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0.05.05 11:48

아무 - 누구

조회 수 98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아무-누구

보름 전 이 자리를 통해서 “섬뜩한 느낌 주는 ‘살인 진드기’라는 표현은 삼가야 한다”는 얘기를 했다. 이후 ‘진드기’(ㅈ 일보, ㅊ 교수), ‘공포의 작명’(ㅈ 일보, ㅇ 논설위원) 등의 제목으로 비슷한 뜻을 담은 칼럼이 나왔다. 줄기는 같아도 풀어내는 방식은 달랐다. 동물생태학자와 기자답게 전공과 취재 경험을 바탕으로 깊이 있는 분석을 담아 썼기 때문이다. 세상살이를 두고 ‘누구’라도 떠들 수 있지만 논리를 갖춰 매체에 글을 쓰는 일은 ‘아무’나 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방증이기도 하다.

엊그제 라디오에서 ‘기미, 주근깨 따위에 효과가 있다’는 치료제 광고가 나왔다. ‘(피부 고운) 공주는 아무나…’ 하는 대목에 언어 직관을 거스르는 내용이 있었다. ‘…아무나 될 수 없지만(이 치료제를 바르면 가능하다)’이 아닌 ‘(공주는) 아무나 될 수 있다’는 문장으로 끝난 것이다.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아무나’ 해서는 안 되는 것이 방송”이란 금언에 익숙해서였을지 모른다. 꼭 그런 것만은 아니었다. ‘누구나 작가가 될 수 있지만 아무나 될 수 없음을 보여주는 책’처럼 유사한 보기가 많았으니까.

‘아무(어떤 사람을 특별히 정하지 않고 이르는 인칭 대명사)’는 일반적으로 ‘누구’와 뜻 차이가 없이 쓰인다. ‘나, 라도와 같은 조사와 함께 쓰일 때는 긍정의 뜻을 가진 서술어와 호응’하기도 하는 게 ‘아무’이지만 ‘흔히 부정의 뜻을 가진 서술어와 호응’(표준국어대사전)하기에 피부 치료제 광고가 낯설게 들린 것이다. <칼의 노래>를 쓴 김훈은 “‘버려진 섬마다 꽃이(은) 피었다’를 두고 이틀을 고민하다 ‘꽃은 피었다’로 결론 내렸다. ‘-이’는 사실을 진술한 문장, ‘-은’은 주관적인 ‘그만이 아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술회했다. 같은 듯 비슷한 표현도 상황에 맞춰 제대로 쓰는 게 바른 말글살이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65110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11707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6390
    read more
  4.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Date2024.05.10 By風文 Views1114
    Read More
  5. 악담의 악순환

    Date2021.09.13 By風文 Views1121
    Read More
  6. 서거, 별세, 타계

    Date2024.05.08 By風文 Views1130
    Read More
  7. 재판받는 한글

    Date2021.10.14 By風文 Views1147
    Read More
  8. 대명사의 탈출

    Date2021.09.02 By風文 Views1185
    Read More
  9. 배뱅잇굿

    Date2020.05.01 By風文 Views1187
    Read More
  10. '미망인'이란 말

    Date2021.09.10 By風文 Views1204
    Read More
  11. 치욕의 언어

    Date2021.09.06 By風文 Views1205
    Read More
  12. ‘수놈’과 ‘숫놈’

    Date2024.05.08 By風文 Views1214
    Read More
  13. 비판과 막말

    Date2021.09.15 By風文 Views1239
    Read More
  14. 뒷담화

    Date2020.05.03 By風文 Views1242
    Read More
  15. 맞춤법을 없애자 (3), 나만 빼고

    Date2022.09.10 By風文 Views1268
    Read More
  16.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Date2022.09.18 By風文 Views1285
    Read More
  17. 거짓말, 말, 아닌 글자

    Date2022.09.19 By風文 Views1286
    Read More
  18.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Date2022.09.17 By風文 Views1293
    Read More
  19. 귀순과 의거

    Date2022.05.20 By관리자 Views1316
    Read More
  20.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Date2022.10.09 By風文 Views1322
    Read More
  21. 외국어 선택하기

    Date2022.05.17 By風文 Views1335
    Read More
  22. 막냇동생

    Date2023.04.20 By風文 Views1335
    Read More
  23. 편한 마음으로

    Date2021.09.07 By風文 Views1350
    Read More
  24. 옹알이

    Date2021.09.03 By風文 Views1353
    Read More
  25. 내색

    Date2023.11.24 By風文 Views135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