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10.28 14:29

난민과 탈북자

조회 수 12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난민과 탈북자

얼핏 보기엔 거의 같은 말 같아도 이것저것 따져 보면 사물을 보는 관점을 개선해야 할 경우가 있다. 6월20일은 ‘세계 난민의 날’이다. 넓은 의미에서 재난이나 고통스러운 일을 당해 피신하는 경우는 보통 ‘피난민’이라고 하지만 국경을 넘는 경우에는 ‘난민’이라고 부른다.

 또 다른 특수한 경우가 탈북자의 경우이다. 어려운 상황을 피해서 왔으니 ‘피난민’이라고 할 만도 하고, 사실상의 국경을 넘어왔으니 ‘난민’이라고 할 만도 하다. 그러나 그들에게는 이도 저도 아닌 ‘탈북자’라는 특수한 이름이 주어졌다. 또 법적으로도 ‘특수한 대우’를 해 준다. 그래서 불가피하게 ‘정치적’인 판단과 ‘안보’에 연동된 조치를 받는다. 그러나 그렇다 하더라도 그 조치는 엄연히 법적인 틀과 윤리적인 공감대 안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탈북자들에게 보편적인 난민이 아닌 특수한 지위를 부여하는 것은 오로지 정치와 안보 문제만 생각한 것은 아닐 것이다. 일반적인 난민보다 더 특수한 차원에서 그들을 우대하고 더욱 인권친화적인 조치를 취하자고 하는 암묵적인 동의가 있었던 것이 아닌가? 그런 점에서 그들의 처지에 도움이 될 만한 언론인들과 변호사들, 그리고 사회봉사자들과는 ‘개방적인 연결’이 필요하다. 그것마저 막는다면 ‘탈북’의 긍정적인 가치를 훼손하고 만다.

그들이 고향을 떠나 난민의 길을 선택한 것이 특별한 이해관계 때문이 아니었다면, 그리고 진정 인간적인 대우를 갈구한 결과였다면, 당연히 그들에게 민주적이고 인도적인 대우를 보장해 주어야 한다.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을 정치적으로만 이용하고 인도적으로 외면하는 듯한 인상을 준다면 차라리 그들을 국제적인 표준에 의한 보편적 ‘난민’으로 대우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인도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8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3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299
334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500
333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0990
332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523
331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7044
330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5964
329 갑질 風文 2024.03.27 1735
328 갑종 근로소득세 바람의종 2007.05.30 11331
327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710
326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181
325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397
324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508
323 감질나다 바람의종 2010.08.03 12754
322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641
321 감안하다 바람의종 2007.10.12 15124
320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621
319 감동·어루동 바람의종 2008.07.04 5813
318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139
317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393
316 갈매기살, 제비추리, 토시살 바람의종 2008.11.16 8720
315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659
314 갈등 바람의종 2007.05.29 6240
313 갈두·갈헌 바람의종 2008.08.27 80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