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09.06 15:47

딱 그 한마디

조회 수 106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딱 그 한마디

 연말이 되면 경기가 좋든 나쁘든, 또 호주머니 사정이 어떻건, 촘촘한 송년회 일정으로 바쁘면서도 들뜬다. 오랜만에 탁자에 둘러앉아 잔을 나누게 되면 잔을 부딪치며 ‘한마디’ 해야 할 때가 있다. 그런데 누구에게나 공감이 가는 ‘딱 그 한마디’가 쉽지 않다. 오래전에는 거의 대부분이 무작정 ‘브라보’였는데, 언젠가 ‘위하여’가 대세를 이루다가 최근에는 그것도 좀 시시해진 모양이다.

건배사만이 아쉬운 것이 아니다. 누구에겐가 진정 기쁜 일이 생겼을 때, 그 마음을 짤막하게 전할 말이 떠오르지 않을 때가 많다. 그냥 축하한다고만 할까, 아니면 부럽다고 해야 할까, 우리의 말이 퍽 마땅찮게 느껴지는 순간이다. 또 궂은일에 대해서 위로를 해야 할 때도 도대체 뭐라고 해야 인사도 되고, 격려가 될지 퍽 막막하다. 누구한테든지 공감되는 말을 찾기가 무척 어렵기 때문이다.

 서로 공적인 관계인지 사적인 관계인지에 따라 무언가 빛다른 표현을 하고 싶어도 대개 어중간한 말 몇 마디에 나머지는 표정으로 대충 메우게 된다. 우리의 언어는 표준어를 결정할 때 어휘의 기준만 겨우 설정됐지, 적절한 사용법의 기준은 제대로 형성이 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공적인 모임에 가서도 첫인사를 그저 “열심히 하겠습니다. 잘 부탁합니다.” 정도로 대충 때우고 있다. 이 얼마나 껄렁한 언어문화인가? 이러한 ‘경우에 맞는 말’들은 대단한 지식인이 제안해서 표준화할 수도 없는 일이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광범위한 시민사회 속에서 형성이 되어 많은 사람들의 ‘공감’과 ‘유대’ 속에서 공유하게 되는 것이다.

경기도 안 좋다고 하고, 당장 내년의 삶도 불안하지만 어려운 세상에 남들과 서로 공감 어린 말을 나눈다는 것도 중요한 삶의 에너지이다. 가까운 이들과 공감대를 두텁게 쌓아가는 진심이 깃든 ‘딱 그 한마디’를 찾아두는 소박한 지혜가 필요하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62436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3849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6Sep
    by 風文
    2022/09/16 by 風文
    Views 1481 

    그림과 말, 어이, 택배!

  5. No Image 06Jul
    by 風文
    2022/07/06 by 風文
    Views 1482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6. No Image 26Jan
    by 風文
    2022/01/26 by 風文
    Views 1483 

    정당의 이름

  7. No Image 25Jan
    by 風文
    2022/01/25 by 風文
    Views 1486 

    법과 도덕

  8. No Image 01Sep
    by 風文
    2022/09/01 by 風文
    Views 1487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9. No Image 24Feb
    by 風文
    2022/02/24 by 風文
    Views 1489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10. No Image 21Oct
    by 주인장
    2022/10/21 by 주인장
    Views 1490 

    국가 사전을 다시?(2,3)

  11. No Image 23May
    by 風文
    2022/05/23 by 風文
    Views 1491 

    날씨와 인사

  12. No Image 30Oct
    by 風文
    2021/10/30 by 風文
    Views 1492 

    말의 미혹

  13. No Image 21Jan
    by 風文
    2022/01/21 by 風文
    Views 1492 

    야민정음

  14. No Image 22Jun
    by 風文
    2022/06/22 by 風文
    Views 1493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15. No Image 23Aug
    by 風文
    2022/08/23 by 風文
    Views 1493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16. No Image 03Jan
    by 風文
    2023/01/03 by 風文
    Views 1493 

    말하는 입

  17. No Image 30Jan
    by 風文
    2022/01/30 by 風文
    Views 1495 

    사저와 자택

  18. No Image 18Jun
    by 風文
    2022/06/18 by 風文
    Views 1495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19. No Image 30Jun
    by 風文
    2023/06/30 by 風文
    Views 1495 

    왠지/웬일, 어떻게/어떡해

  20. No Image 17May
    by 風文
    2020/05/17 by 風文
    Views 1496 

    사수 / 십이십이

  21. No Image 28Jul
    by 風文
    2022/07/28 by 風文
    Views 1496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22. No Image 28Apr
    by 風文
    2020/04/28 by 風文
    Views 1497 

    벌금 50위안

  23. No Image 01Mar
    by 風文
    2023/03/01 by 風文
    Views 1497 

    울면서 말하기

  24. No Image 01Dec
    by 風文
    2021/12/01 by 風文
    Views 1498 

    더(the) 한국말

  25. No Image 29May
    by 風文
    2023/05/29 by 風文
    Views 1498 

    예민한 ‘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