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11 07:55

띄어쓰기 특례

조회 수 182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띄어쓰기 특례

‘특례’라는 말이 있다. 그저 ‘특이한 사례’라는 뜻에 지나지 않지만 우리의 마음에는 ‘부당한 이익’에 대한 의심도 있다. 그래서 대학 입학의 특례라든지 병역의 특례라고 한다면 누군가가 부당한 이익을 본다고 판단하고 부러워하기도 하고 분노하기도 한다.

달리, 맞춤법의 특례를 찾아보자. 맞춤법에서의 특례는 다행히 그리 부럽지도 화가 나지도 않는다. 더구나 띄어쓰기는 좀 틀려도 그리 창피하지도 않게 생각한다. 그러다 보니 ‘해 주다’라든지 ‘던져 버리다’의 뒷부분을 이루는 보조용언은 아예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고 융통성 있게 규정했다.

맞춤법의 총칙에 의하면 대명사인 ‘우리’와 보통명사인 ‘말/글’이나 ‘나라’의 사이를 띄는 것이 맞다. 그러나 하나의 특례처럼 ‘우리말’과 ‘우리나라’를 ‘한국어’와 ‘한국’이라는 뜻으로 붙여서 고유명사처럼 쓴다. 워낙 빈도가 높기도 하지만 또 한편 우리의 것에 대한 특별한 표기를 강조했음도 숨길 수 없다.

그러나 이미 한국어 자체가 꼭 한국인만의 언어라고 말하기도 거북스러울 만큼 외국인들이 많이 배운다. 만일 한국어에 익숙한 일본인이나 미국인이 ‘우리나라’, ‘우리말’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면 그것은 분명히 한국이나 한국어가 아닐 것이다. 그들의 ‘우리 말’은 일본어나 영어일 가능성이 크다.

한국어를 위한 맞춤법인데 한국에 대한 부분에 특례를 둔 것이 무슨 잘못이냐는 반론도 가능하지만 국경을 넘어 널리 알려진 언어는 원어민만의 배타적인 성격보다는 열린 규칙으로 만인을 편하게 하는 것이 더 낫다. 한국어는 이제 그리 낯설지 않은 언어이다. 이제는 특수성을 넘어선 보편성이 더 필요하다고 본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4937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6524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1Feb
    by 바람의종
    2008/02/11 by 바람의종
    Views 9266 

    루즈

  5. No Image 10Feb
    by 바람의종
    2008/02/10 by 바람의종
    Views 7378 

    로비

  6. No Image 31Mar
    by 바람의종
    2008/03/31 by 바람의종
    Views 8872 

    로또 복권

  7. No Image 15Feb
    by 바람의종
    2010/02/15 by 바람의종
    Views 6787 

    로드맵

  8. No Image 25May
    by 바람의종
    2009/05/25 by 바람의종
    Views 7099 

    렉카

  9. No Image 29Dec
    by 風文
    2014/12/29 by 風文
    Views 24242 

    레스쿨제라블, 나발질

  10. No Image 09Jan
    by 바람의종
    2010/01/09 by 바람의종
    Views 7667 

    러닝셔츠

  11. No Image 22May
    by 바람의종
    2012/05/22 by 바람의종
    Views 7689 

    러닝머신

  12. No Image 04Oct
    by 바람의종
    2008/10/04 by 바람의종
    Views 9338 

    량, 양 (量)

  13. No Image 19Nov
    by 바람의종
    2009/11/19 by 바람의종
    Views 7605 

    랜드마크는 명소,상징물,표지물

  14. No Image 18Feb
    by 바람의종
    2008/02/18 by 바람의종
    Views 9604 

    라틴아메리카 언어

  15. No Image 03Feb
    by 바람의종
    2008/02/03 by 바람의종
    Views 7017 

    라틴말의 후예

  16. No Image 30Sep
    by 바람의종
    2008/09/30 by 바람의종
    Views 7411 

    라이방에 봉고

  17. No Image 10May
    by 바람의종
    2010/05/10 by 바람의종
    Views 9513 

    라면

  18. No Image 22Feb
    by 바람의종
    2010/02/22 by 바람의종
    Views 10132 

    띠다와 띄다

  19. No Image 11Jan
    by 風文
    2022/01/11 by 風文
    Views 1820 

    띄어쓰기 특례

  20. No Image 23Oct
    by 바람의종
    2008/10/23 by 바람의종
    Views 7654 

    띄어쓰기 - "만"

  21. No Image 23Oct
    by 바람의종
    2008/10/23 by 바람의종
    Views 10362 

    띄어스기 - "지"

  22. No Image 23Oct
    by 바람의종
    2008/10/23 by 바람의종
    Views 11109 

    띄어스기 - "데"

  23. No Image 25Nov
    by 바람의종
    2008/11/25 by 바람의종
    Views 11781 

    띄다, 띠다

  24. No Image 11Nov
    by 바람의종
    2010/11/11 by 바람의종
    Views 22105 

    뜻뜨미지근하다 / 뜨듯미지근하다

  25. No Image 23Feb
    by 바람의종
    2008/02/23 by 바람의종
    Views 7591 

    뜰과 마당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