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10.13 19:25

고령화와 언어

조회 수 91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고령화와 언어

기대 수명이 날로 늘어나면서 장수보다 건강 수명에 관심을 가지는 시대이다. 보건, 복지, 의료 등이 주로 고령화 문제로 고민하고 교육, 경제 등에도 새로운 과제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면서 동시에 언어 문제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할 부분이 눈에 띈다.

노인들이 말 때문에 불편한 것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공공 기관에 가도 안내하는 ‘젊은 분’들의 말이 너무 빠르다. 미안하게도 자꾸 되묻게 된다. 특히 거대한 종합병원 같은 곳에서는 늘 어리둥절하게 마련이다. 날이 갈수록 ‘주변화’되고 있다는 느낌, 바로 그것이 노인들의 소외감일 것이다. 그러다가 동네 병원에 가면 마음이 느긋해진다. 톱니바퀴처럼 숨쉴 겨를도 없는 조직 체계가 불편하게 느껴지고, 마음 편한 환경을 찾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젊은 사람들이 활발하게 사용하는 신조어나 특이한 약어에도 매우 불편함을 느낀다. 새로운 외래어가 지독히 낯선 것은 물론이다. 그렇다고 그런 언어를 탓하기도 쉽지는 않다. 노인의 언어가 ‘고령자방언’이 되어 가고 있는 중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세대간의 소통 장애’는 다가온 것이다.

나이든 세대의 언어를 젊은 세대가 열심히 배우기만 하면 됐던 시기는 이미 저물었다. 노인의 말은 무관심의 대상이 되었고, 노인들이 젊은 언어를 배울 기회는 없다. 세대간 소통 장애는 저절로 해소되지 않는다. 방치하면 점점 더 벌어진다. 늙어도 또 배울 수 있는 기회, 그래서 젊은이들의 새로운 지식을 함께 공유하고 그들의 의견을 이해하고 지지할 수도 있는, 또 젊은이들은 노인들이 왜 매사에 이러저러한 반응만 보이는지를 이해하게 되는 ‘지속가능한 소통 체계’에 대해 더 늦기 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젊은이들도 점점 늙어간다. 사실 ‘살아간다’는 말과 ‘죽어간다’는 말은 서로 대척점에 있는 반대말처럼 들린다. 그러나 그 의미는 똑같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죽어가고 있는 것이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3395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9995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4965
    read more
  4.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Date2022.08.18 By風文 Views1176
    Read More
  5. 언어의 혁신

    Date2021.10.14 By風文 Views1177
    Read More
  6. 외국어 선택, 다언어 사회

    Date2022.05.16 By風文 Views1180
    Read More
  7. 언어와 인권

    Date2021.10.28 By風文 Views1181
    Read More
  8.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Date2022.08.04 By風文 Views1181
    Read More
  9.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Date2022.06.08 By風文 Views1182
    Read More
  10. 말과 서열, 세대차와 언어감각

    Date2022.06.21 By風文 Views1184
    Read More
  11. 물타기 어휘, 개념 경쟁

    Date2022.06.26 By風文 Views1186
    Read More
  12. 막장 발언, 연변의 인사말

    Date2022.05.25 By風文 Views1187
    Read More
  13.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Date2022.06.28 By風文 Views1190
    Read More
  14. 잃어버린 말 찾기, ‘영끌’과 ‘갈아넣다’

    Date2022.08.30 By風文 Views1190
    Read More
  15. 1일1농 합시다, 말과 유학생

    Date2022.09.20 By風文 Views1192
    Read More
  16. 소통과 삐딱함

    Date2021.10.30 By風文 Views1194
    Read More
  17.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내일을 향해 모험하라

    Date2022.05.12 By風文 Views1194
    Read More
  18. 쓰봉

    Date2023.11.16 By風文 Views1194
    Read More
  19. 비대칭적 반말, 가짜 정보

    Date2022.06.07 By風文 Views1195
    Read More
  2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미래를 창조하는 미래

    Date2022.05.17 By風文 Views1195
    Read More
  21.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Date2022.08.22 By風文 Views1195
    Read More
  22. 날아다니는 돼지, 한글날 몽상

    Date2022.07.26 By風文 Views1196
    Read More
  23. 개헌을 한다면

    Date2021.10.31 By風文 Views1197
    Read More
  24. 일고의 가치

    Date2022.01.07 By風文 Views1197
    Read More
  25.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Date2022.09.21 By風文 Views119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