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0.07.04 11:41

수어 / 닭어리

조회 수 22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어

기술은 문명의 이기를 만들어내고, 정보 전달 방식을 바꾼다. 봉화와 파발의 쓸모는 통신기기 등장으로 사라졌다. 공중전화를 비롯한 유선전화의 쓰임은 갈수록 줄고 개인 이동통신기기의 활용은 날로 늘고 있다. 스마트폰은 음성통화를 넘어 ‘소리 없는 통화’도 가능하게 한다. 언젠가 우연히 목격한 ‘수화 영상통화’의 신선한 충격은 몇 해가 지난 지금도 뇌리에 생생하다. 무장벽(barrier-free) 세계는 ‘따뜻한 기술’의 힘으로 점점 넓어져 간다.

지상파 방송의 모든 프로그램은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으로 송출된다. 듣지 못해도 뉴스와 연예 오락, 드라마, 교양, 스포츠 중계방송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방송’(DVS, Descriptive Video Service)도 있다. 드라마 대사 등의 소리 정보 외에 출연자의 움직임과 표정 따위를 음성으로 해설해주는 방송이다.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자막’, ‘음성다중’을 선택하면 누구든 경험할 수 있는 서비스다. 뉴스를 비롯한 몇몇 프로그램은 각 방송사가 돌아가며 ‘수화방송’을 한다. 텔레비전 오른쪽 아래 동그란 화면에서 볼 수 있는 ‘수화통역사’들의 번역은 한국어일까? 아니다.

한국어(Korean)와 한국어 수어(Korean Sign Language)는 다른 언어다. 수화(手話)와 한뜻인 수어(手語)는 ‘한국수어법안’의 제정 논의가 시작될 때 법정용어로 선택되었다.(‘수어, 또 하나의 언어’, 국립국어원) 한국 수어가 영어, 중국어, 아랍어 등처럼 한국어와는 엄연히 다른 언어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일 것이다. 농인(聾人)은 ‘보이는 언어’로 모어를 습득하고 청인(聽人, ‘농인’에 대비하여 이르는 말)은 ‘들리는 언어’로 모어를 익힌다. 당연히 언어체계도 다르다. ‘무슨 계절을 좋아해요?’를 ‘수화통역사’는 ‘계절-좋다-무엇?’으로 표현한다. 한국어와 영어의 문법이 다른 것처럼 수어와 국어의 문법도 다른 것이다.


………………………………………………………………………………………………………………

닭어리

시는 읽는 게 아니다. 시는 읊는 것이다. ‘읊다’는 낭송하다, 노래하다, 부르다와 한뜻이다. 시의 원형이 노래인 까닭이다. 노래하듯, 다음 시를 읊어보자. 기왕이면 나직하게, 느릿하게. 강나루 건너서 / 밀밭 길을 // 구름에 달 가듯이 / 가는 나그네 // 길은 외줄기 / 남도 삼백리 // 술 익는 마을마다 / 타는 저녁놀 // 구름에 달 가듯이 / 가는 나그네. 강나루는 하천 정비 사업으로 부두가 되었고, 밀밭은 값싼 수입밀에 밀려났다. 집집마다 담가 먹던 가양주는 근근이 명맥을 이어왔다. 세태 변화는 목월의 시 ‘나그네’를 ‘시 속의 정경’으로 만들었다.

지금은 잊힌, 잊혀가는 ‘시 속의 정경’을 동남아 어느 시골 마을에서 오감으로 느꼈다. 쩍쩍 갈라진 논 사이의 논두렁길을 걸었다. 군데군데 터져 있는 물꼬에는 물 대신 먼지바람이 휘돌고 있었다. 건기여서 물 빠진 논바닥에는 송아지 한 마리가 칭얼대듯 어미 소에게 몸을 비비고 있었다. 푸드덕 홰치는 수탉 옆에는 ‘병아리 떼 종종종 봄나들이 갑니다’가 ‘라이브 쇼’로 펼쳐졌다. 암탉 언저리에 반구 모양 둥우리가 눈에 띄었다. 아, 이름이 뭐더라? 동행에게 물으니 선뜻 답이 오지 않는다. 일행 가운데 국어학자를 찾아 물었다. 그는 명칭을 알고 있을까.

“표준어 형태로는 ‘닭의어리’이다.” 국립국어원 김문오 박사가 단박에 답했다. “‘쇠고기’(소의 고기), ‘달걀’(닭의 알)과 같은 조어 형태라는 설명이 따라왔다. 과연 그랬다. 사전을 확인하니 ‘나뭇가지나 싸리 따위로 엮어 닭을 넣어 두는 물건’은 ‘닭의어리’, 방언형은 ‘닭어리’였다.

관광주간이 시작되었다. 여러 매체가 ‘여행 가기 좋은 곳’을 소개하며 나들이하라, 등 떠민다. 대부분의 학교는 오늘을 재량휴업일로 정했다. 어디론가 가야 할 것 같은 봄날이다. 기왕이면 고즈넉하고 한갓진, ‘닭의어리’가 살아 있는 곳으로 가면 어떨까. 그런 곳은 어디? 혹시, 찾으면, 내게도 알려주시길….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73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30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194
2006 미사일 바람의종 2009.05.21 6780
2005 미셸, 섀도 바람의종 2010.04.24 9258
2004 미소를 / 활기를 / 운을 띄우다 바람의종 2012.12.12 38207
2003 미소를 띠다 / 미소를 띄우다 바람의종 2009.05.29 14297
2002 미스킴라일락 바람의종 2008.08.28 7767
2001 미어지다 風磬 2006.11.26 8422
2000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197
1999 미인계 바람의종 2007.07.06 7197
1998 미주알고주알 風磬 2006.11.26 7590
1997 미주알고주알 밑두리콧두리 바람의종 2010.01.22 9512
1996 미치광이풀 바람의종 2008.07.04 5804
1995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933
1994 민들레 홀씨 바람의종 2009.07.16 7126
1993 민원 바람의종 2009.07.18 6133
1992 민초, 백성, 서민 바람의종 2009.09.22 11574
1991 믿그리 바람의종 2009.06.11 6328
1990 믿음 바람의종 2009.09.18 7785
1989 믿음직하다, 믿음 직하다 바람의종 2010.05.11 10255
1988 밀랍인형 바람의종 2007.11.04 10853
1987 밀월 바람의종 2007.07.06 8975
1986 밑과 아래 바람의종 2008.03.01 7619
1985 바가지를 긁다 바람의종 2008.01.08 87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