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0.07.03 08:25

이방인의 애국심

조회 수 6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참 가슴 찡한 이야기 - 황지니


  제1권

  이방인의 애국심

  어네스트 토마스 베델은 1872 년 영국의 프린스턴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영국의 '런던 데일리 크로니클' 지에 근무하는 기자였는데 1904 년 노, 일 전쟁이 일어나자 그 사건을 취재하기 위하여 조선에 오게 됐습니다. 베델은 조선이 비록 작은 나라이지만 사람들의 마음이 어질고 순박하다는 것을 알고는 이 나라를 위해 무언가 뜻있는 일을 하고 싶다는 생각으로 자기가 맡은 취재가 끝났지만 영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계속 조선에 머물게 됐습니다. 그는 먼저 이름을 조선식 이름인 '배설'로 고치고, 1905 년 한, 영 합판회사를 설립했습니다. 한편 70 평생을 오직 독립운동에 몸바쳐 온 양기탁은 일본의 감시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신문을 낼 수 있는 외국인을 찾던 중 베델을 만나 신문을 만들 것을 권유했습니다. 베델은 크게 기뻐하며 이를 받아들여 '대한매일신보'를 창간, 사장에 취임하고, 양기탁은 총무 겸 주필을 맡았습니다.

  대한일보의 위력은 대단했습니다. 철저히 일본에 반대하고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이 담긴 글을 실음으로써 국민들의 가슴을 뛰게 했고 애국심을 일깨웠습니다. 또한 을사조약의 무효를 주장하며 고종의 친서를 코리아 데일리 뉴스에 실어 미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등 여러 나라 원수들에게 전달하여 일본의 강압적 침략을 세계 만방에 알리기도 했습니다. 일본 경찰은 눈엣가시 같은 베델을 본국인 영국으로 쫓아내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양기탁을 국채보상금 횡령이라는 올가미를 씌워 구속했습니다.  그러나 1908 년 베델도 일본인 배척을 선동하고 대한제국에 대한 일본의 보호제도를 외국인이 방해했다는 이유로 영국 총영사관에 공소되어 재판을 받고 상하이에 3주 동안 묶여 지내는 신세가 되었습니다. 그 해 7월, 서울에 다시 돌아온 베델은 대한매일신보 사장직을 같은 영국인 '말함'에게 맡기고 뒷전으로 물러나 독립운동을 하다 1909 년 9월에 머나먼 이국땅에서 병을 얻어 눈을 감고 말았습니다. 그때 그의 나이 37세, 그는 다음과 같은 유언을 남겼습니다.

  "나는 죽되 대한매일신보는 길이 살아 한국 동포를 구하기를 원하노라."

  그의 시신은 평소 그를 도운 장지연, 양기탁, 정대유, 박용규 등 독립지사들의 손에 의해 양화진 외국인 묘지에 묻혔습니다.


  훌륭하게 사는 자가 오래 사는 것이다. 우리들이 나이란 햇수와 날수와 시간수로 헤아려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 바르타의 영주


  1. No Image notice by 風文 2023/02/04 by 風文
    Views 14650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2. 친구야 너는 아니

  3. No Image 15Jul
    by 風文
    2020/07/15 by 風文
    Views 1715 

    원수를 감동시킬 수 있는 힘

  4. No Image 14Jul
    by 風文
    2020/07/14 by 風文
    Views 1845 

    큰 방황은 큰 사람을 낳는다 - 36. 지옥의 문

  5. No Image 14Jul
    by 風文
    2020/07/14 by 風文
    Views 1681 

    두려움 없는 사랑

  6. No Image 12Jul
    by 風文
    2020/07/12 by 風文
    Views 1835 

    어른으로 산다는 것

  7. No Image 12Jul
    by 風文
    2020/07/12 by 風文
    Views 1530 

    큰 방황은 큰 사람을 낳는다 - 35. 자기 기분에 정통하기

  8. No Image 12Jul
    by 風文
    2020/07/12 by 風文
    Views 1981 

    27센트가 일으킨 기적

  9. No Image 10Jul
    by 風文
    2020/07/10 by 風文
    Views 1680 

    큰 방황은 큰 사람을 낳는다 - 34. 분노

  10. No Image 10Jul
    by 風文
    2020/07/10 by 風文
    Views 1780 

    나이팅게일의 기도

  11. No Image 09Jul
    by 風文
    2020/07/09 by 風文
    Views 1365 

    큰 방황은 큰 사람을 낳는다 - 33. 거듭나기

  12. No Image 09Jul
    by 風文
    2020/07/09 by 風文
    Views 1429 

    한 걸음 진보하기 위해서

  13. No Image 08Jul
    by 風文
    2020/07/08 by 風文
    Views 1143 

    큰 방황은 큰 사람을 낳는다 - 32. 부분을 넘어서

  14. No Image 08Jul
    by 風文
    2020/07/08 by 風文
    Views 1166 

    구령 맞춰 하나 둘

  15. No Image 08Jul
    by 風文
    2020/07/08 by 風文
    Views 1240 

    위대한 필란트로피스트

  16. No Image 07Jul
    by 風文
    2020/07/07 by 風文
    Views 1037 

    큰 방황은 큰 사람을 낳는다 - 31. 받아들이기

  17. No Image 07Jul
    by 風文
    2020/07/07 by 風文
    Views 1286 

    주머니 속의 어머니 얼굴

  18. No Image 07Jul
    by 風文
    2020/07/07 by 風文
    Views 1117 

    두려움의 마귀

  19. No Image 06Jul
    by 風文
    2020/07/06 by 風文
    Views 1183 

    큰 방황은 큰 사람을 낳는다 - 30. 죽음

  20. No Image 06Jul
    by 風文
    2020/07/06 by 風文
    Views 1045 

    내가 바로 시어러예요.

  21. No Image 05Jul
    by 風文
    2020/07/05 by 風文
    Views 906 

    큰 방황은 큰 사람을 낳는다 - 29. 감사

  22. No Image 05Jul
    by 風文
    2020/07/05 by 風文
    Views 1052 

    고난 속에 피는 사랑

  23. No Image 04Jul
    by 風文
    2020/07/04 by 風文
    Views 766 

    저 강물의 깊이만큼

  24. No Image 04Jul
    by 風文
    2020/07/04 by 風文
    Views 944 

    큰 방황은 큰 사람을 낳는다 - 28. 자기 존중

  25. No Image 04Jul
    by 風文
    2020/07/04 by 風文
    Views 1068 

    관중과 포숙아를 아십니까?

  26. No Image 03Jul
    by 風文
    2020/07/03 by 風文
    Views 875 

    흥미진진한 이야기

  27. No Image 03Jul
    by 風文
    2020/07/03 by 風文
    Views 879 

    쉬어도 쉰 것 같지 않고...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