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30 00:22

사저와 자택

조회 수 123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저와 자택

한국말에는 서로의 관계를 고려해서 조심해 써야 할 말들이 매우 많다. 존댓말만이 아니라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말처럼 행여 오해 사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할 부분이 한둘이 아니다. 그래서 우리의 어휘가 다양하고 다채롭다는 말을 들을 수도 있지만 반대로 그러한 세세한 구별이 과연 꼭 필요한가 하는 물음도 생긴다.

그 가운데 하루빨리 개선되었으면 하는 대표적인 것이 무심코 튀어나오는 전근대적인 표현들이다. 나이든 남자를 ‘영감’이라고 한다든지, 이미 고어가 되었어야 할 ‘아녀자’라는 말이 아직도 사전에 올라 있는 것이라든지, 같은 성인들 사이에서 손위 손아래 따지는 것 등은 우리 사회 곳곳에 아직 전근대적 요소가 버젓이 살아 있음을 보여 준다. 제대로 ‘시민사회’가 무르익지 못했다는 말이다. 언어만이 아니라 종종 터져나오는 약자에 대한 ‘갑’의 만행을 보면 분명히 전근대 사회의 양반이나 토호들이 머슴과 종들한테 해대던 패악질과 똑 닮지 않았는가?

대통령이 자리에서 물러나 본래 살던 집으로 돌아갔다. 너도나도 그 집을 ‘사저’라고 부른다. 사저는 관저와 대조되는 개념이다. 관저는 고위직에 있는 사람한테 제공된 집이다. 그러고 보니 사저라는 말 역시 그리 ‘현대적 표현’은 아니다. 공직이 끝나면 당연히 ‘자택’ 혹은 ‘자기 집’으로 돌아간다고 하는 것이 옳다. 듣자 하니 누군가는 ‘마마’라는 표현까지 했다고 한다.

물러난 대통령은 남달리 ‘영애, 시해, 아우라’ 등 우리의 시대정신과 어긋나는 비범한 말을 많이 들으며 살았다. 그러니만큼 그저 그런 보통사람의 삶과 다른 길을 걸었고 결국은 그것 때문에 사달이 나고야 말았다. 모든 사람의 삶에 좋은 교훈으로 삼기 위해서라도 그에게 덮어씌워져 있던 ‘전근대적 언어’를 우리 손으로 거두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1690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3201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8Jun
    by 風文
    2022/06/18 by 風文
    Views 1230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5. No Image 29Jun
    by 風文
    2022/06/29 by 風文
    Views 1230 

    주시경, 대칭적 소통

  6. No Image 16Sep
    by 風文
    2022/09/16 by 風文
    Views 1228 

    그림과 말, 어이, 택배!

  7. No Image 30May
    by 風文
    2022/05/30 by 風文
    Views 1226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8. No Image 27Apr
    by 風文
    2022/04/27 by 風文
    Views 1224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9. No Image 19Jun
    by 風文
    2022/06/19 by 風文
    Views 1223 

    성인의 외국어 학습, 촌철살인

  10. No Image 06Jul
    by 風文
    2022/07/06 by 風文
    Views 1220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11. No Image 11Feb
    by 風文
    2022/02/11 by 風文
    Views 1218 

    역사와 욕망

  12. No Image 09May
    by 風文
    2022/05/09 by 風文
    Views 1215 

    인종 구분

  13. No Image 02Jan
    by 風文
    2024/01/02 by 風文
    Views 1215 

    아주버님, 처남댁

  14. No Image 23Aug
    by 風文
    2022/08/23 by 風文
    Views 1214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15. No Image 18Dec
    by 風文
    2023/12/18 by 風文
    Views 1213 

    가짜와 인공

  16. No Image 03Jan
    by 風文
    2024/01/03 by 風文
    Views 1210 

    내일러

  17. No Image 03Sep
    by 風文
    2021/09/03 by 風文
    Views 1209 

    옹알이

  18. No Image 24Feb
    by 風文
    2022/02/24 by 風文
    Views 1209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19. No Image 29Aug
    by 風文
    2022/08/29 by 風文
    Views 1209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20. No Image 05Dec
    by 風文
    2023/12/05 by 風文
    Views 1207 

    상석

  21. No Image 01Dec
    by 風文
    2021/12/01 by 風文
    Views 1204 

    더(the) 한국말

  22. No Image 25Jul
    by 風文
    2022/07/25 by 風文
    Views 1203 

    말의 이중성, 하나 마나 한 말

  23. No Image 12May
    by 風文
    2022/05/12 by 風文
    Views 1202 

    영어의 힘

  24. No Image 21Dec
    by 風文
    2023/12/21 by 風文
    Views 1200 

    장녀, 외딸, 고명딸

  25. No Image 11Sep
    by 風文
    2022/09/11 by 風文
    Views 1199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