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12 22:40

자백과 고백

조회 수 11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자백과 고백

자백이란 말과 고백이란 말은 생김새도 비슷하고, 같은 한자도 들어 있고 하니까 비슷한 말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이 말이 사용되는 맥락을 곱씹어보면 그 차이는 크고도 크다. 사용자의 태도와 심성, 사용되는 언어의 가치 자체가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잘못을 저지르고 나서 그것을 ‘자백’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과오를 조금이라도 더 숨기거나 줄여보려고 한다. 죗값이 가벼운 쪽으로 저울질되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자백을 요긴하게 이용하려면 잘못의 주체를 ‘타인’으로 삼고 적당히 둘러대야 ‘법적’으로는 조금이나마 유리해진다. 신문을 당하며 조금만 살짝 자백하고 더 추궁당하면 또 찔끔 자백하고, 요리 빼고 조리 빼고 하면서, 신문자와 씨름을 하게 된다. 신문하는 사람이나 옆에서 보는 사람이나 분노를 느끼게 된다. 자백은 하면 할수록 스스로 추해진다.

자백이 아닌 ‘고백’은 신문하는 사람이 없다. 자기가 다 털어놓는 것이다. 그 안에는 자기 잘못도 들어 있으며 또한 잘못된 판단에 이르는 과정에 대한 진지한 반성과 성찰 그리고 뉘우침이 담겨 있다. 고백의 주체는 오로지 ‘나’이다. 그러니 고백에는 핑계와 둘러대기가 없다. 그럼에도 사람의 마음을 움직인다. 그러한 행위와 심정을 적은 고백문학이 값진 평가를 받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고백은 하면 할수록 스스로 맑아진다. 비록 윤리적으로, 법적으로는 문제가 있을지라도 많은 가르침을 남기기도 한다.

지금 이 나라의 대통령에게 국민이 요구하는 것은 자백이 아닌 고백이다. 그리고 그 고백에 마땅히 뒤따라야 할 올바른 후속 행위이다. 하루하루를 힘들게 견뎌가며 사는 이들에게 이렇게 정치적 불안정을 오래 강요하는 것은 대통령 자신과 국민 양쪽에 걷잡을 수 없는 불행을 불러온다. 시간이 그리 많지 않다. 국민이 한없이 기다릴 수는 없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1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7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720
3150 좌익 바람의종 2007.08.20 6610
3149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9963
3148 지척 바람의종 2007.08.21 6771
3147 지하철 바람의종 2007.08.21 8016
3146 지향 바람의종 2007.08.22 6620
3145 질곡 바람의종 2007.08.22 8006
3144 질풍, 강풍, 폭풍, 태풍 바람의종 2007.08.23 8493
3143 차례 바람의종 2007.08.23 6633
3142 청사 바람의종 2007.08.24 5921
3141 청사진 바람의종 2007.08.24 7706
3140 청신호 바람의종 2007.08.30 7641
3139 초미 바람의종 2007.08.30 8644
3138 추파 바람의종 2007.08.31 11156
3137 퇴짜 바람의종 2007.08.31 10179
3136 배제하다?/최인호 바람의종 2007.08.31 8889
3135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바람의종 2007.08.31 13161
3134 아사리판 / 한용운 바람의종 2007.08.31 11341
3133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358
3132 파경 바람의종 2007.09.01 10941
3131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8875
3130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696
3129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97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