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0.05.05 11:48

아무 - 누구

조회 수 94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아무-누구

보름 전 이 자리를 통해서 “섬뜩한 느낌 주는 ‘살인 진드기’라는 표현은 삼가야 한다”는 얘기를 했다. 이후 ‘진드기’(ㅈ 일보, ㅊ 교수), ‘공포의 작명’(ㅈ 일보, ㅇ 논설위원) 등의 제목으로 비슷한 뜻을 담은 칼럼이 나왔다. 줄기는 같아도 풀어내는 방식은 달랐다. 동물생태학자와 기자답게 전공과 취재 경험을 바탕으로 깊이 있는 분석을 담아 썼기 때문이다. 세상살이를 두고 ‘누구’라도 떠들 수 있지만 논리를 갖춰 매체에 글을 쓰는 일은 ‘아무’나 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방증이기도 하다.

엊그제 라디오에서 ‘기미, 주근깨 따위에 효과가 있다’는 치료제 광고가 나왔다. ‘(피부 고운) 공주는 아무나…’ 하는 대목에 언어 직관을 거스르는 내용이 있었다. ‘…아무나 될 수 없지만(이 치료제를 바르면 가능하다)’이 아닌 ‘(공주는) 아무나 될 수 있다’는 문장으로 끝난 것이다.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아무나’ 해서는 안 되는 것이 방송”이란 금언에 익숙해서였을지 모른다. 꼭 그런 것만은 아니었다. ‘누구나 작가가 될 수 있지만 아무나 될 수 없음을 보여주는 책’처럼 유사한 보기가 많았으니까.

‘아무(어떤 사람을 특별히 정하지 않고 이르는 인칭 대명사)’는 일반적으로 ‘누구’와 뜻 차이가 없이 쓰인다. ‘나, 라도와 같은 조사와 함께 쓰일 때는 긍정의 뜻을 가진 서술어와 호응’하기도 하는 게 ‘아무’이지만 ‘흔히 부정의 뜻을 가진 서술어와 호응’(표준국어대사전)하기에 피부 치료제 광고가 낯설게 들린 것이다. <칼의 노래>를 쓴 김훈은 “‘버려진 섬마다 꽃이(은) 피었다’를 두고 이틀을 고민하다 ‘꽃은 피었다’로 결론 내렸다. ‘-이’는 사실을 진술한 문장, ‘-은’은 주관적인 ‘그만이 아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술회했다. 같은 듯 비슷한 표현도 상황에 맞춰 제대로 쓰는 게 바른 말글살이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4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98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963
3370 권력의 용어 風文 2022.02.10 1334
3369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風文 2022.08.22 1341
3368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343
3367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344
3366 말과 서열, 세대차와 언어감각 風文 2022.06.21 1344
3365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風文 2022.06.28 1345
3364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346
3363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348
3362 이중피동의 쓸모 風文 2023.11.10 1350
3361 일고의 가치 風文 2022.01.07 1351
3360 올바른 명칭 風文 2022.01.09 1352
3359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353
335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내일을 향해 모험하라 風文 2022.05.12 1357
3357 내연녀와 동거인 風文 2023.04.19 1357
3356 외교관과 외국어, 백두산 전설 風文 2022.06.23 1360
3355 막장 발언, 연변의 인사말 風文 2022.05.25 1365
335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미래를 창조하는 미래 風文 2022.05.17 1366
3353 사람, 동물, 언어 / 언어와 인권 風文 2022.07.13 1367
3352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風文 2022.08.27 1367
3351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1368
3350 노동과 근로, 유행어와 신조어 風文 2022.07.12 1369
3349 쓰봉 風文 2023.11.16 13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