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09 20:53

한자를 몰라도

조회 수 156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자를 몰라도

한자를 잘 아는 사람들이나 잘 모르는 사람들이나 쉽게 믿게 되는 것이, 한자를 알면 의미 파악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다. 정말 그럴까? ‘부모’나 ‘농촌’ 같은 말의 의미를 정말 父母, 農村이라는 한자를 통해서만 쉽게 알 수 있을까?

사실 그러한 어휘의 대부분은 소리만 들어도 금방 그 의미가 떠오르도록 우리의 인지 과정은 고도로 정비되어 있다. 그래서 거의 대부분의 한자어는 ‘한자’라는 중간 단계가 필요 없이 의미를 직접 파악해 버린다. 좀 어려운 말의 경우에, 癡?(치매), 蒙昧(몽매)와 같은 말들은 일일이 한자를 따지느니 그냥 말소리만 외우고 개념을 익히는 게 훨씬 더 편하다.

한자는 원래의 의미를 잃고 어휘의 한 부분으로 변한 경우도 많다. 사람의 모양을 한 노리개를 인형(人形)이라 한다. 한자로 사람의 모양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곰이나 개의 모양으로 만든 것을 웅형(熊形)이나 견형(犬形)이라 하지 않고 그냥 곰 인형, 개 인형이라고 한다. 이미 인형이라는 말이 굳어져 버렸기 때문이다. 이 경우도 한자 ‘人形’은 별다른 기능을 하지 못한다.

저녁거리에 주전부리를 파는 ‘포장마차’를 보라. 말이 끄는 포장마차를 보았는가? 말이 끄는 수레로 비유하다 보니 한자는 있으나 마나 하게 되었다. 수많은 한자어의 처지가 이러하다. 닭의 가슴에 붙은 살을 계륵이라고 했다. 그러나 요즘은 닭가슴살은 영양식으로, 불필요한 군것을 가리켜 계륵이라 한다. 한자의 ‘어휘 의미’로 나타낼 수 없는 ‘감성적 의미’가 풍부해진 것이다.

한자를 몰라도, 또는 안 써도 이제는 언어생활에 큰 불편은 없게 되었다. 2천여 년 동안 인습화된 문자 생활이 겨우 100년 남짓 동안 혁신된 셈이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3772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0370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5370
    read more
  4. '마징가 Z'와 'DMZ'

    Date2023.11.25 By風文 Views1481
    Read More
  5. 방언의 힘

    Date2021.11.02 By風文 Views1483
    Read More
  6.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Date2022.06.02 By風文 Views1485
    Read More
  7.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Date2022.06.24 By風文 Views1487
    Read More
  8. ‘부끄부끄’ ‘쓰담쓰담’

    Date2023.06.02 By風文 Views1488
    Read More
  9. 일타강사, ‘일’의 의미

    Date2022.09.04 By風文 Views1490
    Read More
  10. 노랗다와 달다, 없다

    Date2022.07.29 By風文 Views1491
    Read More
  11. 성인의 세계

    Date2022.05.10 By風文 Views1494
    Read More
  12.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Date2023.10.18 By風文 Views1500
    Read More
  13.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Date2022.07.14 By風文 Views1504
    Read More
  14. 내 청춘에게?

    Date2024.02.17 By風文 Views1507
    Read More
  15.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Date2023.04.17 By風文 Views1509
    Read More
  16. 방방곡곡 / 명량

    Date2020.06.04 By風文 Views1510
    Read More
  17.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Date2022.09.03 By風文 Views1512
    Read More
  18. 마라톤 / 자막교정기

    Date2020.05.28 By風文 Views1515
    Read More
  19. 개양귀비

    Date2023.04.25 By風文 Views1518
    Read More
  20. 콩글리시

    Date2022.05.18 By風文 Views1521
    Read More
  21. 어쩌다 보니

    Date2023.04.14 By風文 Views1521
    Read More
  22. 온나인? 올라인?

    Date2024.03.26 By風文 Views1521
    Read More
  23. '넓다'와 '밟다'

    Date2023.12.06 By風文 Views1522
    Read More
  24. 배레나룻

    Date2024.02.18 By風文 Views1522
    Read More
  25.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Date2020.05.22 By風文 Views152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