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11 07:55

띄어쓰기 특례

조회 수 19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띄어쓰기 특례

‘특례’라는 말이 있다. 그저 ‘특이한 사례’라는 뜻에 지나지 않지만 우리의 마음에는 ‘부당한 이익’에 대한 의심도 있다. 그래서 대학 입학의 특례라든지 병역의 특례라고 한다면 누군가가 부당한 이익을 본다고 판단하고 부러워하기도 하고 분노하기도 한다.

달리, 맞춤법의 특례를 찾아보자. 맞춤법에서의 특례는 다행히 그리 부럽지도 화가 나지도 않는다. 더구나 띄어쓰기는 좀 틀려도 그리 창피하지도 않게 생각한다. 그러다 보니 ‘해 주다’라든지 ‘던져 버리다’의 뒷부분을 이루는 보조용언은 아예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고 융통성 있게 규정했다.

맞춤법의 총칙에 의하면 대명사인 ‘우리’와 보통명사인 ‘말/글’이나 ‘나라’의 사이를 띄는 것이 맞다. 그러나 하나의 특례처럼 ‘우리말’과 ‘우리나라’를 ‘한국어’와 ‘한국’이라는 뜻으로 붙여서 고유명사처럼 쓴다. 워낙 빈도가 높기도 하지만 또 한편 우리의 것에 대한 특별한 표기를 강조했음도 숨길 수 없다.

그러나 이미 한국어 자체가 꼭 한국인만의 언어라고 말하기도 거북스러울 만큼 외국인들이 많이 배운다. 만일 한국어에 익숙한 일본인이나 미국인이 ‘우리나라’, ‘우리말’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면 그것은 분명히 한국이나 한국어가 아닐 것이다. 그들의 ‘우리 말’은 일본어나 영어일 가능성이 크다.

한국어를 위한 맞춤법인데 한국에 대한 부분에 특례를 둔 것이 무슨 잘못이냐는 반론도 가능하지만 국경을 넘어 널리 알려진 언어는 원어민만의 배타적인 성격보다는 열린 규칙으로 만인을 편하게 하는 것이 더 낫다. 한국어는 이제 그리 낯설지 않은 언어이다. 이제는 특수성을 넘어선 보편성이 더 필요하다고 본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3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93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783
3106 캥기다 바람의종 2011.11.21 13210
3105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95
3104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567
3103 칼럼리스트 바람의종 2010.03.05 7521
3102 칼라, 컬러 바람의종 2009.04.09 7761
3101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099
3100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39
3099 카디건 바람의종 2009.02.18 6686
3098 침착하고 명확하게 바람의종 2010.07.19 10020
3097 칠흑 같다 바람의종 2007.05.25 12731
3096 칠칠한 맞춤법 바람의종 2008.04.25 7652
3095 칠칠하다 바람의종 2010.07.12 10665
3094 칠칠하다 바람의종 2007.03.29 8244
3093 칠거지선(七去之善) 바람의종 2010.03.05 9479
3092 친구이다 바람의종 2011.11.20 11802
3091 치욕의 언어 風文 2021.09.06 1097
3090 치르다·치루다 바람의종 2010.02.12 13142
3089 치고박고 바람의종 2009.03.26 8163
3088 충분 바람의종 2008.11.26 6193
3087 충돌과 추돌 바람의종 2012.11.22 13925
3086 충돌, 추돌 바람의종 2008.11.12 8064
3085 춥다와 덥다 바람의종 2008.02.13 102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