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6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참 가슴 찡한 이야기 - 황지니


  제1권

  새장처럼 부서진 사랑

  늙은 죄수가 있었습니다. 평생 감옥을 전전했기에 그에게는 가족이나 친척이 없었으며 고독만이 그의 유일한 친구였습니다. 어느 날 늙은 죄수는 감옥 창 밖에 날아온 참새 한 마리를 만나게 됩니다. 참새는 매일 죄수가 주는 빵부스러기를 쪼아 먹으며 노래를 불렀습니다. 죄수로서 70 평생 처음 느끼는 행복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날이 갈수록 참새에게 정을 쏟은 죄수는 비로소 사랑에 눈을 뜹니다. 하지만 지상의 모든 행복이 그러하듯 불행의 여신은 질투의 비수를 꽂기 위해 죄수를 바다 깊숙한 섬으로 이감시킵니다. 참새를 두고 떠날 수 없는 늙은 죄수는 철사 부스러기를 주워다 조그만 조롱을 만들었습니다.  노인은 허술한 조롱을 소중히 가슴에 품고 배에 올랐습니다. 그러나 죄수들의 밀고 당기는 혼잡 속에 아차 하는 순간 노인의 허술한 조롱이 부숴지고 말았습니다. 놀란 참새는 푸르르 날아올라갔으나 이내 수면으로 푹 떨어졌습니다. 참새가 조롱에서 빠져나와 날아가버리지 않을까 염려한 노인이 새의 꼬리를 잘랐기에 그 새는 날 수가 없었던 것입니다. 참새를 건져 달라는 부르짖음은 뱃고동소리에 삼켜지고 애타게 울부짖는 노인의 처절한 사연에는 아무도 귀를 기울여 주지 않았습니다. 찬란한 낙조가 어려 붉게 출렁이는 수면에 팽개쳐져 파닥거리는 작은 새를 늙은 죄수는 난간에 기댄 채 그저 안타깝게 바라볼 뿐이었습니다. 

  이것은 프랑스 소설가 피에르로티의 "늙은 죄수의 사랑"이란 작품입니다. 이 소설은 노죄수의 쓰라린 고통을 목격한 간수가 친구에게 들려주는 형식으로 펼쳐지는데 이 이야기를 다 듣고 난 친구는 "좋은 새를 구해서 그 가엾은 죄수에게 줘야겠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간수는 "소용없는 일이야.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새를 갖다 주더라도 늙은 죄수의 슬픔은 달랠 길이 없어"라고 단언합니다.

  늙은 죄수에게는 그 참새가 아름다운 새냐 아니냐가 문제가 아니고 오직 사랑의 대상이었던 것입니다. 또 사랑이란 결코 다른 것으로 대치할 수 있는 성질의 아니기 때문입니다.

  사람이 다 마셔 버린 깡통처럼 언제든지 획 던져 버릴 수 있게 편리한 것이라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런데 늙은 죄수에게 있어서 사랑의 알파와 오메가는 오직 참새뿐이었습니다. 그렇기에 어떤 아름다운 새를 준다 해도 그 마음에 뚫린 구멍을 메울 수도 치료할 수도 없었던 것입니다.

  진정한 사랑은 오직 한 길뿐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890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6408
660 자살을 생각지 말라 바람의종 2011.04.27 3791
659 자식과의 거리 風文 2016.12.12 6801
658 자식을 불행하게 만드는 방법 風文 2017.12.07 4444
657 자신감은 어디에서 오는가 바람의종 2011.08.27 4922
656 자신과의 싸움 바람의종 2011.03.05 4134
655 자신에 대한 탐구 風文 2023.06.02 1573
654 자신에게 해답을 구하라 - <이 이야기 저 이야기> 중에서 風文 2022.11.18 1273
653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하는 방법 바람의종 2009.02.01 6348
652 자신의 길을 찾아라 바람의종 2011.04.02 4417
651 자신있게, 자신답게 風文 2014.12.15 6833
650 자연과 조화를 이루리라 바람의종 2012.01.14 7070
649 자연을 통해... 風文 2013.08.20 16736
648 자연을 통해... 바람의종 2009.07.23 4412
647 자연을 통해... 바람의종 2010.07.06 3468
646 자연이 주는 행복 윤안젤로 2013.05.20 10634
645 자작나무 - 도종환 (127) 바람의종 2009.02.06 9077
644 자제력과 결단력 風文 2019.09.02 832
643 자족 바람의종 2011.04.04 3897
642 자족에 이르는 길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4.16 6936
641 자존감 바람의종 2011.02.01 3481
640 자중자애 바람의종 2011.11.13 7177
639 작고 소소한 기적들 바람의종 2012.12.03 7203
638 작은 것에서부터 바람의종 2012.07.30 7733
637 작은 것의 소중함 바람의종 2011.03.13 4611
636 작은 구멍 바람의종 2011.02.01 45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