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09.07 23:05

또 다른 공용어

조회 수 8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또 다른 공용어

지난 연말, 국회가 일을 제대로 하느니 마니 하던 순간에 우리 언어의 역사에 매우 중요한 사건이 후다닥 지나갔다. ‘언어수화법’이 통과된 것이다. 수화란 말을 못 듣는 장애인들을 위해 손짓으로 대신하는 의사전달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소리를 기본으로 하는 언어와 그 체계와 기능이 다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오랫동안 그것은 ‘언어’라기보다는 불가피한 ‘비상수단’으로만 인식되었다. 교육하고 널리 보급해야 할 언어로 보지 않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화를 ‘장애인 전용’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비장애인에게도 수화는 매우 유용하다. 물리적으로 말을 할 수 없을 때, 방독면을 쓰고 있을 때, 침묵 속에서 일을 처리해야 할 때, 물속에서 잠수나 자맥질을 할 때, 소리가 닿지 않는 먼 곳에 신호를 보낼 때, 또 반대로 너무 시끄러운 데서 말할 때 등은 수화 역시 하나의 자연언어로서 ‘기본적인 소통 수단’임을 재인식하게 된다.

수화가 이제 법적인 공용어가 됨으로써 우리는 ‘한국어’와 ‘한국수화언어(수어)’ 두 가지의 공용어를 지니게 되었다.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보면 그리 이르지도 않다. 이미 130여 개국에서 수화를 공용어로 인정하고 있다. 늦게 시작하는 만큼 좀 더 정성 들인 제도가 뒷받침되었으면 한다.

수화는 이젠 국어 시간에, 혹은 이에 준하는 수업에서 가르칠 수 있어야 한다. 수화 통역사도 더 양성해야 한다. 수화의 약점이 전화 통화가 불가능하다는 것이었다. 이제는 다양한 화상 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그러한 영역에도 편의 장치를 개발해야 한다. 하나의 공용어보다 두 개의 공용어를 가지려면 그만큼 더 바빠야 하고 더 부지런해야 한다.

우리 사회에 소리로 내는 말을 듣지 못하는 27만여 이웃들이 더 나은 기회를 가지고 더 넉넉한 자기 몫을 차지해야 할 것이다. 당연히 그들에게 우리 모두 든든한 동반자가 되었으면 한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47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0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938
3370 쓰봉 風文 2023.11.16 1255
3369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256
336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내일을 향해 모험하라 風文 2022.05.12 1257
3367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風文 2022.08.27 1257
3366 올바른 명칭 風文 2022.01.09 1260
3365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風文 2022.09.21 1260
3364 비대칭적 반말, 가짜 정보 風文 2022.06.07 1261
3363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風文 2022.06.28 1263
3362 산막이 옛길 風文 2023.11.09 1269
336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미래를 창조하는 미래 風文 2022.05.17 1271
3360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275
3359 인과와 편향, 같잖다 風文 2022.10.10 1276
3358 24시 / 지지지난 風文 2020.05.16 1278
3357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1279
3356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281
3355 외교관과 외국어, 백두산 전설 風文 2022.06.23 1281
3354 막장 발언, 연변의 인사말 風文 2022.05.25 1285
3353 말과 서열, 세대차와 언어감각 風文 2022.06.21 1285
3352 내연녀와 동거인 風文 2023.04.19 1287
3351 일고의 가치 風文 2022.01.07 1289
3350 사람, 동물, 언어 / 언어와 인권 風文 2022.07.13 1289
3349 옹알이 風文 2021.09.03 12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