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11.15 01:48

지명의 의의

조회 수 166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명의 의의

아파트 이름에 다양한 외래어가 사용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너무 다양하다 못해 이제는 그 이름을 헛갈리는 경우가 적지 않다. 특히 연세 지긋한 분들일수록 이러한 이름을 힘겨워한다. 아파트 이름 못지않게 다양한 외래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특히 신도시의 도로명에서 눈에 띄기 시작한다. ‘에메랄드, 루비, 사파이어’ 등의 낯선 명칭이 붙은 것이다. 과거에 보석 광산이나 가공 공장이 있었던 곳이라면 이해할 만도 하지만, 참으로 지나치게 느닷없이 붙인 이름들이다. 지역과 지명의 필연적인 상관관계를 전혀 느낄 수 없다. 도시를 개발하며 땅이 가진 부동산으로서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유혹적인 상품명을 붙인다는 것이 이렇게 된 것이다.

역사적으로 지명은 지배자들이 지었다. 그러나 지배자와 무관하게도 일반 민초들은 자기 식대로 명명을 하기도 했다. ‘수릿재, 섶다리, 돌샘, 풋개’ 등의 지명은 그 공간에서 삶을 영위하던 백성들의 명명이었다. 오늘날은 일단 행정적으로 필요한 지명은 국가기관이 정한다. 그리고 그렇지 않은 민속적 명칭은 옛날 백성들이 쓰던 지명을 물려받아 쓰고 있다.

좀 더 넓은 문제를 한번 제기해 보자. 한국인들이 한반도에서 배타적인 ‘주권’을 가지고 살 수 있는 근거는 어디에 있는가? 이 땅을 우리만의 것이라고 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역사적 근거는 우리의 언어로 이루어진 지명들이다. 그것도 ‘역사적 연고와 연속성을 가진 지명’들이다. 그래서 옛날의 지배자들이 지은 지명이나 민초들이 지은 지명이나 모두 다 중요한 유산이다. 그러나 우리의 도시 개발과 토지의 상품화는 이렇게 쌓아온 우리의 권리와 이익을 스스로 무너뜨리고 있다. 시장에서의 이익과, 역사와 문화 속에서 스스로 지켜야 할 대의를 구분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42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08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952
3106 캥기다 바람의종 2011.11.21 13207
3105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89
3104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536
3103 칼럼리스트 바람의종 2010.03.05 7515
3102 칼라, 컬러 바람의종 2009.04.09 7756
3101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085
3100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33
3099 카디건 바람의종 2009.02.18 6683
3098 침착하고 명확하게 바람의종 2010.07.19 10013
3097 칠흑 같다 바람의종 2007.05.25 12726
3096 칠칠한 맞춤법 바람의종 2008.04.25 7644
3095 칠칠하다 바람의종 2010.07.12 10657
3094 칠칠하다 바람의종 2007.03.29 8235
3093 칠거지선(七去之善) 바람의종 2010.03.05 9465
3092 친구이다 바람의종 2011.11.20 11797
3091 치욕의 언어 風文 2021.09.06 1093
3090 치르다·치루다 바람의종 2010.02.12 13142
3089 치고박고 바람의종 2009.03.26 8159
3088 충분 바람의종 2008.11.26 6186
3087 충돌과 추돌 바람의종 2012.11.22 13911
3086 충돌, 추돌 바람의종 2008.11.12 8057
3085 춥다와 덥다 바람의종 2008.02.13 102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