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09.07 23:05

또 다른 공용어

조회 수 98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또 다른 공용어

지난 연말, 국회가 일을 제대로 하느니 마니 하던 순간에 우리 언어의 역사에 매우 중요한 사건이 후다닥 지나갔다. ‘언어수화법’이 통과된 것이다. 수화란 말을 못 듣는 장애인들을 위해 손짓으로 대신하는 의사전달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소리를 기본으로 하는 언어와 그 체계와 기능이 다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오랫동안 그것은 ‘언어’라기보다는 불가피한 ‘비상수단’으로만 인식되었다. 교육하고 널리 보급해야 할 언어로 보지 않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화를 ‘장애인 전용’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비장애인에게도 수화는 매우 유용하다. 물리적으로 말을 할 수 없을 때, 방독면을 쓰고 있을 때, 침묵 속에서 일을 처리해야 할 때, 물속에서 잠수나 자맥질을 할 때, 소리가 닿지 않는 먼 곳에 신호를 보낼 때, 또 반대로 너무 시끄러운 데서 말할 때 등은 수화 역시 하나의 자연언어로서 ‘기본적인 소통 수단’임을 재인식하게 된다.

수화가 이제 법적인 공용어가 됨으로써 우리는 ‘한국어’와 ‘한국수화언어(수어)’ 두 가지의 공용어를 지니게 되었다.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보면 그리 이르지도 않다. 이미 130여 개국에서 수화를 공용어로 인정하고 있다. 늦게 시작하는 만큼 좀 더 정성 들인 제도가 뒷받침되었으면 한다.

수화는 이젠 국어 시간에, 혹은 이에 준하는 수업에서 가르칠 수 있어야 한다. 수화 통역사도 더 양성해야 한다. 수화의 약점이 전화 통화가 불가능하다는 것이었다. 이제는 다양한 화상 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그러한 영역에도 편의 장치를 개발해야 한다. 하나의 공용어보다 두 개의 공용어를 가지려면 그만큼 더 바빠야 하고 더 부지런해야 한다.

우리 사회에 소리로 내는 말을 듣지 못하는 27만여 이웃들이 더 나은 기회를 가지고 더 넉넉한 자기 몫을 차지해야 할 것이다. 당연히 그들에게 우리 모두 든든한 동반자가 되었으면 한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62722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9412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4137
    read more
  4. 서거, 별세, 타계

    Date2024.05.08 By風文 Views1053
    Read More
  5. 악담의 악순환

    Date2021.09.13 By風文 Views1073
    Read More
  6. 딱 그 한마디

    Date2021.09.06 By風文 Views1076
    Read More
  7. ‘수놈’과 ‘숫놈’

    Date2024.05.08 By風文 Views1078
    Read More
  8. 재판받는 한글

    Date2021.10.14 By風文 Views1101
    Read More
  9. 배뱅잇굿

    Date2020.05.01 By風文 Views1145
    Read More
  10. 치욕의 언어

    Date2021.09.06 By風文 Views1149
    Read More
  11. 대명사의 탈출

    Date2021.09.02 By風文 Views1151
    Read More
  12. '미망인'이란 말

    Date2021.09.10 By風文 Views1162
    Read More
  13. 비판과 막말

    Date2021.09.15 By風文 Views1198
    Read More
  14. 뒷담화

    Date2020.05.03 By風文 Views1201
    Read More
  15. 맞춤법을 없애자 (3), 나만 빼고

    Date2022.09.10 By風文 Views1201
    Read More
  16.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Date2022.09.18 By風文 Views1236
    Read More
  17.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Date2022.09.17 By風文 Views1242
    Read More
  18. 거짓말, 말, 아닌 글자

    Date2022.09.19 By風文 Views1246
    Read More
  19. 귀순과 의거

    Date2022.05.20 By관리자 Views1263
    Read More
  20.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Date2022.10.09 By風文 Views1268
    Read More
  21. 편한 마음으로

    Date2021.09.07 By風文 Views1272
    Read More
  22. 막냇동생

    Date2023.04.20 By風文 Views1284
    Read More
  23. 외국어 선택하기

    Date2022.05.17 By風文 Views1296
    Read More
  24. 위드 코로나(2), '-다’와 책임성

    Date2022.10.06 By風文 Views1314
    Read More
  25. 내색

    Date2023.11.24 By風文 Views131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