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28 22:49

통속어 활용법

조회 수 14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통속어 활용법

오랜 국어 수업과 시험을 통해 우리는 항상 ‘표준어가 늘 옳다’는 생각에 젖어 있다. 표준어가 아닌 방언과 비표준어는 배제의 대상이 된다. 비표준어의 대표는 통속어들이다. 길거리에서 굴러다니면서 생겨난 말들이다. 대개는 통속어를 못난 어휘로 여기지만 사실 표준어 주변에 꽤 유용하게 쓰인다.

간단한 예를 들어 ‘원수’라는 말을 생각해 보자. ‘원수’는 적대적인 상대를 일컫는다. ‘웬수’는 그것의 방언형이다. 그러나 그 쓰임새를 보면 ‘웬수’와 ‘원수’는 분명히 다르다. ‘원수’는 적개심을 가지고 쓰지만 ‘웬수’는 오히려 애정을 가지고 사용한다. 주로 여성들이 남편이나 자식들이 속을 썩일 때 쓰지 않는가?

음식 중에 ‘아구찜’이란 것이 있다. 그런데 그 이름의 ‘아구’는 틀리고 ‘아귀’가 맞다. 아무리 마음먹고 ‘아귀찜’이라고 해도 그 음식의 맛이 당겨오지 않는다. 입맛 돌게 하는 말은 아무리 보아도 ‘아구찜’이다. 아귀는 불교에서 말하는 굶주린 귀신을 일컫는 말로 더 적당하다.

바람직한 다른 예로 ‘힘’의 방언 형태인 ‘심’이 들어간 ‘밥심’의 경우가 있다. ‘심’이 ‘힘’의 방언이지만 언어 현실 속에는 오로지 ‘밥심’만 있다. 그렇기에 ‘입심’, ‘뱃심’하고 하나의 계열처럼 규범 어휘 안으로 받아들였다.

표준어는 옳으냐 그르냐의 문제라기보다는 유용함의 여부로 판단하는 것이 낫다. 따라서 그 타당성의 기준을 좀 더 너그럽게 할 필요가 있다. 언어는 반듯한 것보다는 풍부하고 다양한 쓰임새가 중요하다. 그래야 궁극적으로 규범의 권위도 더 강해진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96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54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538
311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408
310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609
309 갈께/갈까 바람의종 2008.09.20 6869
308 갈기갈기, 갈래갈래,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9.10.28 10706
307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456
306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46
305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427
304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632
303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458
302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405
301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325
300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635
299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191
298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821
297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488
296 간(間)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2.27 11578
295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102
294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267
293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444
292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676
291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1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