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6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어 영역

수학능력시험이 끝났다. ‘어려웠다’는 국어 문제 45문항을 훑어보았다. 수험생 시절로 돌아가 보려 했던 마음은 오래가지 못했다. 까다로운 지문의 양이 꽤 많아서 멀미가 날 것 같았기 때문이다. ‘서술어의 자릿수’를 다룬 문제는 낯설었다. 우리말에서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문장 성분의 수’를 굳이 따져야 하나 싶은 생각이 따라왔다. 쉽게 넘길 수 있으리라 예상했던 맞춤법 문제는 만만하지 않았다.

한글 맞춤법에 맞게 쓰인 것은? ①‘엇저녁’에는 고향 친구들과 만나서…, ②…안건은 다음 회의에 ‘부치기로’ 했다, ③‘적쟎은’ 사람들이 그 의견에…, ④…‘깍뚜기’를 먹어 보았다, ⑤저기 ‘넙적하게’ 생긴 바위가…. ‘어제(의)저녁’의 준말은 ‘엊저녁’, ‘적은 수나 양이 아닌’ 뜻의 표기는 ‘적잖은’, 무를 ‘깍둑썰기’로 다듬어 담근 김치는 ‘깍두기’, ‘편편하고 얇으면서 꽤 넓은’ 것은 ‘넓적-’이다. ‘넙적하다’는 ‘넙죽하다’와 같은 말이다. 안건을 회의에 ‘부치다’는 맞춤법에 맞는 표현으로 정답은 ②번이다. ‘부치다’의 뜻과 쓰임은 여럿이다. 편지를 부쳤다, 안건을 회의에 부친다, 편집장이 창간호에 부치는 글, 토론 결과를 비밀에 부치다, 빈대떡을 부쳐 먹다, 실력이 부친다(모자라거나 미치지 못한다), 부채를 부쳐라… 등 이다.

오래전 서울대 본고사 문제가 생각난다. 한자 ‘樂’의 음과 뜻을 쓰라, 이런 문제였다. 중학교 교과서에도 나오는 수준이었지만 당황한 수험생이 많아서 화제가 된 것이다. 덕분에 웬만한 일반인들도 ‘즐길 락, 노래 악, 좋아할 요’를 한동안 읊고 다니던 때의 기억이다. 이번 국어 영역 문제에 ‘모둠’이 여러 차례 등장한다. ‘초·중등학교에서, 효율적인 학습을 위하여 학생들을 작은 규모로 묶은 모임’을 이르는 말이다. 기성세대에겐 생소한 표현이다. 사전은 ‘교육’에 한정해 풀이했지만 사회 일반에서 두루 쓸 수 있는 용어다. 시험은 평가 도구이지만, 습득의 계기가 되기도 한다.

………………………………………………………………………………………………………………

애정 행각

프랑스 파리는 흡연에 관대했다. 실내는 금연이지만 문밖은 천지가 흡연구역이었다. 유모차 밀고 가면서, 횡단보도 건너면서, 유적지에 들어가려 줄 서 있으면서 담배 피우는 사람을 보는 건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이런 파리의 풍경이 부럽다는 이를 만났다. 어렵게 찾은 흡연구역에서 담배를 피우노라면 죄인 보듯이 인상 찌푸리고 손사래 치는 사람이 많은 우리 현실에 빗대어 말한 것이다. ‘상대에 대한 배려 없는 우리 사회’를 두고 볼멘소리 하던 그가 ‘애정 행각도 흡연처럼 단속해야 한다’며 말을 돌렸다. 공공장소의 ‘애정 행각’이 눈살 찌푸리게 한다는 것이다. 그가 말한 ‘애정 행각’은 무엇일까.

‘엘리베이터를 탔다가 불쾌한 경험을 했다. 남녀 커플이 서슴없이 애정행각을 벌인 것’(ㄷ일보), ‘우리 결혼했어요, 닭살 행각의 결정판’(ㅅ일보), ‘전 검찰총장, 성추행 피소. 대담 행각’(ㅈ일보)…. 신문 기사에 등장한 ‘행각’의 쓰임이다. 인터넷 연관검색어인 ‘공공장소(공원/10대/S대/…) 애정행각’, ‘애정행각 대학생(교사/버스/경찰/…)’에서 ‘행각’은 ‘과도한 애정 행위’와 한뜻으로 쓰이고 있다.

‘행각’은 ‘(주로 부정적인 의미로 쓰여) 어떤 목적으로 여기저기 돌아다님’이다.(표준국어대사전) 구걸 행각, 도피 행각, 애정 행각은 ‘행위’보다는 ‘돌아다니는(다닐 行, 다리 脚) 것’에 무게가 실린 표현이다. ‘엘리베이터, 녹화 현장, 도우미 숙소’처럼 한 장소에서 하는 행위는 ‘행각’이 아닌 것이다. ‘전국 유세 행각 이범석 씨’(ㄷ일보, 1956년), ‘친일 1호 김인승 묻힌 행각 드러나’(한겨레, 1996년)에서 보듯 옛날 기사 속 ‘행각’은 제 뜻을 담고 있다. ‘11년간 31차례 강도 행각 30대’(ㄱ신문), ‘농촌 빈집 찾아다니며 절도 행각’(ㅇ경제신문), ‘복무이탈 수배 중 절도행각 공익요원 구속’(ㄴ통신) 따위는 ‘행각’의 뜻을 제대로 쓴 뉴스의 보기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99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6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496
2886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風文 2022.08.22 1307
2885 국민 바람의종 2008.11.23 4563
2884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518
2883 국민들 바람의종 2010.09.08 11732
2882 국방색 / 중동 風文 2020.06.24 2303
2881 국수 바람의종 2007.06.05 7485
» 국어 영역 / 애정 행각 風文 2020.06.15 1691
2879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風文 2022.08.29 1384
2878 국어의 품사 1 바람의종 2009.12.14 15009
2877 국으로 바람의종 2010.11.25 10967
2876 군말 바람의종 2008.05.13 7391
2875 군불을 떼다 바람의종 2007.12.28 12911
2874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359
2873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928
2872 굳은 살이 - 박혔다, 박였다, 배겼다 바람의종 2009.07.28 8896
2871 굴뚝새 바람의종 2009.07.08 6087
2870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08.01.17 7758
2869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10.05.18 11530
2868 굴지 바람의종 2007.06.05 6982
2867 굴착기, 굴삭기, 레미콘 바람의종 2008.10.17 7958
2866 굼때다 바람의종 2008.07.05 6943
2865 굽신거리다 바람의종 2008.10.22 68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