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0.05.30 16:00

매뉴얼 / 동통

조회 수 13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매뉴얼

'답’을 알고 나면 허무해지는 게 있다. ‘철조망 통과 요령’이다. 군대에서는 ‘(철조망) 위로, 밑으로, 절단, 폭파, 우회’ 이렇게 다섯 가지 방법을 적시한다. 철조망을 맞닥뜨리면 누구나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이다. 뻔한 방법을 숙지하게 할 필요가 있을까 싶지만 전투나 이에 준하는 위급상황에서는 우왕좌왕할 때가 많기 때문이다.

필드 매뉴얼(Field Manual), 흔히 ‘에프엠’이라 부르는 야전교범이 필요한 이유다. 기사 제목 “안이한 현장대처·지위체계 혼선…‘어이없는 정부’”에서 보듯 매체들은 ‘매뉴얼’이 없거나, 이를 지키지 않은 현실을 조목조목 짚어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매뉴얼’의 뜻을 ‘설명서’로 밝히면서, “‘설명서’, ‘안내서’, ‘지침’으로 순화”하라고 풀이한다. ‘응급상황 매뉴얼’, ‘현장학습 안전대책 매뉴얼’, ‘승객대피 매뉴얼’처럼 ‘서해 여객선 침몰 사고’에 즈음해 쏟아지는 ‘매뉴얼’은 곧 ‘지침(서)’인 것이다.

여객선이 침몰한 지난 수요일, 일터로 출근하니 책상 위에 ‘재난방송 내규’가 놓여 있었다. 두툼한 분량의 내규 가운데 ‘현장취재·방송 요령’에는 ‘(피해자들의) 심리적 안정 유도, 프라이버시 보호’ 지침도 들어 있다. ‘뉴스특보’ 진행자의 말에는 배려가 담겨야 한다. 갓 구조된 고등학생과 인터뷰하면서 대뜸 “당시 상황이?” “친구들은 어딨나?”고 묻는 것은 잔인하게 들린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뉴스특봅니다’, ‘시청해주신 여러분, 고맙습니다’, ‘(재난상황 설명자에게) 어서 오십시오’ 따위의 상투적인 인사말은 하지 않는 게 차라리 나을 때가 있다. 피해자 상황과 시청자 마음을 배려하는 게 우선이기 때문이다. 한국기자협회는 지난 17일 “일부 기자들의 섣부르고 경솔한 행동이 희생자 가족과 국민 여러분에게 상처를 줬다는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이며 통렬히 반성하고 있다”며 “재난보도준칙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2003년 ‘대구지하철 사고’ 직후 ‘재난보도준칙(안)’을 만들었지만 여태 완성되지 않은 것이다.


………………………………………………………………………………………………………………
동통

‘냉온욕’이 편하지 않다. 서해 여객선 사고 이후의 일이다. 시원함이 아닌 냉탕의 싸늘함이 마음을 휘감는 느낌…. 배 안에 차올랐을 차가운 바닷물이 떠올라 소름이 돋기 때문이다. 피할 길 없는 ‘뉴스 특보’를 접하며 안타까움에 탄식하고, 관련 기사를 읽을라치면 가슴 먹먹해지는 탓에 숨 고르는 일이 많아졌다. ‘여객선 참사’로 일상의 변화를 겪는 사람은 나만이 아닐 것이다. ‘직업병’이 도진 것도 ‘일상의 변화’ 가운데 하나다. 뉴스 화법의 적절성 여부를 더 따지게 되었고, 곳곳에 널려 있는 ‘안내문’, ‘주의사항’ 따위의 문안을 더욱 꼼꼼히 톺아보게 된 것이다. 적절한 경고문과 주의·안내문은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는 방편이기 때문이다. ‘옷 입은 채 다림질하지 마시오’, ‘사다리로 사용하지 마시오’(시디 보관 케이스), ‘사람을 넣지 마시오’(세탁기), ‘아이를 앉힌 채 접지 마시오’(유모차) 따위는 미국에서 볼 수 있는 안내문이다. ‘악덕소송’을 막기 위한 것이라며 폄하는 사람이 없지 않지만, 이런 시시콜콜한 안내가 사고 방지에 도움 된다면 흰 눈으로 볼 일만은 아니다.

가슴 써늘하게 하는 냉탕을 빠져나와 열기 그득한 사우나탕에 들어서니 ‘주의사항’이 붙어 있다. 무심히 흘렸던 안내문 내용이 새삼 흐리터분하게 다가왔다. 의사 몇에게 적절한 내용인지 물어보았다. ‘순환기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사람은 안 하는 게 좋다는 뜻’이라며 ‘(주의사항은) 더 구체적인 게 좋다’고 답한다. ‘발에 동통을 느꼈을 때(열기욕 중단)’의 뜻은 바로 새겨지지 않았다. ‘동통’을 찾아보니 ‘안구(瞳) 통증’, ‘움직일(動) 때 아픈 것’이라는 제멋대로의 풀이가 떠돈다. 아플 동(疼), 아플 통(痛)이 어우러진 동통의 뜻은 ‘몸이 쑤시고 아픔’(표준국어대사전)이다. ‘주의사항’은 알기 쉬운 표현이어야 한다. ‘발이 쑤시고 아플 때’ ‘발에 통증이 있을 때’로 하면 될 일이다. 동통’은 ‘페인’(pain, 통증)의 번역으로 구식 표현이다. 신경과 의사의 말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4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16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777
1302 접수, 제출 바람의종 2008.12.17 9757
1301 돌서덕 바람의종 2008.02.05 9760
1300 말 비틀기(1) 바람의종 2010.01.18 9760
1299 천만에 말씀 바람의종 2010.01.20 9765
1298 경구 투여 바람의종 2012.01.24 9768
1297 안갚음 바람의종 2010.10.18 9771
1296 바래, 바라 바람의종 2009.04.13 9771
1295 ~마라 / ~말라 바람의종 2009.02.02 9772
1294 '돋구다'와 '돋우다' 바람의종 2008.06.12 9774
1293 기특하다 바람의종 2007.05.07 9776
1292 거진 다 왔소! file 바람의종 2010.01.18 9779
1291 영어식 회사명 표기 바람의종 2012.06.19 9779
1290 본따다 바람의종 2011.11.30 9780
1289 장수와 장사 바람의종 2010.02.28 9784
1288 대처승 바람의종 2007.06.25 9784
1287 ‘첫날밤이요’ 바람의종 2010.02.21 9788
1286 꽁수, 꼼수, 뽀록나다 바람의종 2010.02.09 9789
1285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791
1284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792
1283 꾸물꾸물한 날씨,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09.11.10 9795
1282 연합전술로 패했다 바람의종 2010.07.30 9799
1281 홀몸 바람의종 2007.04.27 97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