냐 하는 문제다. 이상하게도 정치권에서 영어 발음 같은 언어 문제로 다툼이 생기면 대개 비본질적인 논쟁으로 비화한다. 여러 해 전에 ‘오렌지’냐 ‘어륀지’냐 하던 논쟁도 정책 수준을 무척 저급하게 만들었던 추억으로 남았다.

옛날 군에서 지급한 소총은 M1[엠원]이었다. 후에 M16이 지급됐다. 보통 [엠십육]이라고도 했지만 [엠식스틴]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었다. 반면에 국산 고등훈련기 T-50은 [티오십]이고 보잉 707도 보통 [칠공칠]이라 한다. 역사 수업에서 배운 제국주의의 삼비(3B) 정책과 삼시(3C) 정책은 아무도 [스리비]나 [스리시]라고 하지 않았다.

더 나아가 힘든 직업을 가리키는 ‘3D’ 업종은 보통 [스리디 업종]이 아니라 [삼디 업종]이라 한다. 연필 ‘4B'도 보통 [사비]라 하지 [포비]라 하지 않는다. 그러니 도대체 발음의 원리가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언어 전문가로서는 민망스럽게도 ‘특별한 원리가 없다’고밖에 할 말이 없다.

이 두 가지 발음법은 윤리 문제도, 언어 원리의 문제도 아니다. 또 지식의 문제도 아니다. 그저 인습과 취향의 차이에 더 가깝다. 이런 것으로 누가 더 유능한 사람인지는 도저히 평가할 수 없다. ‘3D’를 차라리 ‘삼차원’ 혹은 ‘입체’라고 표현했다면 더 나았겠다.

이번 대선은 수많은 시민들이 무려 스무 번 넘게 길거리에서 ‘자기 이익’을 넘어서서 헌신함으로써 얻어낸 ‘역사적 기회’이다. 이 기회를 의미 없는 말꼬리 잡기로 낭비하지 말았으면 좋겠다. 말로는 ‘통합’이면서 실천은 ‘분열’과 ‘파열’로 나아가고 있지 않는가?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3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96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668
3150 산오이풀 바람의종 2008.04.07 7333
3149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459
3148 일터 말 바람의종 2008.04.08 9678
3147 밸과 마음 바람의종 2008.04.09 8580
3146 비비추 바람의종 2008.04.10 6884
3145 버들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4.10 8216
3144 일벗 사이 바람의종 2008.04.13 10087
3143 곧은밸 바람의종 2008.04.13 6816
3142 분꽃 바람의종 2008.04.14 7413
3141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바람의종 2008.04.15 8810
3140 인사 바람의종 2008.04.15 10106
3139 영양과 ‘고은’ 바람의종 2008.04.16 10864
3138 인사말 바람의종 2008.04.17 7466
3137 통장을 부르다 바람의종 2008.04.17 11864
3136 쑥부쟁이 바람의종 2008.04.19 7570
3135 금산과 진내을 바람의종 2008.04.19 7078
3134 나들이 바람의종 2008.04.20 8875
3133 기윽 디읃 시읏 바람의종 2008.04.20 11178
3132 논개 바람의종 2008.04.21 8620
3131 꽃무릇 바람의종 2008.04.21 6321
3130 술이홀과 파주 바람의종 2008.04.22 7770
3129 예식장 바람의종 2008.04.22 70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