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11 07:55

띄어쓰기 특례

조회 수 202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띄어쓰기 특례

‘특례’라는 말이 있다. 그저 ‘특이한 사례’라는 뜻에 지나지 않지만 우리의 마음에는 ‘부당한 이익’에 대한 의심도 있다. 그래서 대학 입학의 특례라든지 병역의 특례라고 한다면 누군가가 부당한 이익을 본다고 판단하고 부러워하기도 하고 분노하기도 한다.

달리, 맞춤법의 특례를 찾아보자. 맞춤법에서의 특례는 다행히 그리 부럽지도 화가 나지도 않는다. 더구나 띄어쓰기는 좀 틀려도 그리 창피하지도 않게 생각한다. 그러다 보니 ‘해 주다’라든지 ‘던져 버리다’의 뒷부분을 이루는 보조용언은 아예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고 융통성 있게 규정했다.

맞춤법의 총칙에 의하면 대명사인 ‘우리’와 보통명사인 ‘말/글’이나 ‘나라’의 사이를 띄는 것이 맞다. 그러나 하나의 특례처럼 ‘우리말’과 ‘우리나라’를 ‘한국어’와 ‘한국’이라는 뜻으로 붙여서 고유명사처럼 쓴다. 워낙 빈도가 높기도 하지만 또 한편 우리의 것에 대한 특별한 표기를 강조했음도 숨길 수 없다.

그러나 이미 한국어 자체가 꼭 한국인만의 언어라고 말하기도 거북스러울 만큼 외국인들이 많이 배운다. 만일 한국어에 익숙한 일본인이나 미국인이 ‘우리나라’, ‘우리말’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면 그것은 분명히 한국이나 한국어가 아닐 것이다. 그들의 ‘우리 말’은 일본어나 영어일 가능성이 크다.

한국어를 위한 맞춤법인데 한국에 대한 부분에 특례를 둔 것이 무슨 잘못이냐는 반론도 가능하지만 국경을 넘어 널리 알려진 언어는 원어민만의 배타적인 성격보다는 열린 규칙으로 만인을 편하게 하는 것이 더 낫다. 한국어는 이제 그리 낯설지 않은 언어이다. 이제는 특수성을 넘어선 보편성이 더 필요하다고 본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4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757
3128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9138
3127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10040
3126 나비나물 바람의종 2008.04.24 6099
3125 위례성과 아리수 바람의종 2008.04.24 9002
3124 설둥하다 바람의종 2008.04.25 7243
3123 오마대·기림대·오고타이 바람의종 2008.04.26 7832
3122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896
3121 공암진 바람의종 2008.04.27 7860
3120 모시는 글 바람의종 2008.04.27 17471
3119 예비 바람의종 2008.04.28 7764
3118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8404
3117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480
3116 패수와 열수 바람의종 2008.04.29 10715
3115 궂긴소식 바람의종 2008.04.30 8991
3114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430
3113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616
3112 다정큼나무 바람의종 2008.05.01 9023
3111 실레마을과 시루 바람의종 2008.05.03 7889
3110 떡값 바람의종 2008.05.03 7006
3109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632
3108 금덩이·은덩이 바람의종 2008.05.05 10699
3107 벌개미취 바람의종 2008.05.05 71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