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28 22:52

외래어의 된소리

조회 수 128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외래어의 된소리

한때 국민 점심 ‘짜장면’의 바른 표기가 ‘자장면’이었던 적이 있었다. 몇 가지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외래어 표기에 된소리를 안 쓰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었다. 이젠 둘 다 인정을 받는다. 다행히 ‘짬뽕’과 ‘껌’은 굳어진 관행으로 인정을 받아서 굳이 ‘잠봉’이나 ‘검’으로 적을 필요가 없었다. ‘짬뽕하다’라든지 ‘껌값’ 등의 파생어가 생겨서 이미 손을 쓸 수도 없었다.

우리의 언어 현실에서는 사실 외래어를 된소리로 발음하는 경우가 흔하다. 그러다 보니 외래어 표기 규범과 충돌된다. 자연히, 표기할 때는 부드러운 예사소리로, 발음할 때는 익숙한 된소리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글 쓸 때는 ‘버스, 가스’, 말할 때는 ‘[뻐스], [까스]’ 하는 식이다. 그러다 보니 독한 ‘빼갈’ 마실 때는 된소리로 말하고, 사전을 찾을 때는 ‘배갈’을 찾아야 하는 모순이 생긴다.

아예 예사소리로 발음하면 의미 전달이 안 되는 경우도 있다. 뒷배가 든든한 사람을 가리켜 ‘빽이 좋은 사람’이라고 하면 무슨 말인지 알겠는데 ‘백이 좋은 사람’이라고 하면 그냥 멍해진다. 자동차 타이어가 터지거나 미리 잡은 일정이 취소됐을 때 또 낙제 학점이 나왔을 때, [빵꾸]가 났다고들 하는데, 길거리의 정비공장에는 ‘빵구’라고 씌어 있는 곳이 많다. 그런데 신문 기사에는 대개 ‘펑크’라고 표기된다. 세 가지의 변이가 생긴 것이다.

이렇게 통속적으로 사용되는 외래어를 엄격한 표기 규범의 틀 안에서 해결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애를 쓰면 쓸수록 규정의 이상과 언어의 현실 사이의 틈만 벌어진다. 이렇게 통속적 경로로 들어온 외래어는 규정에 ‘관습적 형태’라고 해서 따로 인정해주는 편이 더 유용하지 않을까 한다. 그래야 표준어 관리자도, 언어 사용자들도 편해진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2264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8786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3784
    read more
  4. 반동과 리액션

    Date2023.11.25 By風文 Views1288
    Read More
  5. 매뉴얼 / 동통

    Date2020.05.30 By風文 Views1289
    Read More
  6.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Date2022.07.27 By風文 Views1290
    Read More
  7.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Date2022.11.09 By風文 Views1290
    Read More
  8. 우방과 동맹, 손주

    Date2022.07.05 By風文 Views1291
    Read More
  9. 순직

    Date2022.02.01 By風文 Views1292
    Read More
  10. 정보와 담론, 덕담

    Date2022.06.15 By風文 Views1293
    Read More
  11. 세계어 배우기

    Date2022.05.11 By風文 Views1294
    Read More
  12. 생각보다, 효녀 노릇

    Date2022.09.02 By風文 Views1294
    Read More
  13. 교정, 교열 / 전공의

    Date2020.05.27 By風文 Views1295
    Read More
  14. 구경꾼의 말

    Date2022.12.19 By風文 Views1296
    Read More
  15. ‘며칠’과 ‘몇 일’

    Date2023.12.28 By風文 Views1296
    Read More
  16. 날씨와 인사

    Date2022.05.23 By風文 Views1297
    Read More
  17. 남친과 남사친

    Date2023.02.13 By風文 Views1300
    Read More
  18.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Date2023.02.27 By風文 Views1303
    Read More
  19. 붓다 / 붇다

    Date2023.11.15 By風文 Views1304
    Read More
  20. 뒤치다꺼리

    Date2023.12.29 By風文 Views1305
    Read More
  21. ‘가오’와 ‘간지’

    Date2023.11.20 By風文 Views1306
    Read More
  22. '밖에'의 띄어쓰기

    Date2023.11.22 By風文 Views1306
    Read More
  23. 주현씨가 말했다

    Date2023.11.21 By風文 Views1311
    Read More
  24. 깻잎 / 기림비 1

    Date2020.06.01 By風文 Views1313
    Read More
  25.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Date2022.06.17 By風文 Views131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