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3.03.28 13:38

목로주점을 추억하며

조회 수 1994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목로주점을 추억하며

광어와 우럭은 물론이고 숭어와 병어도 회 떠서 먹을 수 있는 곳, 동태전과 해물버섯완자전 따위의 갖가지 저냐를 먹을 수 있는 곳, 꼬막과 생골뱅이를 맛보며 바다 내음을 느낄 수 있는 곳, 멧돼지와 메추리, 군참새(참새구이)를 꼬치구이로 차려내는 흔치 않은 곳. 거기는 ‘김씨가 30여년 전 빈털터리로 상경해 손수레 꼬치장사로 돈 모아 20년 전 작은 가게를 차려 600명이 앉을 수 있는 큰 업소로 키워낸 곳’이었다.(ㄱ신문) 말 그대로 ‘육해공’을 싼값에 푸짐하게 먹을 수 있어 주머니 가벼운 이들의 발길이 잦던 그 집 차림표를 다시 들여다보니 ‘그때’ 먹고 마시던 것들이 새삼스럽다.

차림표에 적혀 있는 ‘쭈꾸미’, ‘꼼장어’, ‘오돌뼈’는 주꾸미, 곰장어(먹장어), 오도독뼈로 사전에 올라 있는 낱말이다. ‘모래집’의 사전 뜻풀이는 ‘1. 모래를 이용하여 지은 작은 집. 2. 사형 주조(모래로 만든 거푸집)의 일부분이 깨어지며 주물 안에 끼어들어서 생긴 결함. 3. 양수가 들어 있는 태아를 둘러싼 얇은 막(양막)’이니 모래주머니 또는 닭똥집(닭의 모래주머니를 속되게 이르는 말)이라 하는 게 규범에 맞는다.(표준국어대사전) ‘정종’(正宗, 마사무네), ‘가이바시라’(貝柱)는 일본어에서 온 말이기에 청주, 조개관자(패주)로 다듬은 표현이다.(국립국어원)

영화감독인 후배 등과 어우러진 어느 날, 그 자리에서 만난 당시 전공의 과정을 밟던 이가 보낸 문자메시지 ‘우리가 처음 만난 게 그곳이었는데 거기가 불타 사라지다니…’ 한 줄이 그 집 차림표를 찾아보게 해주었다. 불현듯(불을 켜서 불이 일어나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갑자기 어떠한 생각이 걷잡을 수 없이 일어나는 모양) 그때 기억이 떠오른다. 지금은 전문의가 된 그와 대작했던 거기는 목로(널빤지로 좁고 기다랗게 만든 상)를 앞에 두고 정담 나누는 목로주점이었다. 그 집은 지난 일요일 밤 불에 타 사라졌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63162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9901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4568
    read more
  4. 명태, 이면수/임연수

    Date2008.07.06 By바람의종 Views11128
    Read More
  5. 명태의 이름

    Date2010.05.05 By바람의종 Views10597
    Read More
  6. 몇과 수

    Date2010.10.11 By바람의종 Views7869
    Read More
  7. 몇일, 며칠

    Date2008.09.26 By바람의종 Views6733
    Read More
  8. 모기버섯, 봉양버섯

    Date2009.11.19 By바람의종 Views13701
    Read More
  9. 모두에게?

    Date2009.03.25 By바람의종 Views5416
    Read More
  10. 모둠, 모듬

    Date2009.10.08 By바람의종 Views10150
    Read More
  11. 모디리

    Date2009.03.27 By바람의종 Views6704
    Read More
  12. 모량리와 모량부리

    Date2008.07.24 By바람의종 Views6766
    Read More
  13. 모르지비!

    Date2009.03.23 By바람의종 Views6064
    Read More
  14. 모리배

    Date2007.07.02 By바람의종 Views16698
    Read More
  15. 모밀국수

    Date2009.02.12 By바람의종 Views6335
    Read More
  16. 모밀국수, 메밀국수, 소바

    Date2009.08.07 By바람의종 Views9930
    Read More
  17. 모순

    Date2007.07.03 By바람의종 Views5882
    Read More
  18. 모시는 글

    Date2008.04.27 By바람의종 Views17442
    Read More
  19. 모아지다

    Date2008.11.25 By바람의종 Views7548
    Read More
  20. 모음의 짜임새

    Date2008.01.06 By바람의종 Views5995
    Read More
  21. 모자르다, 모자라다, 모잘라, 모자른, 모잘른

    Date2010.06.01 By바람의종 Views25342
    Read More
  22. 모하구로?

    Date2009.06.11 By바람의종 Views5898
    Read More
  23. 모호하다 / 금쪽이

    Date2023.10.11 By風文 Views1446
    Read More
  24. 목로주점을 추억하며

    Date2013.03.28 By윤안젤로 Views19946
    Read More
  25. 목재가구 / 목제가구

    Date2009.11.23 By바람의종 Views1323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57 Next
/ 157