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09.10 18:04

'미망인'이란 말

조회 수 114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미망인'이란 말

남성과 여성의 관계가 옛날보다는 꽤 평등해진 것 같으면서도 한편으로는 ‘아직’이라고 생각되는 부분이 여전히 눈에 띈다. 우리가 부지불식간에 쓰는 어휘 속에도 배타적인 성적 구별을 노리는 뜻이 여기저기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남편이 먼저 죽어 홀로 남은 여성을 우리는 ‘미망인’이라고 부른다. 속되게 표현하는 과부니 과수댁이니 하는 말보다 매우 세련되고 다듬어진 것 같지만 들여다보면 ‘아직 죽지 않은 사람’이라는 섬뜩한 의미가 담겨 있다. 그 뜻을 염두에 둔다면 가까운 사람들한테 쉽게 쓸 수 있는 단어라는 생각이 안 든다.

원래 이 말은 1인칭을 나타내는 말이었다. 남편을 여읜 여성이 ‘자기 스스로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따라서 이 말은 남편을 잃은 여성이 남편을 어서 따라가고 싶다는 매우 감상적인 느낌을 표현하는 말이었다. 이것이 요즘은 별생각 없이 2인칭, 3인칭으로 쓰이고 있다. 아무리 생각해보아도 가당치 않은 용법이다.

결론을 좀 급하게 말한다면 요즘은 배우자를 잃었을 때 받아들이게 되는 정신적인 아픔과 마음의 상처를 그리 극적으로 표현할 필요는 없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다. 그 단어가 나타난 이삼천년 전의 중국에서는 배우자를 잃은 여성의 삶이란 정말 하늘이 무너진 것보다 더한 충격이었겠지만 말이다. 이제는 일정한 애도가 끝나면 담담하게 일상으로 복귀하는 것이 더 상식적이고 바람직한 태도가 아니겠는가?

애도 기간에 홀로된 배우자를 굳이 거명해야 한다면 “돌아가신 고 아무개의 부인 누구누구께서 …” 하는 식으로 풀어 말하면 오히려 더 자연스러울 것 같다. 그렇게 하면 반대로 아내가 먼저 세상을 뜬 경우에 홀로된 남편을 가리키기도 편하지 않을까 한다.

양성평등이라는 것은 마음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제도의 개혁도 필요하고, 나아가 나도 모르게 내 마음에 편견과 고정관념을 심어주는 말과의 투쟁도 필수적이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62191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8806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3572
    read more
  4. 댕댕이, 코로나는 여성?

    Date2022.10.07 By風文 Views1364
    Read More
  5. 안녕히, ‘~고 말했다’

    Date2022.10.11 By風文 Views1366
    Read More
  6.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Date2022.09.21 By風文 Views1367
    Read More
  7. 올바른 명칭

    Date2022.01.09 By風文 Views1371
    Read More
  8. 일고의 가치

    Date2022.01.07 By風文 Views1373
    Read More
  9. 언어의 혁신

    Date2021.10.14 By風文 Views1375
    Read More
  10. 권력의 용어

    Date2022.02.10 By風文 Views1377
    Read More
  11. 말과 서열, 세대차와 언어감각

    Date2022.06.21 By風文 Views1377
    Read More
  12. 외교관과 외국어, 백두산 전설

    Date2022.06.23 By風文 Views1379
    Read More
  13. 매뉴얼 / 동통

    Date2020.05.30 By風文 Views1381
    Read More
  1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내일을 향해 모험하라

    Date2022.05.12 By風文 Views1383
    Read More
  15.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Date2022.08.22 By風文 Views1386
    Read More
  16. 몰래 요동치는 말

    Date2023.11.22 By風文 Views1386
    Read More
  17. 이중피동의 쓸모

    Date2023.11.10 By風文 Views1388
    Read More
  18. 내연녀와 동거인

    Date2023.04.19 By風文 Views1394
    Read More
  19. 사람, 동물, 언어 / 언어와 인권

    Date2022.07.13 By風文 Views1397
    Read More
  20. 쓰봉

    Date2023.11.16 By風文 Views1399
    Read More
  21.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Date2022.08.27 By風文 Views1400
    Read More
  22. 노동과 근로, 유행어와 신조어

    Date2022.07.12 By風文 Views1402
    Read More
  23.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Date2022.08.05 By風文 Views1410
    Read More
  24. 연말용 상투어

    Date2022.01.25 By風文 Views1413
    Read More
  25.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Date2020.05.24 By風文 Views141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